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자행동] 소비문화

 1  [소비자행동] 소비문화-1
 2  [소비자행동] 소비문화-2
 3  [소비자행동] 소비문화-3
 4  [소비자행동] 소비문화-4
 5  [소비자행동] 소비문화-5
 6  [소비자행동] 소비문화-6
 7  [소비자행동] 소비문화-7
 8  [소비자행동] 소비문화-8
 9  [소비자행동] 소비문화-9
 10  [소비자행동] 소비문화-10
 11  [소비자행동] 소비문화-11
 12  [소비자행동] 소비문화-12
 13  [소비자행동] 소비문화-13
 14  [소비자행동] 소비문화-14
 15  [소비자행동] 소비문화-15
 16  [소비자행동] 소비문화-16
 17  [소비자행동] 소비문화-17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소비자행동] 소비문화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소비문화란?
2. 소비문화의 예
3. 한국의 소비문화
4. 광고가 우리나라 소비 문화에 미친 영향은 ?
5. 문화비평 - 소비문화
6. 대학생 소비문화에 대한 설문(2001)
7. 잘못된 소비문화의 형태와 개선점
8. 잘못된 소비생활의 개선방향
본문내용
1. 소비문화란?
사람은 태어나면서부터 죽어서 땅에 묻히기까지 평생 동안 소비활동을 하게 된다. 한 사람의 평생 동안 이루어지는 소비활동을 통해 소비문화는 자연스레 이루어지게 마련이다. 세상에 태어난 모든 사람들은 그들에게 주어진 계급별, 지위별 등 각자가 처한 상황에 맞게 소비활동을 하면서 그에 맞는 소비문화를 이루고 있는 것이다. 그 예로, 고소득층은 그들에 맞는 과소비와 과시욕으로 인한 고급소비문화가 이루어지고, 저소득층은 그들에 맞는 과소비나 과시욕으로 인한 것이 아닌 실용적이고 저렴한 소비문화가 이루어지고 있다.

2. 소비문화의 예
․ 욘겔지수
- 유행어, 신조어
- 일본에서 인기를 불러 일으키고 있는 한국 드라마 '겨울연가'의 소비문화를 나타낸 신조어.
[배용준 + 엥겔지수]의 합성어로 이루어진 이 낱말은 '겨울연가'와 관련된 상품(DVD, 브로마이드, 포스터 등)의 소비가 급증해지자, 일본 사람들이 만들어낸 합성어라고 할 수 있다.
예문) '겨울연가'와 관련된 상품을 많이 구입할 수록 욘겔지수도 올라간다.

3. 한국의 소비문화
첫 번째, 유행 지향성을 추구하는 소비문화가 있다. 우리나라 소비자들 사이에 몇 년 전부터 황신혜 목걸이, 송혜교 스타일 등등 특정 연예인이 착용하거나 사용한 물건을 그 사람의 이름을 앞세워 유행시키는 경향이 등장했다. 이처럼 특정인의 스타일을 따라 구매하는 현상은 아마도 우리나라에만 있는 독특한 것이리라. 흔히 마케팅이나 광고 현장에서 가장 목말라 하는 것은 튀는 아이디어이다. 사람들의 시선과 호기심, 그리고 나아가서 관심을 이끌어내기 위해서는 튀어야만 한다는 강박관념에 사로잡혀 있다. 그래서 광고 컨셉트를 구상할 때에도, 제품 기획에 서도, 심지어는 책 제목을 기획하더라도 특이하고 새로운 것을 찾아 밤잠을 설친다. 이들은 소비자들 역시 튀는 물건, 새로운 것, 그리고 남과 다른 것을 원한다고 생각한다. 그런데 정말 요즘 소비자들이 튀는 것, 독특한 것, 개성 있는 것을 좋아하는가? 자기만의 개성과 독특성을 추구하는 소비자들이 왜 누구누구 스타일, 아무개형 제품을 그토록 열심히 따라하는 것일까?
소비자의 독특성 욕구(need for uniqueness)가 있는데, 최근 들어 나타나는 재미있는 현상으로는 미국 등에 비해 소비시장 규모가 작은 우리나라의 경우 정상적인 유행 주기를 밟지 않는 경우가 많다는 것이다. 정점에 이른 트렌드가 쇠퇴기를 거치지 않고 그 자리에「증발」해 버리는 현상이 나타난다. 머천다이저나 디자이너들에 의해 기획된 다음 트렌드가 재빨리 진입함으로써 상종가인 유행만이 연속되도록 만드는「냄비 시장」의 특징이 나타나는 것이다. 이런 현상은 인터넷의 영향으로 유행의 확산 속도가 빨라져서 쇠퇴기를 거치지도 못한 채 새로운 유행의 물살로 거대 이동이 일어나는 것인데, 그렇다면 왜 이렇게 우리 현대 소비자들은 새로운 유행으로 빨리 이동하는가?
소비 행위는 개인의 독특성을 표현하기에 좋은 영역이다. 다른 사람들과 자신을 구별하기 위해 어떤 물건을 구매하거나 자신의 소유물을 드러내는 것은 일상에서 빈번히 일어나는 행동이면서 구별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유행 주기가 짧은 한국은 앞서 유행주기와 관련해서 유행의 정점에서 쇠퇴기를 거치지 않는 특이한 현상이 한국 소비시장에서 나타난다는 점을 언급하였다. 왜 우리 소비자들은 독특성 욕구가 높은데도 유행에 민감하게 반응 할까? 유행 주기가 유래 없이 짧은 이유는
참고문헌
- 두산 백과사전
- www.fnnews.com/html/fnview/2003/ 0423/091926447413171550.html
- 네이버 지식검색 / 백과사전
- 엠파스 지식검색 / 백과사전
- 광고강좌 http://edu.advertising.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