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현십원가 분석과 지도 방안

 1  보현십원가 분석과 지도 방안-1
 2  보현십원가 분석과 지도 방안-2
 3  보현십원가 분석과 지도 방안-3
 4  보현십원가 분석과 지도 방안-4
 5  보현십원가 분석과 지도 방안-5
 6  보현십원가 분석과 지도 방안-6
 7  보현십원가 분석과 지도 방안-7
 8  보현십원가 분석과 지도 방안-8
 9  보현십원가 분석과 지도 방안-9
 10  보현십원가 분석과 지도 방안-10
 11  보현십원가 분석과 지도 방안-11
 12  보현십원가 분석과 지도 방안-12
 13  보현십원가 분석과 지도 방안-13
 14  보현십원가 분석과 지도 방안-14
 15  보현십원가 분석과 지도 방안-15
 16  보현십원가 분석과 지도 방안-16
 17  보현십원가 분석과 지도 방안-17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보현십원가 분석과 지도 방안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보현십원가

1. 보현십원가란?
2. 내용과 해석
3. 보현십원가의 의의
4. 협동학습을 적용한 지도 방안
1. 보현십원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란?
고려 광종 연간에 균여(均如) 균여는 황해도 황주에서 태어났는데 어려서부터 화엄경의 게(偈)를 잘 외워 15세 때 출가하여 영통사(靈通寺) 의순공(義順公)에게 불법을 배운다. 사상으로는 화엄종파에 기울었으나 불교계의 통일을 위해 노력하였으며 불법을 펴는 일에 힘을 기울여 많은 사람들에게 利를 주기 위해 노력한 인물로 기록되었다. 균여는 특히 신통력이 있어서 병고에 시달린 환자를 치유하였고 나라의 큰 재난을 법력으로 물리치기도 하였으며 천기를 순조롭게 하는 등의 이야기가 『균여전』에 자세하게 소개되어 있다. 균여는 사뇌(詞腦)에도 익숙하여 보현십원가(普賢十願歌)를 썼는데 이것은 균여의 사상에서 비롯된 것임을 알 수 있다
가 지은 향가. 보현십종원왕가(普賢十種願往歌)·원왕가(願往歌) 등으로 불리기도 한다. ‘원왕가(願王歌)’만이 ≪균여전≫의 문헌 명칭이고, 나머지는 ≪균여전≫의 ‘보현십종원왕에 의거하여 노래 11장을 지었다(依普賢十種願王 著歌十一章)’는 기록에 의한 후대의 명명이다.
작품은 고려대장경 보판(補板) ≪석화엄교분기원통초 釋華嚴敎分記圓通抄≫ 권10 끝에 부록으로 실린 <대화엄수좌원통양중대사균여전병서 大華嚴首座圓通兩重大師均如傳序>의 제7 가행화세분(歌行化世分)에 향찰로 표기되어 전한다.
창작연대는 963∼967년 사이로 여러 설이 있다. 균여는 ≪균여전≫에 인용된 글에서 ≪화엄경≫ 보현행원품(普賢行願品)의 어려운 종취(宗趣)를 향가를 빌려 중생을 교화하고자 한다고 창작동기를 밝히고 있다. 전체 11수로 되어 있으며, 각 수 모두가 11분절로 띄어져 있다. 10구체로 보는 것이 통설이나, 그 띄어쓰기를 존중하여 11구체라 주장하는 학설도 있다.
형식상 매우 정연한 형태를 보여 주고 있는데, 제1구는 매우 짧으며, 제9구 앞에는 감탄사를 수반하는 것이 특성이다. 각 작품 모두가 의미단위로는 세 단락이다. 이들 세 단락을 이루는 구수(句數)는 4구 또는 2구이며, 작품은 4·4·2의 구수로 구성되어 있다. 이 4·4·2의 3단위는 ≪균여전≫에서 <원왕가> 또는 향가의 형식을 말해 주는 3구육명(三句六名)의 3구를 지칭하는 것으로 보는 것이 통설이며, 6명의 해석에는 서로 다른 견해들이 있지만, 3구6명의 구와 명은 불경에서 이야기하는 명구문(名句文)의 명과 구라는 데는 거의 견해를 같이 하고 있다.
체재는 ≪화엄경≫ 보현행원품에 기초하여, 그 10행원의 순서를 그대로 하고, 제목은 ‘○○○○품’을 ‘○○○○가’로 고치고 그 밖의 다른 글자는 거의 그대로 쓰면서 10수의 향가를 창작한 다음에, <총결무진가 總結无盡歌>를 더하여, 전체 11수로 짜고 있다.
전체 내용은 보현보살이 제시한 열 가지 원을 작자 스스로 행하고자 다짐하는 것이다.
2. 원문과 풀이
보현십원가의 전체 내용은 보현보살이 제시한 열 가지 원을 작자 스스로 행하고자 다짐하는 것이다. 「보현십원가」11수를 해독하여 현대어로 옮긴 텍스트를 통해 「보현행원품」이 작품 속에 어떻게 문학화 되어 있는지 살펴보자. 10구체 향가는 보통 1행에서 4행, 5행에서 8행, 9행과 10행 등으로 3분절해서 읽는다.
현대어 풀이는 이영섭을 따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