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장애인 복지학 연구동향 분석 과고찰

 1  한국 장애인 복지학 연구동향 분석 과고찰-1
 2  한국 장애인 복지학 연구동향 분석 과고찰-2
 3  한국 장애인 복지학 연구동향 분석 과고찰-3
 4  한국 장애인 복지학 연구동향 분석 과고찰-4
 5  한국 장애인 복지학 연구동향 분석 과고찰-5
 6  한국 장애인 복지학 연구동향 분석 과고찰-6
 7  한국 장애인 복지학 연구동향 분석 과고찰-7
 8  한국 장애인 복지학 연구동향 분석 과고찰-8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한국 장애인 복지학 연구동향 분석 과고찰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1. 연구목적: 본 연구는 장애인복지학의 이론적 패러다임에 따라 한국장애인복지학 연구동향에 관한 분석과 장애인복지학의 기술적·이론적 분석을 통해 한국장애인복지학의 변화의 흐름을 살펴보고 한국장애인복지학이 지향해야 할 방향성에 대한 논의의 장을 마련하고자 함.
2. 분석대상: 2005년 11월 기준 사회복지학이 주 전공인 학회 중 학술진흥재단 등재지, 등재후보지로 등록된 9종(한국사회복지학, 한국아동복지학, 사회복지연구, 정신보건과사회사업, 한국사회복지정책학, 사회보장연구, 한국사회복지행정학)의 학회지에 수록된 장애복지관련 논문.
3. 자료수집 및 분석: 9종의 학술지 목차를 세부적으로 점검 후 장애관련 논문을 선별하고, 연구자가 탐독 후 사분모델의 기준으로 분류함. 장애분류기준은 2003년 7월 공포된 15종의 장애를 모두 포함하지만 정신장애는 제외하였음.
연구동향 분석은 ①1979년 한국사회복지학 창간호부터 2005년에 이르기까지 한국장애인복지학 형성을 주도해 온 연구동향은 무엇인지에 대한 기술적 분석, ②이론적 분석의 틀 중 하나인 사분모델에 의거하여 이론적 경향이 사분모델 중 어디에 해당하는지 경험적(exploratory)방법을 활용하여 분석함.
4. 연구의 내용요약
1)서론
한국장애인복지정책과 장애운동은 양적·질적 성장을 거듭해 오고 있는 시점에서 장애인복지의 환경적 변화를 장애인복지학은 어떻게 반영해 왔는지를 살펴보고 향후 지향해야하는 방향성을 제시하기 위한 연구가 필요함.
장애에 대한 이론으로 ①개인적 모델과 ②사회적 모델이 있으며 이중 개인적 모델 또는 의료적 모델이 지배적인 이론으로 통용되고 있으며, 서로 대립적인 이론으로 이해되어 왔음.
①개인적 모델(의료적 모델)이란 장애인은 중대한 손상을 겪었고 그 결과 우울과 비탄을 경험하는 것으로 추정하며, 장애인들이 가진 개인적·환경적 강점을 소홀히 하고, 장애인이 지닌 손상에만 과도하게 초점을 맞춰옴으로써 장애인에 대한 부정적 관점 형성에 영향을 미쳐옴. 때문에 사회복지는 장애인들이 그들에게 다가오는 제약에 대처하고 사회에 적응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해 의료적이고 정신 치료적이며 개인에 초점을 맞춰진 모델을 강조해 왔다고 주장함(Gilson, Depoy and MacDuffie, 2002; Oliver and Sapey, 1999).
②사회적 모델이란 장애가 장애를 가진 사람들에게 부과되는 사회적 제약들에 의해 생산된다는 입장을 정립함(Oliver, 1989; Shogan, 1998)으로써, 어떤 사람이 세계를 이해하는 바와 그 방식은 그 개인과 사회 사이의 관계들과 독립적으로 존재할 수 없기 때문에, 장애를 정의하는 내용과 방식에는 장애가 하나의 현상으로서 나타나는 사회적 맥락(social context)이 반드시 고려되어야 한다는 것(Jones,1996; Oliver, 1998)을 말함. 사회복지사들에게 어떻게 장애가 사회적인 구성물인가에 관한 신선한 관점을 제공함.
그러나 개인적 모델과 사회적 모델은 장애를 설명하기에는 단순하며 이론이라기보다는 패러다임에 유사하다는 한계를 지님(Oliver, 2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