인문과학 사람의 아들

 1  인문과학 사람의 아들-1
 2  인문과학 사람의 아들-2
 3  인문과학 사람의 아들-3
 4  인문과학 사람의 아들-4
 5  인문과학 사람의 아들-5
 6  인문과학 사람의 아들-6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인문과학 사람의 아들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사람의 아들

사람의 아들은 나에게 조금은 어려운 소설이 아닐 수 없었다. 이문열 특유의 현학적인 문체와 어휘, 또 나에게는 너무나 생소한 기독교적 주제.. 나는 신의 존재를 믿고 당위적인 것으로 생각하는 기독교 신자이기 때문에 소설을 좀더 객관적으로 바라보기가 힘들었던 것이다. 성경에서는 ‘사람의 아들’ 이란 라고 말한다. 그러나 내가 지금까지 믿고 있던 사람의 ‘사람의 아들’ 이란 존재에 대해 아주 약간의 의심이라도 들게 만들 소지가 다분한 이 책을 읽으며 혼란을 느끼지 않을 수 없었던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나는 철저하게 소설의 독자로 돌아가 모든 주관적인 상황을 배제하고 반기독교적 입장에서 이 책의 근본적인 주제에 대해서 논해보려고 한다. 내가 던진 기독교적 회의의 근본에 관한 질문을 대충 이렇다.
태초에 야훼께서 천지를 창조하고 인간에게 낙원을 내려주셨을 때 선악과의 유혹을 거절할 수 있는 힘과 지혜도 주지 않고 원죄로 단죄하여 훗날 이브의 후손에까지 고통의 나날로써 대가를 치르게 하셨을까. 인간에게 악이 있다면 그것은 천지를 창조한 야훼의 책임이며 야훼의 힘으로 어찌할 수 없는 인간의 악이라면 전지전능의 신은 부정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왜 우리의 신은 인간의 고통에 무감각하며 방관한 채로 언제일지 모르는 훗날의 막연한 구원만을 기다리라 하는 것인가. 또한 헐벗고 굶주린 인간으로서 지키기 어려운 구원의 조건 - 하늘에 재물을 쌓고 원수를 사랑하라는 인격을 갖춘 사람만이 구원의 대상이 될 수 있다는 야훼의 말씀은 또 무엇인가.

민요섭은 독실한 기독교 신자에서 기독교의 원리와 질서체계에 회의하고 부정하는 반 기독교적인 모습을 아하스페르츠를 통해 나타내고 있다. 작가는 이러한 인물 속에서, 세계의 모순에 괴로워하며, 그것에 눈감고 있는 신의 침묵을 고발하는, 반신적이며 이성을 존중하는 한 인간형을 살려낸 것이다.
아하스 페르츠는 거짓된 사람의 아들인 예수에 대하여 온전하고 참된 사람의 아들로서 대립한다. 예수와의 대화에서 그는 “육신을 가진 인간의 비참함을 없애기 위해서, 인간들에게 죄지을 기회가 주어지지 않도록 고통스러운 자유를 회수하라.” 고 말하며, “인간은 주어진 모든 것을 누려야 하므로 그 무슨 이유로도 그들의 향유를 빼앗거나 금지해서는 안된다.” 고 말한다. 결국, 예수와 아하스 페르츠의 대립은 사랑으로 하느님의 뜻을 이루려는 예수와 이성으로 사람을 하느님의 위치로 끌어들이려는 아하스 페르츠 사이의 대립인 것이다. 예수의 하느님은 인간을 영원히 죄의식 속에 살게 하는 하느님이지만, 아하스 페르츠의 하느님은 인간을 신뢰하는 하느님이다.
요약하면, 민요섭은 후세 기독교인에 의해 사탄의 아들로 알려진 아하스페르츠를 인간의 정의와 지혜로 신에 의존하지 않고 인간 스스로 인간 세상을 구하려는 진정한 사람의 아들로서 그려내고 있으며, 이에 맞서 야훼의 아들인 예수를 독선의 상징으로 하여 거짓 사람의 아들로 부정한다. 주인공 민요섭은 기존의 종교계에서 모순을 느끼고 자신이 꿈꾸는 이상적, 절대적 신의 존재를 찾아 헤멘다. 그가 꿈꾸는 완전한 신을 찾아 헤매는 과정들이 독자로 하여금 신과 종교에 대하여 한번쯤 생각해보도록 한다.
액자 속 소설의 주인공 아하스 페르츠가 진정한 신을 만나기 위해 이곳 저곳을 다니면서 느끼는 것은 나약한 인간들이 자신들의 삶을 보호하기 위해 만들어 놓은 만들어진 신뿐이라는 것이었다. 그리고 사람들에게 있어 예수는 나약한 인간들에게 실제적인 도움을 주는 것 없이 따르기만을 강요하는 존재로 그려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