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족과 관련한 영화감상문

 1  가족과 관련한 영화감상문-1
 2  가족과 관련한 영화감상문-2
 3  가족과 관련한 영화감상문-3
 4  가족과 관련한 영화감상문-4
 5  가족과 관련한 영화감상문-5
 6  가족과 관련한 영화감상문-6
 7  가족과 관련한 영화감상문-7
 8  가족과 관련한 영화감상문-8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가족과 관련한 영화감상문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여기 못난 남자들이 있다. 몸집은 건장하고 힘이 넘친다. 풍류도 즐길 줄 안다. 그러나 돈을 못번다. 일자리가 없기 때문이다. 백인들이 접수한 나라에서 원주민계 출신들은 스스로의 텃밭을 뺏기고 변방으로 쫓겨났다. 그리고 술과 마약과 폭력으로 범벅된 하루하루를 살아가게 된다. 자신들의 정체성을 원망하면서 그런데 이 못난 남자들이 아내를 때린다. 아이들을 때린다. 일종의 스트레스 해소고, 자괴감이 약자에 대한 폭력으로 대체되는 것이다. 여자와 아이들은 반복되는 이 절망적인 현실에서 삶의 의미를 찾지 못한다. 뉴질랜드의 마오리族 이야기다. 가족과 부족에 대한 책임감이 강하고, 그 책임감을 위해서 목숨걸고 싸우는 것을 서슴지 않는 강인한 전사(戰士)들인 뉴질랜드의 원주민 마오리족. 그렇지만 그들은 뉴질랜드에 백인사회 건설되면서, 미국의 인디언처럼 소수민족이 되고 도시 속에서 소외되면서 빈민계층의 하나로 전락한다. 어른들은 실직자로 빈둥빈둥 놀고, 아이들은 일찌감치 어른들과 유사해지면서 범죄집단에 빠져든다. 이건 분명 뉴질랜드의 문제다. 이 영화에서도 이 문제를 건드리고 있다. 그러나 이 영화는 단순한 사회고발물이 아니다. 문제가 해결되려면 먼저 문제를 해결하라!고 외쳐야 한다. 행동해야 하는 것이다. 이 영화는 그 실천을 요구한다. 그렇지만 는 선전선동이 목적인 영화가 아니다. 그 이전에 정말로 중요한 것을 말하고 있으며, 그 말이 보는 사람의 가슴을 진하게 두들기며, 독특한 감동을 느끼게 한다.
주인공인 베스의 남편은 정열적이고 카리스마가 있어 마오리족 사람들 사이에서도 인기가 높다. 그렇지만 그 또한 일없이 놀고먹는 여타 마오리족 남자들과 똑같은 신세다. 아내가 조금이라도 입바른 소리라도 하면 여지없이 심한 구타를 하는 것도 다른 남자들과 다를 게 없다.
베스는 살아가는 게 힘겹기만 하다. 큰아들은 갱 단에 가입하고 둘째아들은 도둑질하다 소년원에 갔다. 그럼에도 그런 삶에 순응하던 베스는 전환점을 맞는다. 큰딸이 그 잘난 남편의 친구에게, 마오리족 남자에게 강간을 당하고 자살을 한 것이다. 베스는 남은 아이들을 데리고 못난 마오리족 남자들이 우글거리는 도시를 떠난 마오리족의 숨결이 살아있는 시골로 간다.
그곳에서 아이들에게 마오리족의 정신을 배우고 느끼게 한다.
못난 남자들이 사실상 끊어 놓다시피한 진정한 마오리족의 대(代)를 잇게 하는 것이다. 제목 전사의 후예가갖는 뜻이다.
이 영화는 끊어진 대를 여성으로 하여금 잇게 함으로써 대를 잇는 건 남성이란 사회적 고정관념을 정면으로 깨부순다. 세상의 절반(남자)이 못나게 군다고 절망하지 말고, 스스로 세상의 절반(여자)으로서의 역할을 하라는 메시지를 베스를 통해서 전하고 있다. 단순무식한 남성위주의 세계를 현명하고 용기있는 여성이 바꾸자!
1)심리적 요인
아내구타자들 중 많은 경우가 자신의 아내를 사랑하기 때문에 때린다고 생각한다는 점이다. 즉 아내의 결점을 고쳐주기 위하거나, 버릇을 고치기 위해 때린다고 생각하는 것이다. 이것은 책임회피와 자기 기만, 그리고 합리화이기도 하다. 그러나 기본적으로는 아내구타자들의 우월 의식에서 나온다(강경호, 2003:163). 따라서 남성들은 아내가 심한 잔소리와 비영성적인 태도로 자극할 때, 혹은 자신들의 주체할 수 없는 가학적인 충동 때문에 폭력을 행사하게 된다는 것이다. 이에 더 구체적으로 남성학대자들이 심리적 특성 요인들을 살펴보면 첫째, 때리는 남편은 자존심이 낮아 사소한 일에 감정폭발이 잘 되고, 전통적으로 가부장적인 남성 우월 의식에 빠져 있으며, 이중 성격을 가진 경우가 많은 낮은 자존감이다. 둘째, 폭행자의 자녀의 힘이 약한 데서 시작되고, 처음에는 아내에 대한 관심과 사랑으로 나타나다가 차츰 그녀를 소유하며 행동 하나 하나를 지켜보고 참견하는 질투심이다. 셋째, 어떤 규범 속에서 살아가는 그들은 정서적으로 어려움이 생길 때에 부정, 투사, 공격성 등과 같은 일차적 방어기제를 사용하는 스트레스 문제이다. 넷째, 아내를 때리는 남편들 가운데는 자신의 행동 이면의 동기를 따져 보거나 그러한 행동을 시인하는 사람은 거의 없는 무력감과 열등의식이다.
세상에 과시하는 자기
속으로 생각하는 자기
참고문헌
II. 참고문헌
권진숙(2006). 가족복지론. p, 151 ~ 152. 서울 : 공동체.
http://book.booktopia.com/Product/Boo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