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도덕교육] 공리주의 - 최대 다수의 최대 행복

 1  [초등도덕교육] 공리주의 - 최대 다수의 최대 행복-1
 2  [초등도덕교육] 공리주의 - 최대 다수의 최대 행복-2
 3  [초등도덕교육] 공리주의 - 최대 다수의 최대 행복-3
 4  [초등도덕교육] 공리주의 - 최대 다수의 최대 행복-4
 5  [초등도덕교육] 공리주의 - 최대 다수의 최대 행복-5
 6  [초등도덕교육] 공리주의 - 최대 다수의 최대 행복-6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초등도덕교육] 공리주의 - 최대 다수의 최대 행복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1. 시작하기 전에 ...
: 도덕은 언제나 나에겐 따분하고 정답이 정해진 과목이었다. 중학교 때부터 고등학 교 때까지 배웠던 내용이 거의 차이가 없었고 철학자와 성인군자의 사상과 지식 을 이해하도록 배운 것이 아니라 단순히 시험에 맞게 기계적으로 암기하도록 배 웠기 때문이다. 배우는 내용이 교훈적이고 삶의 지혜가 되는 내용들이었지만 나 의 흥미를 유발하지 못했기 때문에 그 지식들은 언제나 나에겐 ‘그림의 떡’과 같 은 존재였다. 항상 도덕적 사상과 지식을 배울 때 마다 ‘왜 선생님은 수업을 재미 있게 하지 못할까? 모든 선생님들이 왜 천편일률적으로 학생들에게 도덕적 지식 을 단순 암기하도록 강요할까?’라는 의문을 가졌었다. 그러한 원인으로 나는 선생 님들이 그 사상과 지식에 대하여 근본을 파악하지 못하고 겉핥기식으로 공부하였 기 때문에 이러한 일들이 벌어지는 건 아닐까 라고 추측을 하곤 했다. 앞으로 몇 년 후면 나는 앉아서 지식을 배우는 학생이 아니라 수많은 학생들 앞에서 가 르칠 선생님이 된다. 도덕 과목에 나오는 수많은 지혜와 사상을 나와 같이 내면 적으로 받아들이지 못하고 세상을 살아가는데 불필요한 것이라고 생각하는 학생 이 조금이나마 줄어들게 하기 위해서 이번 과제를 통해서 철학 사상 특히 공리주 의에 대하여 심도 있게 공부를 하고 아이들에게 재미있게 도덕 사상을 전할 수 있도록 연구를 해 보고 싶다. 그리고 이러한 철학 사상을 아이들이 거부감 없이 자연스럽게 받아들일 수 있도록 초등학교 현장에 접목하는 방법도 한번 연구해보 고 싶다.
2. 공리주의에 대하여...
: 산업혁명과 더불어 자본주의 경제가 점차 발전해 가던 영국에서는 개인의 이익과 사회 전체의 이익을 조화 시키는 일이 문제가 되었는데, 이를 해결하기 위한 시도 로서 공리주의가 등장했다. 산업혁명 시기 때 아담스미스의 이론인 보이지 않는 손(시장의 원리)의 원리에 의해서 사회가 움직였다. 그런데 이 자유방임주의로 사 회를 움직이다 보니 자본가와 노동자 간에 빈부격차가 엄청나게 커지게 되었다. 이런 엄청난 빈부격차 속에 반성한 자유주의로서 공리주의가 등장하게 되었다. 공리주의를 한자로 功利라고 하는데요. 이는 힘쓸 공(功)자에 이로울 리(利)자를 쓴 것이다. 이런 한자의 번역은 공리주의 유용성에 초점을 맞춘 해석이다. 공리주 의는 기본적으로 자본주의를 옹호하면서 거기에 수정을 가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 다. 공리주의는 사상적적으로는 칸트의 의무론을 비판하고 목적론, 결과론을 내세 운다. 이게 뭐냐 하면 행위에는 그 동기와 목적이 중요하다는 것인데 즉, 무언가를 얻기 위해 행위를 하고, 좋은 결과를 얻는 행위가 바람직하다는 말이다. 즉, 좋음 이 옳음을 규정한다는 입장이다. 그리고 경험을 중시하는 경험주의다. 또 한 가지 중요한 건 쾌락주의적 입장이다. 공리주의는 삶의 목적을 쾌락과 행복의 추구라고 하였다. 거기다가 같이 행복하면 더 좋다는 생각이 접목되어 최대 다수의 최대 행 복이라는 말이 나오게 되었다.
