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인생가답사 - 이태준 선생의 생가 답사 보고서

 1  문인생가답사 - 이태준 선생의 생가 답사 보고서-1
 2  문인생가답사 - 이태준 선생의 생가 답사 보고서-2
 3  문인생가답사 - 이태준 선생의 생가 답사 보고서-3
 4  문인생가답사 - 이태준 선생의 생가 답사 보고서-4
 5  문인생가답사 - 이태준 선생의 생가 답사 보고서-5
 6  문인생가답사 - 이태준 선생의 생가 답사 보고서-6
 7  문인생가답사 - 이태준 선생의 생가 답사 보고서-7
 8  문인생가답사 - 이태준 선생의 생가 답사 보고서-8
 9  문인생가답사 - 이태준 선생의 생가 답사 보고서-9
 10  문인생가답사 - 이태준 선생의 생가 답사 보고서-1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 레포트 > 독후감
  • 2015.04.24
  • 10페이지 / hwp
  • 1,300원
  • 39원 (구매자료 3% 적립)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문인생가답사 - 이태준 선생의 생가 답사 보고서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문인생가답사
이태준 선생의 생가 답사 보고서
[목차]
1. 목차
2. [답사 개요]
1)조사일
2)장소
3)조사 목적
4)조사 개요
3. [작가 소개]
4. [이태준 선생의 생가 답사]
5. [답사 후기]
[답사 개요]
1.조사일
2.장소
-서울 성북구 성북동 248번지, 4호선 한성대 역에서 하차, 마을버스 1번을 타고 ‘쌍다리’역에서 하차
3.조사 목적
-이태준 선생의 생가 방문 목적은, 문인의 생가를 통해 그 시대 사람들의 생활을 추측해보고, 그가 남긴 흔적을 찾고, 그 흔적을 통해 그가 어떻게 살았는지 알아보려고 했다. 하지만 무엇보다도 그것들을 토대로 그의 작품 세계관에 어떤 영향을 입혔는지 알고자 했으며, 그에 대해 더 많이 생각해 보려고 했다. 또한 생가가 찻집으로 바뀌어 어떻게 유지되고 있으며, 다른 문인의 생가들을 어떻게 유지하면 좋을지 생각해보았다.
4.조사 개요
-성북동에 위치한 이태준 선생의 생가를 방문하였다. 생가는 찻집, ‘수연산방’으로 개조되어 유지되고 있었다. 별장형 주택으로 지어진, 작지만 아담한 집이었다. 손수 만들어 파는 차를 마셨고 깊은 맛을 느낄 수 있었다. 집안 곳곳에서 이태준 선생의 흔적을 찾아 볼 수 있었다. 그의 가족사진을 통해 그리고 그가 썼던 책들과 머물렀던 방, 작은 가구부터 시작해서 그가 심은 나무까지 살펴보면서 그의 생각을 느끼게 되었다. 무엇보다도 성북동과 연결하여 그의 집은 내게 많은 느낌을 주었다. 쓸쓸하면서도 가슴 따뜻한 그 무엇을 느꼈다. 그리고 이태준 선생의 삶을 생각해 보았으며 그를 느끼려고 했다. 그렇게 수연 산방에서 가을 속에 있는 봄을 느끼는 시간을 가졌다.
다만 생가를 방문하는 길이 위험했고, 나와 같이 답사를 목적으로 온 사람이 아닌 경우에는 이태준 선생에 대해 잘 모를 것이기 때문에 좀더 선생에 대한 소개나 글들이 있었으면 하는 바람을 가졌다.
[작가 소개]
상허 이태준 선생은 , , 등의 단편을 발표한 일제 치하에서 작품 활동을 했던 소설가 이다.
1904년에 강원도 철원에서 1남 2녀 중 장남으로 태어났다. 개화파였던 아버지 이문교가 여러 고초를 겪다 러시아의 블라디보스톡으로 가족을 데리고 이주하였다. 그때 그의 나이는 6세가 되던 1909년이었다. 그 곳에서 그는 부모님을 모두 여의고 15살까지 고아로 친척집을 연연하다가 원산으로 가출을 한다. 그 후 배제학교에 응시하여 합격을 하지만, 등록금이 없어 배회하다가 한 상인의 호희로 청년회관의 야학교 고등과에 입학하게 되어 공부를 한다. 그 후 휘문 고등 보통 학교에 입학하였고, 교장 선생님의 도움으로 교장실을 청소하면서 학비를 벌었다. 그래서 이 시절에 많은 문학작품을 탐독할 수 있었다. 하지만 불행히도 학교의 비리와 교주의 횡포에 대항해서 일어선 동맹휴교 사건에 그가 깊이 관여되어 역시나 순탄치 않은 학교생활을 하게 된다. 어떤 계기로 그가 이 사건의 주모자로 연루되었는지 그 확실한 이유는 알 수 없지만 아마도 그가 고아라는 특수한 신분 때문에 사회의 냉대와 차별에 대해서 상당한 불만을 품고 있었으며, 여기에 문학적인 열정과 결백성을 소지한 젊은이의 가슴에 욱하는 반항심이 도화되었던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