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공학실험] 파악한계 예측모형

 1  [인간공학실험] 파악한계 예측모형-1
 2  [인간공학실험] 파악한계 예측모형-2
 3  [인간공학실험] 파악한계 예측모형-3
 4  [인간공학실험] 파악한계 예측모형-4
 5  [인간공학실험] 파악한계 예측모형-5
 6  [인간공학실험] 파악한계 예측모형-6
 7  [인간공학실험] 파악한계 예측모형-7
 8  [인간공학실험] 파악한계 예측모형-8
 9  [인간공학실험] 파악한계 예측모형-9
 10  [인간공학실험] 파악한계 예측모형-10
 11  [인간공학실험] 파악한계 예측모형-11
 12  [인간공학실험] 파악한계 예측모형-12
 13  [인간공학실험] 파악한계 예측모형-13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인간공학실험] 파악한계 예측모형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제목
(2) 실험목적
(3) 이론적 배경
(4) 실험 방법 – 파악 한계 (grasping reach) 예측 모형
(5) 실험 결과
(6) 결과 분석
(7) 고찰 및 결론
본문내용
이론적 배경
인간의 작업 공간(work-space)은 우주선 내의 우주 비행사, 조립 라인 상의 직공, 탱크(tank) 운전병의 경우 등과 같이 작업 상황에 따라 여러 처지가 있을 수 있으나, 본 실험에서는 좀 더 일반적인 경우만을 다룬다.

1. 앉은 사람의 작업 공간
한 장소에 앉아서 수행하는 작업 활동에서, 사람이 작업하는데 사용하는 공간을 “작업 공간 포락면 (work-space envelope)”이라 부른다. 이 포락면을 설계할 때에는 물론 수행해야 하는 특정 활동과 공간을 사용할 사람의 유형을 고려하여 상황에 맞추어 설계해야 한다. 특정한 작업 공간 포락면을 설계하기 위한 자료를 얻기 위해서는 “파악한계”에 대한 인쳬 계측학적 연구를 수행해야 한다.

2. 파악한계 [ Grasping reach ]
이것은 앉은 작업자가 특정한 수작업 기능을 편히 수행할 수 있는 공간의 외곽 한계이다. 이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교과서 13장 “그림 13-5 (a)”와 같이 배치된 의자에 피실험자를 앉히고, 끝에 꼭지(knob)가 달린 막대기 여러 개를 여러 각도에서 어깨를 향하게 설치한 후, 어깨를 등판에서 떼지 않고 손만을 끝까지 뻐쳐 밀어내도록 한다. 기준점으로부터 밀어낸 막대기까지의 수평 및 수직 거리를 측정하여 정리하면 교과서 13장 “그림 13-5 (b)”에 있는 예와 같은 파악 한계의 수평 곡선을 얻는다.
참고문헌
[1] 박경수, “인간공학-작업경제학”, 영지문화사. 2001.
[2] 박수찬, 이남식, 장명현, 김철중, 1991, VDT 작업을 위한 최적치수 및 작업자세에 관한 연구(Preferred settings of the VDT Workstation dimensions & work posture), Journal of the Human Engineering Society of Korea, vol 10, 3-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