위에서 공리주의의 유용성이라는 말을 했었는데 공리주의에서 유용성이란 "이익 을 산출하는 데 도움이 되는" 이라는 의미이다. 공리주의의 유용성을 바라보는 관 점이 2가지가 있는데 바로 행위공리주의와 규칙공리주의이다. 행위공리주의란 구 체적이고 특수한 행위가 산출하는 유용성을 중시하는 입장이고, 규칙공리주의는 어떤 행위지침을 모든 사람이 받아들여 준수할 경우의 유용성을 중시하는 입장이 다. 구체적인 상황을 설정해서 설명하면 노모와 병석에 누운 아내와 여러 아이들 을 부양해야 하는 택시기사가 있다. 그 택시기사가 교통법규를 위반했고, 그 위반 에 대한 처벌은 면허취소이다. 이 상황에서 행위공리주의와 규칙공리주의는 그 택 시 기사에게 면허취소처분 여부에 대해 상이한 태도를 보인다. 행위공리주의는 그 택시기사의 지금 이 위반에 대한 처분이 어떤 결과를 낳을지를 문제 삼는다. 면허 취소처분을 내린다면 그 택시기사는 더 이상 택시영업을 할 수 없게 된다. 그 결 과로 그가 부양하고 있던 노모와 병석의 아내와 어린 아이들의 생계는 위협받게 된다. 반면에 그 택시기사를 용서한다면 그는 여전히 택시영업을 할 수 있고 그 결과로 노모와 병석의 아내와 아이들의 생계는 위협받지 않는다. 그 택시기사에게 면허취소처분을 내리는 것 보다는 용서하는 것이 보다 많은 유용성을 산출하므로 행위공리주의는 그 택시기사를 용서해야 한다고 결론짓는다. 반면에 규칙공리주의 는 그 택시기사와 유사한 상황에 처한 모든 택시기사들에 대해 어떤 결정을 하는 것이 바람직한지를 문제 삼는다. 만약 그 택시기사와 유사한 상황에 처한 모든 경 우에 용서를 해 준다면, 그러한 상황(노모를 부양하고 아내는 병석에 누워 있으며 여러 아이들이 있는 경우)의 택시기사들은 교통법규를 준수하지 않아도 처벌받지 않게 된다. 일군의 사람들이 교통법규를 위반해도 처벌받지 않는다면, 그들은 교통 법규를 제대로 준수하지 않게 될 가능성이 크다. 일군의 사람들이 교통법규를 준 수하는 않는다면 교통질서에 혼란이 오고 많은 문제점이 발생할 것이다. 규칙공리 주의는 그 택시기사를 용서해 줌으로써 혜택을 보는 사람들이 분명이 있을지라도 그 택시기사와 유사한 상황의 모든 택시기사들을 용서해 줄 경우에 발생할 부정적 인 결과를 막아야 한다고 주장한다. 그래서 규칙공리주의는 그 택시기사에게 면허 취소처분을 내려야 한다고 결론짓는다.
공리주의를 설명할 때 우리는 크게 두 명의 학자로 나눠서 설명한다. 바로 벤담 과 밀이다. 벤담은 그의 저서 에서 ‘자연은 인간을 쾌락과 고통이라 는 두 군주(君主)의 지배하에 두었다. 우리가 해야 할 것과 하지 말아야 할 것을 지적해 주는 것은 이들 두 군주, 즉 쾌락과 고통이다.’라고 말하였다. 그리하여 그 는 이 심리상의 사실(事實)을 기초로 하여 윤리 원리로 정하여 ‘쾌락을 증진하고 고통을 경감(輕減)하는 것은 선(善), 이것과 반대의 결과를 낳는 것은 악(惡)’이라 고 하였다. 그러므로 구쾌피고(求快避苦)의 행위, 바로 이것이 도덕이라고 하였다. 행위의 선악을 쾌락에 의하여 정하려는 이 원리를 그는 ‘공리의 원리’(功利의 原 理, Principle of utility?)라고 불렀다. 벤담은 사람은 구쾌피고(求快避苦)로써 행동 하기 때문에, 이 자연성(自然性)에 따라 행동하는 것이 개인에게도 개인의 집합체 인 사회에게도 최고의 행복에 도달하는 것이라 하였다. 즉 각자의 행복이 증대하 면 그 축적에 의하여 최대 다수 사람의 행복도 최대가 된다는 것이다. 그리하여 도덕적 평가는 어떤 행위가 가져오는 쾌락의 양(量)과 고통의 양(量)을 주의 깊게 계산하여 쾌락의 양에서 고통의 양을 빼 그 차를 보는 것이 된다. 만일 쾌락의 편 이 많으면 그 행위는 선한 것이 된다. 그 결과 벤담은 예컨대 화투놀이의 쾌락이 든, 시작(詩作)의 쾌락이든, 그 평가에 있어서 동일하다고 보는 것처럼 쾌락에 질 적 차이가 있음을 인정치 아니하고 분량주의(分量主義)에 철저하여 가능한 한 많 은 사람을 포함하는 최대량의 쾌락을 구할 것을 주장하였다. 그리하여 그는 선악 정사(善惡正邪)의 기준(基準)을 ‘최대 다수의 최대 행복’이라는 간단한 말로써 표현 하였다. 최대다수의 최대행복을 낳는 행위는 정선(正善)이고 이것에 반하는 행위는 사악(邪惡)이라고 하였다. 그리고 모든 쾌락이 질적으로 동일하다고 생각한 벤담은 쾌락과 고통을 측정 할 수 있는 계산법(강도, 지속성, 확실성, 근접성, 다산성, 순 수성, 범위)까지 제시하였다. 벤담은 쾌락은 계산 가능하다고 하였는데, 그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어느 악덕 사업가가 자기 배를 불리기 위해 노동자들에게 월급을 아주 짜게 준 다. 사업가는 좋은 집에서 사치스럽게 살며 행복지수가 +200 올라갑니다.
그러나 20명의 노동자들은 가난하기 때문에 행복지수가 -5 내려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