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비문학] 유희요 강강술래

 1  [구비문학] 유희요 강강술래-1
 2  [구비문학] 유희요 강강술래-2
 3  [구비문학] 유희요 강강술래-3
 4  [구비문학] 유희요 강강술래-4
 5  [구비문학] 유희요 강강술래-5
 6  [구비문학] 유희요 강강술래-6
 7  [구비문학] 유희요 강강술래-7
 8  [구비문학] 유희요 강강술래-8
 9  [구비문학] 유희요 강강술래-9
 10  [구비문학] 유희요 강강술래-10
 11  [구비문학] 유희요 강강술래-11
 12  [구비문학] 유희요 강강술래-12
 13  [구비문학] 유희요 강강술래-13
 14  [구비문학] 유희요 강강술래-14
 15  [구비문학] 유희요 강강술래-15
 16  [구비문학] 유희요 강강술래-16
 17  [구비문학] 유희요 강강술래-17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구비문학] 유희요 강강술래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강강술래의 유래와 전승

ⅰ.강강술래의 기원

ⅱ. 강강술래의 연행절차


Ⅲ. 강강술래의 주요구성과 기능

ⅰ. 놀이

ⅱ. 사설

ⅲ. 기능


Ⅳ. 결론

본문내용
Ⅰ. 서론
- 유희요의 이론적 분류와 강강술래

유희요는 놀이로서 부르는 노래, 또는 놀이의 진행을 돕기 위하여 부르는 민요를 말한다. 민요를 분류할 때 흔히 생기는 문제점은 기능요와 그에 대비되는 개념으로 비기능요를 설정함으로써 비기능요가 민요의 분류작업에서 제외되어 왔다는 것이다. 유희요에서도 노래자체를 즐기기 위한 비기능요를 유희요의 범주에 포함시켜야 하는지의 여부가 애매했다. 그러나 노래를 통해서 얻는 즐거움과 춤추기, 윷놀이 등을 통해 얻는 즐거움이 본질적으로 다르지 않기 때문에, 굳이 일정한 형태의 놀이가 따르지 않는다 하더라도 ‘놀면서 부른다’ 거나 ‘심심풀이로 부른다’는 민요들은 ‘가창유희요’로 포함시켜 유희요의 범주에 넣어야 한다는 의견이 설득력 있다.
이와 같은 사실들을 염두에 두고 유희요를 세시놀이요, 일반놀이요, 가창유희요 그리고 동요로 나눌 수 있다. 노동요나 의식요에는 동요가 포함되어 있지 않은데 비하여 놀이는 어른만 하는 것이 아니라 아이들도 하기 때문에 유희요에는 동요가 포함된다. 여기서의 분류는 2004년 2월 최상일이 개정하여 작성한 민요분류표에 따랐다.
여기서 앞으로 심층적으로 다루고자 하는 것은 유희요 가운데에 세시놀이요, 그 중에서도 무용유희요에 해당하는 우리 민족의 전통인 강강술래에 관한 것이다. 먼저 강강술래의 기원과 전승양상을 살펴보고 본문에서는 강강술래를 구성하고 있는 여러 가지 사설과 놀이의 내용을 중심으로 강강술래에 관하여 알아보고자 한다.
참고문헌
『남도민속문화론』, 표인주, 민속원, 2000
『노래놀이의 연구』,김명자,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 1989
『강강술래의 미학적 가치에 대한 연구』, 임명주, 1996
『강강술래의 연구 』, 서해숙, 전남대학교, 1996
『강강술래 : 우리 몸에 새겨진 삶의 노래』, 김혜정, 한얼미디어, 2004
『무용학회논문집』Vol.19,「강강술래의 미학적 가치에 대한연구」,임명주, 대한무용학회, 1996
『한국 구비문학의 이해』, 강등학 외 8인, 월인, 2002
『한국민요대전』, 최상일, 2004
문화재청 홈페이지 www.ocp.go.kr
우리의 소리를 찾아서 www.urisor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