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문과학 해방 전후사의 인식 한국 전쟁에 관한 관점

 1  인문과학 해방 전후사의 인식 한국 전쟁에 관한 관점-1
 2  인문과학 해방 전후사의 인식 한국 전쟁에 관한 관점-2
 3  인문과학 해방 전후사의 인식 한국 전쟁에 관한 관점-3
 4  인문과학 해방 전후사의 인식 한국 전쟁에 관한 관점-4
 5  인문과학 해방 전후사의 인식 한국 전쟁에 관한 관점-5
 6  인문과학 해방 전후사의 인식 한국 전쟁에 관한 관점-6
 7  인문과학 해방 전후사의 인식 한국 전쟁에 관한 관점-7
 8  인문과학 해방 전후사의 인식 한국 전쟁에 관한 관점-8
 9  인문과학 해방 전후사의 인식 한국 전쟁에 관한 관점-9
 10  인문과학 해방 전후사의 인식 한국 전쟁에 관한 관점-1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인문과학 해방 전후사의 인식 한국 전쟁에 관한 관점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해방 전후사의 인식
-한국 전쟁에 관한 관점-
목차
1. 한국전쟁의 전개과정
2. 한국전쟁을 보는 다양한 관점
3. 나의 견해
4. 보고서 작성 후기
5. 참고자료
1. 한국전쟁의 전개 과정 (1950.6.25 ― 1953.7.27)
◈한국전쟁 1기 - 북한의 기습남침(1950. 6. 25)
1950년 6월 25일 일요일 새벽 4시, 북한이 기습남침을 했다. 북한은 선전포고도 없이 공격을 했다. 이때까지 간간히 남한과 북한군의 무력충돌이 있었지만 이런 전면전은 생각하지 못했다. 해방 후, 소련은 북한에 지속적으로 군수물자를 지원한 까닭에 북한은 남한과는 다른 아주 강력한 군사력을 가진 상태였다. 반면 우리의 군대는 보잘 것 없었다. 게다가 전쟁이 일어나기 하루 전날, 우리 군대는 대부분이 휴가를 가 있었다. 농번기에 농촌에 일손을 돕기 위해서였다. 그랬기 때문에 전쟁이 일어난 당시 우리 군대는 육탄 돌격으로 탱크를 막는 등 죽을 각오를 하고 방어했지만 막아내기에는 역부족이었다. 북한군은 먼저 옹진반도를 점령했고 이어서 서울의 관문인 의정부를 점령했다. 서울 점령이 코앞에 닥친 것이다.
◈한국전쟁 1기 - UN 북한에 대해 결의(1950. 6. 28)
전 세계는 제2차 세계대전이 끝난 지 5년도 안 돼 전쟁이 일어나자 경악했다. UN 안전보장이사회는 바로 열렸고, 안전보장이사회는 북한군이 즉각 적대 행위를 중지하고 군대를 38도선 이북으로 철수할 것을 요구했다. 또, 가맹국에 대해 UN 의 활동을 돕고 아울러 북한에 대한 원조를 하지 말도록 하는 결의안을 채택했다. 한편 북한은 UN 의 결의에도 불구하고 계속 남진하였으며 서울점령을 눈앞에 두고 있었다. 우리는 UN 안전보장이사회에 더 강력한 조치를 부탁했고, UN은 철수 안을 무시한 북한에게 한반도의 평화를 회복하기 위한 원조를 대한민국에 제공한다는 새로운 결의안을 채택했다. 이렇게 되서 미국은 한반도에 군대파견을 결정하였고, 트루먼 대통령은 즉시 일본 도쿄의 미 극동군 사령관인 더글러스 맥아더 장군에게 대한민국에 대한 해군, 공군 지원을 명령했다.
◈한국전쟁 1기 - 서울 함락 (1950. 6. 28)
1950년 6월 28일, 서울 외곽에 위치한 우리의 방어선에 북한군이 전차 10대를 앞세우고 쳐들어왔다. 우리는 이것을 격퇴했지만 다시 벌어진 두 번째 전투에서는 패배해서 방어선이 무너졌다. 북한군은 이젠 서울로 걸어 들어갈 일만 남은 것이었다. 이때가 28일 새벽 1시었다. 새벽 2시 28분쯤, 한강에서 두 번의 폭발음이 들렸다. 그 빛은 주위를 환하게 만들었다. 한강철교를 폭파한 것이다. 약 1000명의 피난민이 한강을 건너다가 사망했다. 우리 군대는 한강의 다리를 폭파함으로써 북한의 진격을 한강에서 저지하려는 시도를 하였지만 이 폭파로 인하여 미처 피난을 떠나지 못한 대부분의 서울 시민이 서울에 갇혔다. 새벽 5시, 전쟁이 일어난 지 4일 만에 서울은 북한군에게 점령을 당했다.
◈한국전쟁 1기 - 서울에서의 3일간 (1950. 6. 29 - 7. 2)
북한군은 서울을 점령한 후 3일간 아무런 움직임을 보이지 않았다. 북한의 예상 밖으로 한국군이 춘천과 홍천 등 동부전선에서 북한군의 남하를 잘 막았기 때문이었다.
◈한국전쟁 1기 - 미국, 북한과 첫 전투 (1950. 7. 5)
1950년 6월 30일, 북한군은 3일간의 정적을 깨고 다시 진격을 시작했다. 한편 29일 한국을 방문하고 전선을 시찰했던 맥아더 장군은 미국에 지상군 투입을 요청했고, 30일 트루먼 대통령은 한국에 지상군 투입을 명령했다. 그래서 다음 날인 7월 1일에 부산에 미국의 스미스부대가 도착했다. 미군은 그 당시에도 세계 최강의 전력을 가지고 있는 나라였다. 그래서 미군은 북한군이 자신들을 보기만 해도 도망칠 것이라 생각했다. 하지만 스미스부대에게 남은 것은 패배밖에 없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