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복식사] 조선시대 장신구

 1  [한국복식사] 조선시대 장신구-1
 2  [한국복식사] 조선시대 장신구-2
 3  [한국복식사] 조선시대 장신구-3
 4  [한국복식사] 조선시대 장신구-4
 5  [한국복식사] 조선시대 장신구-5
 6  [한국복식사] 조선시대 장신구-6
 7  [한국복식사] 조선시대 장신구-7
 8  [한국복식사] 조선시대 장신구-8
 9  [한국복식사] 조선시대 장신구-9
 10  [한국복식사] 조선시대 장신구-10
 11  [한국복식사] 조선시대 장신구-11
 12  [한국복식사] 조선시대 장신구-12
 13  [한국복식사] 조선시대 장신구-13
 14  [한국복식사] 조선시대 장신구-14
 15  [한국복식사] 조선시대 장신구-15
 16  [한국복식사] 조선시대 장신구-16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한국복식사] 조선시대 장신구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머리장식

2. 장신구
본문내용
- 쓰개류
1) 조바위

조선시대 여자들이 사용한 방한모의 하나이다. 조선말기에 양반부터 서민에 이르기까지 부녀자들의 외출용으로 널리 사용하였으며 예장을 갖추지 못할 시에 이것으로 대신하기도 하였다.
조바위는 대개 검정색이나 자색의 사(紗)나 단(緞)으로 하고 안은 남색, 자주색, 검은 색의 단(緞)이나 주(紬), 면으로 하였다. 아얌과 비슷한 형태로 위 정수리 부분은 트고 귀를 가리는 정도로 길이가 짧다. 그러나 아얌과 달리 댕기 같은 아얌드리가 없이 쪽이 나오도록 뒤가 파져있다. 또한 아얌이 귀를 엎지 않고 있는데 반하여 조바위는 빰에 닿는 부분을 동그랗게 하여 귀를 완전히 덮게 하고 바람이 안 들어가도록 가장자리가 오그라져 있다. 또
앞이마부터 뒤를 연결하는 끈이 달려있었는데 자주색 또는 검정색 구슬이나 산호를 꿰었고 그 양끝에는 술장식이 달려있었다. 이마 위에는 금·은·비취·옥 등으로 만든 희(囍), 예(禮), 수(壽), 복(福) 등의 글자판을 달거나 이러한 문자와 꽃무늬를 수놓았다. 화려하게 장식하기
위하여 수를 놓거나 금박을 한 것은 대개 어린이용이었다.

2) 남바위

남녀노소 공용으로 일명 '풍뎅이'라고도 하며 난이(暖耳)·이엄(耳掩)이라고도 한다.
옛날 '남(南)바위'라는 사람이 생각해내서 생긴 이름이라는 설도 있다. 겉의 아래 가장자리에 털가죽을 둘러 붙인 방한모로 이마·귀·목덜미를 덮게 되어 있다. 남바위는 원래 노인이 갓 밑에 귀를 가리는 방한모였으며, 조선초기부터 있던 이엄(耳掩)에서 나왔는데, 처음에는 상류층에서 일상복에 사용하다가 후기에는 서민층이나 예복, 구군복의 벙거지 밑에도 사용하게 되었다. 겉감은 대부분 두꺼운 비단(緞)이 사용되고 안감은 융이 사용되었으나 겉감으로 면, 안감으로 모가 사용되기도 하였다. 겉감은 주로 검은색이, 안감은 흑색·녹색·적색이 쓰였으나, 겉감에 남색·자색·밤색·옅은 보라색·옅은 녹색이 쓰이기도 하였고, 안감에 황색이 쓰이기도 하였다. 가장자리의 털은 흑색·짙은 밤색·현색(玄色)이 사용되었고, 술은 분홍이나 진분홍색이 많았다. 또한 여자용에는 길상문·학문·
참고문헌
국립민속박물관 인터넷 사이트
숙명여자대학교 박물관
http://apwin.women.or.kr/culture/cloth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