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상문학론 액션코미디영화에서의 육체의 재현과 정체성의 변화

 1  영상문학론 액션코미디영화에서의 육체의 재현과 정체성의 변화-1
 2  영상문학론 액션코미디영화에서의 육체의 재현과 정체성의 변화-2
 3  영상문학론 액션코미디영화에서의 육체의 재현과 정체성의 변화-3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영상문학론 액션코미디영화에서의 육체의 재현과 정체성의 변화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액션코미디영화에서의 육체의 재현과 정체성의 변화
1.육체의 재현과 액션 코미디 영화
육체의 재현은 현대로 오면서 점점 ‘육체를 더 잘 이해하고 육체적 쾌락을 자유롭게 추구하는 방향으로 전개되어 왔으며, 이를 받아들여 즐기고 육체가 자신들의 생활에 어떤 영향을 미치고 있는가를 이해’하고자 하는 노력이 점차 높아졌다. 2000년대 전반기에 들어와서 대중문화, 솔직한 성 담론, 여성 시선의 부상에 근거하여 육체담론이 활발해지고, 더욱이 영화는 육체 담론을 둘러싼 이러한 변화를 더 잘 보여준다. 특히 2000년대 전반기 한국액션 코미디 영화는 육체의 재현과 관련하여 세 가지 특이성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주목할 필요가 있다. 첫째, 이전 시기와 다른 체현된 자아와 재현 방식의 변화를 보여준다. 둘째, 남성 육체의 재현을 통해 등장인물의 정체성, 갈등, 욕구를 보여준다. 셋째, 이전의 영화들에서는 주로 시선의 주체인 남성이 대상인 여성의 육체를 응시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면, 이 시기에 들어와서는 시선의 주체인 여성이 대상인 남성의 육체를 응시한다는 점에서 이전 시기와 차이를 보여준다. 본고에서는 액션코미디 영화중에서도 과 를 중심으로 영화에서의 남성 육체의 재현 방식에서 드러나는 미학적 의미작용을 살펴보고자 한다. 본고에서 의거할 세 가지 논의는 첫째, ‘정신과 육체의 평행론’을 통해 정신과 육체의 상호작용에 대해 말하고 있는 스피노자의 논의. 둘째, 규율사회에서 육체가 어떻게 ‘순종하는 육체’와 ‘복종하는 육체’를 만들어 내는지에 대해 설명하고 있는 푸코의 논의. 셋째, ‘가상적인 정체성’과 ‘실제적인 정체성’ 사이에서 당혹감을 느끼고 오명을 얻게 되는 개인이 ‘연기하는 자아’를 통해 어떻게 사회와 관계를 맺어가고 있는지를 말하는 논의가 있다
2. 육체와 정체성 그리고 체현된 자아
육체 담론은 이성 중심주의에 대한 비판에 대해 정면으로 부정한다. 데카르트의 인식 지배는 비신체성과 독백주의를 대표한다. 이러한 이성에 관한 계몽주의는 육체, 여성, 자연, 비서구를 변화시키며, 이것들은 포스트모던의 과제이다. 이러한 육체담론은 시대정신의 표출이며, 탈산업사회 소비문화의 성장 속에 인간의 개성과 욕구의 분출을 상징한다.
데카르트의 이론은 신체는 능동적일 때 영혼은 수동적이고, 거꾸로 반대가 되었을 때도 있음을 주장한다. 그러나 스피노자는 정신과 신체의 평행론을 강조한다. 그리고 푸코는 신체를 인구 통계학이나 병리학을 이용해 분석하려 했고, 20세기 와서는 육체적 관심이 사회적인 관심의 대상이 되었다. 그리고 60년대에 와서는 본격화 되어 3가지 지적 교차점이 생기기에 이르렀다. 첫째로 사회사. 일상의 대중의 관심이 문화에 지위를 확대하였고, 둘째는 정신분석학, 성에 대한 이론을 인간의 삶과 연관시키려 했다. 세번째로 페미니즘 이론은 근현대에서 정치와 경제 체계에서 성적억압이 있었다는 사실을 말하며 비판적인 사고를 열었다.
얼굴과 육체를 통해서 우리의 혼과 마음의 상태를 들여다 볼 수 있다. 비르겐슈타인은 얼굴에 대해 인격적 정체성을 규정하려 하였다. 사회성은 육체로 시작하고 필연적으로 상호 신체적이다.
몸과 연결되는 자아 성찰적 방식은 후기 근대사회를 규정짓는 특징 중 하나이며, 이런 것은 자아를 상징하는 것이 바로 표면이다. 육체가 점점 사람들의 자아 정체감 중심으로 이루어지며 육체의 개인화가 점점 심해질 것이다. 그리고 체현된 자아는 사회적 행위의 본질이다.
3.규율과 시선 그리고 복종하는 육체
적대자와 주인공은 세 가지 양상으로 대결을 하게 된다. 첫째, 경제적 인간과 생태적 인간의 대결. 둘째, 명령하는 신체와 복종하는 신체의 대결. 셋째, 하드바디와 소프트바디의 대결. 이렇게 해서 세 가지이다.
첫 번째 경제적 인간과 생태적 인간의 대결은 분리와 소유를 강조하는 것과 동일시하는 것을 강조하는 것의 대립이라 볼 수 있는데, 과 에서는 근대적 인간과 탈근대적 인간의 대결양상이라 보면 된다. 근대적이며, 소유욕이 강한 적대자(경제적 인간)와, 탈근대적이며 공유와 자유를 대변하는 주인공(생태적 인간)이 대립한다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