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문학 살리기 인성교육 인문학 위기론

 1  인문학 살리기 인성교육 인문학 위기론-1
 2  인문학 살리기 인성교육 인문학 위기론-2
 3  인문학 살리기 인성교육 인문학 위기론-3
 4  인문학 살리기 인성교육 인문학 위기론-4
 5  인문학 살리기 인성교육 인문학 위기론-5
 6  인문학 살리기 인성교육 인문학 위기론-6
 7  인문학 살리기 인성교육 인문학 위기론-7
 8  인문학 살리기 인성교육 인문학 위기론-8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인문학 살리기 인성교육 인문학 위기론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정의 : 인문학(人文學, Humanities Humanitas에서 유래. 고대 로마 정치가 키케로, 『웅변가에 관하여(Oratore)』에서 처음 사용. ‘인간됨’, ‘인간성’의 의미.
)은 인간과 인간의 근원문제, 인간의 사상과 문화에 관해 탐구하는 학문. 인간 본연의 존재가치와 인생의 기간 동안 수반되는 모든 활동을 연구하는 학문. 분석적이고 비판적이며 사변적인 방법을 폭넓게 사용한다.
-기능 : 인문학은 지적, 도덕적, 미학적 감수성과 반성적 비판력을 길러준다. 또한 자아 성찰의 능력과 사회에 대한 균형 잡힌 비판 능력 및 세계에 대한 통합적 사유 능력 등을 심어준다. 인문학 교육이 중학생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김영욱, 2013.
-하위 분야 : 고전학, 역사학, 언어, 음악사학, 공연예술학, 연극, 철학, 종교학, 미술사학 등
2) 역사
-고대 그리스 *로마 시대 동안 4과(음악, 기하, 산술, 천문)와 함께 3학(문법, 수사, 논리)를 포함해 7가지의 자유 인문 학문의 개념이 만들어졌다. Levi, Alber W. (1970년) 《오늘날의 인문과학(The Humanities Today)》.블루밍턴 : 인디애나 대학 출판부
*파이데이아(paideia) : 교육 혹은 학습이라는 뜻으로 기원전 5세기 중반의 소피스트들이 젊은이들을 건전한 시민으로 키워 내는 것을 의미했으며 체조, 수사학, 문법, 음악, 철학 등이 포함되어 있었다. 그리스 교육의 인본주의적 특성이 스며들어 있으며 건강한 신체와 정신의 조화를 추구하며 아름다고 선한 인간을 지향했다.
-르네상스 : 중세의 신 중심의 순종적 가치관에서 인간본연의 정신을 회복하고 되살리자는 가치관으로의 전환이다. 인문학은 비로소 인간가치에 대해 되돌아봄과 동시에 인간이란 무엇이고 왜 그리고 어떻게 살아야 하는지 대한 고찰과 탐구를 시작한다. 14세기 인문주의자 프란체스코 페트라르카는 “젊음을 유지하고 노후를 즐기며, 번영을 강화하며, 역경의 피난처가 되거나 위안을 제공받는 학문”이라고 인문학을 정의했다.
2. 인문학 위기론
1) 전국 인문대 학장들이 인문학 위기에 대한 반성과 지원 호소를 담은 ‘오늘의 인문학을 위한 제언’ : 대학에서의 인문교육의 축소
참고문헌
8. 참고 문헌
고종석. 2006. 「인문학의 위기?」, 『한겨레』, 2006년 9월 28일 30면.
교육과학기술부.
김영욱. 2013. ‘인문학 교육이 중학생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네이버 지식백과] 인성교육진흥법 (시사상식사전, 박문각)
신승환. 2006. 「‘울림’없는 인문학 위기선언」, 『경향신문』, 2006년 10월 12일 26면.
신승환. 2012. 「지금 여기의 인문학」. 휴마니타스.
쉽고 자세하게 알아보는 2017 교육정책 - 2. 인성교육
얼 쇼리스. 2006. 「희망의 인문학」.
유상호. 2006. 「“인문학 살리자” 피맺힌 호소」, 『한국일보』 2006년 9월 26일 9면.
유재봉, 「학교 인성교육의 문제점과 방향 = School Education for Humanity: Problems and Directions」, 『교육철학연구(The Korean Journal of Philosophy of Education)』Vol.38 No.3, 2016
이병승, 『교육의 논리와 사고』
이호준. 2006. 「“인문학의 위기 타개”선언문 : 고려대 문과대 교수 121명 전원」. 『경향신문』 2006년 9월 15일, 9면.
이호준. 2006. 「“인문학의 부흥은 제대로 된 글쓰기부터(사설)」, 『조선일보』 2006년 9월 21일 35면.
인디고 아이들. 2009. 「정세청세 : 정의로운 세상을 꿈꾸는 청소년, 세계와 소통하다.」.궁리.
위키백과.
홍세화. 2006. 「인문학의 위기」, 『한겨레』, 2006년 9월 27일 26면.
한국연구재단.

-한국연구재단을 통한 새로운 연구지원과 인문강좌 대중화 사업
-‘인문한국(Humanities Korea)’ : 2007년 5월 교육과학기술부는 2016년까지 10년 동안 4000억을 지원하겠다고 발표하였다.
-‘시민인문강좌 지원사업’
-‘석학과 함께하는 인문강좌’
-다른 도시와 지방으로, 인문학의 대중화, 대상의 다변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