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위공리주의 및 규칙공리주의에 대한 찬반 논증

 1  행위공리주의 및 규칙공리주의에 대한 찬반 논증-1
 2  행위공리주의 및 규칙공리주의에 대한 찬반 논증-2
 3  행위공리주의 및 규칙공리주의에 대한 찬반 논증-3
 4  행위공리주의 및 규칙공리주의에 대한 찬반 논증-4
 5  행위공리주의 및 규칙공리주의에 대한 찬반 논증-5
 6  행위공리주의 및 규칙공리주의에 대한 찬반 논증-6
 7  행위공리주의 및 규칙공리주의에 대한 찬반 논증-7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행위공리주의 및 규칙공리주의에 대한 찬반 논증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행위공리주의 및 규칙공리주의에
대한 찬반 논증
공리주의란?
산업혁명으로 자본주의 경제가 발달하던 영국에서는 개인의 무분별한 이윤추구로 인해 빈익빈 부익부 현상이 나타나고 공익이 무시되는 현상이 생기게 되었습니다.
그래서 개인의 이익과 사회전체의 이익을 조화(최대다수의 최대행복)시키려는 시도가 일어났던겁니다. 이러한 사상을 공리주의라고 합니다.
우리가 알고 있는 이러한 공리주의는 벤담과 밀로부터 비롯되어 집니다.
먼저 양적 공리주의를 주장했던 벤담 윤리학은 ‘인간이라면 누구나 쾌락을 추구하고 고통을 회피하려는 이기적 본성을 가지고 있다’라는 제1원리(벤담윤리학에서의)로부터 파생됩니다. 이것이 행위의 의도나 동기(당위성)으로부터 파생되는 칸트 윤리학과의 차이점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런점이 항상 윤리수업 토론의 두 축이 되는 상대주의적 윤리설과 절대주의적 윤리설로 나누어 지는 것입니다.
벤담과 밀의 차이점은 ‘만족한 돼지보다 불만족한 인간이 낫고, 만족한 바보보다 불만족한 소크라테스가 낫다’라는 밀의 주장으로 요약이 가능합니다. 그래서 후자인 밀의 공리주의를 ‘질적 공리주의라고 부릅니다’
* 우리가 알고 있는 공리주의와 행위공리주의와 규칙 공리주의를 어떻게 연결할 수 있을까요?
공리주의에 관한 기본적인 입장과 틀은 벤담이 정의하고 밀이 계승한대로 ‘최대 다수의 최대 행복’을 기본으로 이루어 집니다. 공부를 하면서 궁금했던 점은 우리가 알고 있는 이런 공리주의와 우리가 토론하고 공부해야 할 행위 공리주의와 규칙 공리주의의 연결점입니다.
이는 의무에 관한 공리학자들의 입장차이에 따라 나누어 지는 것입니다.
공리주의에 따르면 우리 도덕적 행위의 궁극목적은 전체로서 세계에서 악을 뺀 최대한의 선, 즉 ‘행복’을 실현하는 것입니다. 이와 같이 “행복의 실현=선”이란 도식은 오로지 우리의 가치실현에만 초점을 맞춘 것입니다. 그러나 윤리학에서 중요한 것은 가치실현뿐만 아니라 의무에 대한 우리의 입장도 있습니다. 따라서 의무에 대해 어떤 입장을 취하느냐에 따라 공리주의는 행위 공리주의, 보편적 공리주의, 규칙 공리주의로 구분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