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업계획서 - 여성 지적장애인의 취업준비를 위한 Image Making Program

 1  사업계획서 - 여성 지적장애인의 취업준비를 위한 Image Making Program-1
 2  사업계획서 - 여성 지적장애인의 취업준비를 위한 Image Making Program-2
 3  사업계획서 - 여성 지적장애인의 취업준비를 위한 Image Making Program-3
 4  사업계획서 - 여성 지적장애인의 취업준비를 위한 Image Making Program-4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사업계획서 - 여성 지적장애인의 취업준비를 위한 Image Making Program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사업계획서
Ⅰ. 사업계획
1. 사업명 :
여성 지적장애인의 취업준비를 위한 Image Making Program
2. 사업의 필요성
1) 대상자 특성
본 사업은 취업을 희망하는 장애인을 대상으로 하고 있으며 그 중에서 자신의 이미지 관리의 중요성을 인식하지 못하여 취업에 어려움을 가지고 있는 정신지체 및 발달장애를 대상으로 한다. 이러한 경우 오랫동안 낮은 자존감과 학습된 무기력으로 인하여 일상생활이나 지역사회에서 독립적으로 살아가는 데 많은 어려움을 가지고 있으며, 또한 대인 관계를 형성하는 기회를 많이 접하지 못하여 올바른 대인관계를 형성하는 방법에 대해 알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그리고 여성 지적장애인들에 대한 부정적 이미지로 지역사회내의 취업이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그들의 자기관리 부족으로 인하여 비장애인들이 대상자에 대해 가지고 있는 이미지는 부정적인 이미지가 대부분이다. 이러한 부분보다는 이러한 어려움을 극복할 수 있도록 장애인 개인이나 사회적인 인식을 개선한다면 비장애인과 동일한 조건에서의 취업은 물론 자연스러운 사회통합을 이룰 수 있다.
여성 지적장애인이 그들의 장래를 상상하거나 계획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이다. 막연하게 취업을 희망하지만 직업의 자세한 정보가 없어 구체적이며 현실적인 취업계획을 세우기 어려운 현실이이지만 이미지메이킹을 통해 적극적으로 변화를 주고자 한다.
2) 지역 환경적 특성
여성 지적장애인의 취업욕구를 살펴보면 인천의 경우 지적장애인 전체의 87.2%가 취업욕구를 가지고 있었으며, 취업을 원하지 않는 지적장애인의 이유를 살펴보면 장애 때문에 직장에 적응하지 못할까봐 두려워서가 거의 50.0%가 되었다.(인천광역시 남동구청, 2005) 또한 전국 정신지체 장애인을 대상으로 직업 관련 서비스 욕구를 조사한 결과 취업이 54.9%로 나타났다. 그리고 취업 전의 직업훈련 부분과 관련하여 19.2%가 욕구를 가진 것으로 조사되었다,(사회복지개발연구원, 2000) 이러한 조사결과로 보아 여성 지적장애인의 취업에 관한 욕구가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장애인의 취업욕구에 반해 장애인 고용을 저해하는 요인 중 장애인 스스로의 이미지 관리와 대인관계의 어려움이 크게 작용을 할 것이라고 생각하는 바이다.
인천시 남동구는 대규모 임대아파트 단지가 들어서면서 사회복지수급자가 몰리고 있으며, 올해 5월 기준 논현 지구 5·12·14단지 국민임대 아파트 3천527세대 7천904명 중 기초생활수급자, 모·부자 가정, 장애인, 노인 등 복지 대상자는 2천908명으로 36.7%를 차지하고 있고 이 중 장애인은 438명으로 5.54%로 나타났다. (2007. 05. 인천시) 남동구만 놓고 볼 때 지난 2005년 말 총인구대비 복지대상 비율이 3.19%였던 것이 작년 말엔 3.54%로 늘어난 데 이어 올 6월에는 3.74%나 차지하고 있다. 이러한 조사결과를 보았을 때 남동구의 복지대상자의 인구비율은 점차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이러한 특성은 장애인에 대한 부정적 인식 또한 증가한다는 것과 맥을 같이 한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장애인의 고용저해요인을 해소하고 적극적인 취업노력을 위한 이미지 메이킹 프로그램으로 장애인의 취업가능성을 높이고자 한다.
3) 이론적 근거
여성 지적장애인의 경우 일상생활이나 지역사회에서 독립적으로 살아가는 데 많은 어려움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자신의 일상생활을 조절할 수 있고, 자신의 느낌이나 생각과 관련하여 내린 선택이 존중받고, 자신이 속한 지역사회의 구성원이 되기 위한 자기결정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자기결정 기술을 습득하기 위한 방안으로 비디오 공학을 사용하여 직업 훈련과 여러 사회 기술들의 일반화를 촉진하며 사회인으로 전환을 도와주기 위하여 비디오 자기모델링이라는 기법을 사용한다.
비디오 자기 모델링은 비디오를 통해 자기 자신의 모습을 모델링하는 방법이다. 비디오를 이용한 관찰적 교수 방법은 부적절한 사회적 행동을 감소시키거나, 적절한 사회적 행동을 증가시키거나, 이 두 가지를 모두 충족시키는 형태로 행동문제에 대한 중재에서 효과를 보인다. 부적절한 사회적 행동은 그와 짝을 이루는 적절한 사회적 행동과 함께 발생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으므로 관찰적인 비디오 중재를 통해 행동문제를 지닌 장애인에 대한 긍정적인 행동지원에 효과적이다. (김정균, 2005)
비디오 자기모델링은 모델과 관찰자의 유사성으로 관찰자의 주의집중 과정을 촉진하여 학습이나 행동에 효과가 있다. 또한 자기모델링을 통해 성공만을 보여주기 때문에 자존감을 증가시키고, 이것이 다시 행동변화를 가져올 수 있다는 장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동기유발을 증가시키고 행동형성과 자기평가, 사회적 기술습득에 효과적인 것으로 보고되었다.(Dowrick & Dove, 1980)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