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평 - 유충렬전 속의 도교적 이미지와 시대 상황

 1  서평 - 유충렬전 속의 도교적 이미지와 시대 상황-1
 2  서평 - 유충렬전 속의 도교적 이미지와 시대 상황-2
 3  서평 - 유충렬전 속의 도교적 이미지와 시대 상황-3
 4  서평 - 유충렬전 속의 도교적 이미지와 시대 상황-4
 5  서평 - 유충렬전 속의 도교적 이미지와 시대 상황-5
 6  서평 - 유충렬전 속의 도교적 이미지와 시대 상황-6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 레포트 > 독후감
  • 2015.03.29
  • 6페이지 / hwp
  • 1,000원
  • 30원 (구매자료 3% 적립)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서평 - 유충렬전 속의 도교적 이미지와 시대 상황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속의 도교적 이미지와 시대 상황
서론
고전 소설을 보면 많은 종류의 군담소설 1) 전쟁에 관한 이야기를 소재로 한 고대소설로, 3가지로 크게 나눌 수 있다.
첫째, 《징비록(懲毖錄)》 《서정록(西征錄)》 등과 같은 실전담류(實戰譚類), 《임진록(壬辰錄)》 《박씨전(朴氏傳)》 등의 역사적 사건을 소설화한 역사 군담류(歷史軍談類), 《유충렬전(劉忠烈傳)》 《이대봉전(李大鳳傳)》 등의 가공적 영웅을 허구화한 창작 군담류(創作軍談類)를 통틀어 일컫는 경우, 둘째, 위의 경우에서 《징비록》 《서정록》 등의 실담류(實譚類)를 제외하고 역사 군담류와 창작 군담류를 아울러 일컫는 경우, 셋째, 가공적 영웅을 허구화한 창작 군담류만을 가리키는 경우 등이다.
임진왜란의 충격으로 빚어진 여러 가지 비화(悲話)와 일화(逸話)를 소재로 해서 창작열이 자극되었다고 볼 수 있다. 창작 군담류의 내용은 중국소설의 체제와 형식을모방하여, 대개 주인공이 분연히 일어나 목숨을 홍모(鴻毛)와 같이 여기고 나라를 위하여 용감히 전장에 뛰어나가 큰 공을 세우고 돌아오나, 어려서는 난을 만나 부모와 이별하여 온갖 고생을 다하게 되고, 또 연인(戀人)과 서로 만나고 헤어지고 하여 사랑을 위하여 모든 희생을 다하는 등, 한때는 가정이 곤경에 빠지지만 종말에는 한데 모여 일가가 단란해진다는 이야기로 민간에서 널리 읽혀졌다.
군담소설에는 위에서 든 외에도 《임경업전(林慶業傳)》 《조웅전(趙雄傳)》 《소대성전(蘇大成傳)》 《월왕전(越王傳)》 《황운전(黃雲傳)》 《장풍운전(張風雲傳)》 《장국진전(張國鎭傳)》 《장경전(張敬傳)》 《양풍전(楊豊傳)》 《현수문전(玄壽文傳)》 《쌍주기연전(雙珠奇緣傳)》 등이 있다.
이 있다. 그 중 유충렬전은 작가 미상의 작품으로서 과 더불어 조선 후기를 대표하는 영웅소설인데 주몽신화에서 비롯된 영웅의 일대기에 매우 충실한 작품이다. 국문본인 유충렬전은 그 연대가 불분명하나 작품속에서 천자가 성에 고립되어 항복하려 한다는 점이나 황실의 가족이 인질로 잡혀가는 등의 내용은 병자호란을 겪고난 후의 조선후기 소설로 짐작하게 한다. 이러한 작품의 현실적 상황이 병자호란의 치욕을 씻기 위하여 작품속에서 호국을 두 번이나 정벌하게 되는데 이 때 왕권과 국력이 아닌 유충렬이라는 영웅의 힘에 의존한다. 이렇듯 한 국가를 정벌하는데 필요한 힘과 내용의 신빙성을 부여하기 위해서 작품속에서 작가는 도교의 술법에 의존하게 되는데 이는 영웅소설의 초기 단계인 홍길동전과 같은 작품에서 보여주는 술법과 유사하나 홍길동전에서처럼 무작정 타고난 것이 아니라 그 술법의 근원을 천상계와 지상계라는 이원적 공간을 설정하고 천상의 사람이 지상으로 내려와 천상의 도움을 받는다는 등의 이야기로 제시하고 있다.
여기서는 앞에서 말한 영웅소설 속에서 주인공에게 힘을 부여하기 위해 쓰이는 도교의 역할이 유충렬전 속에 어떻게 반영되었으며 어떠한 역할을 하고 있는지에 대해 알아보겠다. 또한 작품속에 투영된 시대적 상황에 대해 간략하게 짚어보겠다.
본론
도교의 경신과 경전
유충렬전에 들어가기 앞서 도교에서 믿는 신과 경전의 형태에 대해 짚어보도록 하겠다. 도교에서 받드는 신들은 매우 잡다(雜多)할 뿐 아니라 시대에 따라서 그것은 새로이 생기기도 하고 없어지기도 하였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가장 널리 제사 지내는 신에는 원시천존(元始天尊) 또는 옥황상제(玉皇上帝)가 있고 이는 다시 무형천존(無形天尊) 무시천존(無始天尊) 범형천존(梵形天尊)으로 변신하기도 한다. 그리고 교조인 노자, 곧 노군(老君)도 원시천존의 화신(化身)이라고 믿는다. 그 밖에도 현천상제(玄天上帝:北極星) 문창제군(文昌帝君) 후토(后土) 서낭신[城隍神] 조군(君:五祠 중의 한 神) 화합신(和合神) 삼관(三官) 재신(財神) 개격신(開格神) 동악대제(東嶽大帝:泰山神) 등 수많은 신들을 제사지낸다. 한편 도교의 경전을 통틀어서 도장(道藏)이라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