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인이 좌석 노약자석과 일반 좌석을 요구할 수 있는가

 1  노인이 좌석 노약자석과 일반 좌석을 요구할 수 있는가-1
 2  노인이 좌석 노약자석과 일반 좌석을 요구할 수 있는가-2
 3  노인이 좌석 노약자석과 일반 좌석을 요구할 수 있는가-3
 4  노인이 좌석 노약자석과 일반 좌석을 요구할 수 있는가-4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노인이 좌석 노약자석과 일반 좌석을 요구할 수 있는가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노약자석의 의미는 대중교통에서 노령과 질병, 장애 등의 이유로 몸이 불편한 사람을 위한 자리를 말합니다. 하지만 요즘 노약자석이 마치 노인의 것 즉 노인의 편의를 위한 자리로만 여겨지고 노인 분들의 전유물로 인식되고 있습니다. 이허한 인식들로 인해 많은 문제들이 발생하고 있습니다.
본론
몇 가지 사례와 사진을 제시하겠습니다. 첫 번째 사례는 A 씨는 지하철을 이용할 때면 다른 사람들과 떨어져 있어야 안심이 된다. 피부가 닿기만 해도 극심한 통증을 느끼는 CRPS(복합부위 통증 증후군)을 앓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던 A 씨는 지하철 노약자석에 앉아 있다가 한 아주머니로부터 꾸지람을 들었다. “멀쩡하게 생긴 젊은이가 왜 여기 앉아 있냐”는 것이었다. 억울했던 A 씨는 웅성대는 사람들에게 “젊은 사람이 노약자석에 앉아 있으면 그럴 만한 이유가 있다고 생각 해달라”고 호소해야 했다.
임신 4개월차 주부 B 씨는 노약자석에 앉아 있다가 “일어나라”고 막무가내로 화를 내는 50대 남성에게 면박을 당했다. 엉거주춤 일어선 B 씨는 “임신부인데 힘이 들어 잠시 앉아 있었던 것”이라고 해명했다가 “내가 임신부인줄 알았나? 말을 해야지”라는 말을 들었다. “임신부라고 일일이 말을 해야 하느냐?”며 묻자 남성은 “당연하지! 안 그러면 어떻게 알아!”라고 대꾸했다. B 씨는 “이날 이후 아무리 힘이 들어도 노약자석엔 절대 앉지 않는다”고 말했다.
겉으로 드러나지 않는 어려움을 가진 환자ㆍ임신부 등 교통 약자들이 지하철 노약자석을 이용하려다 주변 사람들의 따가운 눈총과 비난을 사는 일이 끊이지 않고 있다. 서울도시철도공사(지하철 5~8호선)에 따르면 ‘노약자석 자리 다툼 민원 건수’는 지난해 174건으로 3년전인 2009년(136건)보다 21%가량 증가했다. 서울메트로(지하철 1~4호선) 관계자는 “탑승객들의 의식ㆍ문화의 문제여서 적극적으로 개입하기엔 어려움이 있다”며 “안내방송ㆍ교통약자 배려 홍보물 등 캠페인을 지속적으로 시행 중”이라고 말했다. 일부의 잘못된 행태 때문에 오해와 갈등이 커진 것이란 해석도 나온다. 대한은퇴자협회(KARP)의 설문조사를 보면, 40대 이상 장ㆍ노년층에게 ‘노약자석에 젊은이가 앉아 있다면 어떻게 할 것이냐’고 묻자 66.7%가 ‘그럴 만한 이유가 있을 것으로 보고 아무 말 안한다’고 답했다. ‘미안해할까봐 멀리 떨어져 서서 간다’는 응답자도 14%였다.
두 번째 사례
올 초 서울지하철공사는 노약자석을 전 노선에 추가 설치하려던 계획을 철회했다. 1호선 구간 16대에 한해 시범실시를 시작한 지 열흘도 안 돼 젊은 네티즌들이 서명운동까지 하며 반대했다. 공사 측은 매년 6%씩 늘어나는 노인들을 수용하기에는 한 칸 12석의 노약자석이 부족하다고 판단, 26석으로 늘리려 했지만 반응은 냉담했다. 지하철공사 관계자는 "노인공경이라는 상식에 호소했는데 노인에 대한 반감이 이렇게 클 줄 몰랐다"고 말했다. 노인 500만 시대에 접어들면서 새로 등장한 노인 세대와 젊은층의 갈등과 조화 문제가 새로운 사회 문제로 떠오르고 있다. "나이 먹었으니 대우 받아야겠다"는 노인들과 "그런 시대는 지났다"고 반박하는 젊은이들이 곳곳에서 충돌하는 양상도 벌어진다. 산업화·핵가족화가 진행되고 기존 가치관이 붕괴되면서 신구 세대 간 커뮤니케이션 통로가 붕괴되고 있는 상황인 것이다. 고려대 사회학과 현택수 교수는 "현재 노인들은 대가족 제도하에서 6·25와 산업화를 겪어, 젊은 세대와 공유할 수 있는 경험이 거의 없다"며 "급격한 사회변화를 겪은 한국만의 특징"이라고 말했다. 통계청이 2006년 발표한 고령자 통계에 따르면, 10~60대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서 노인을 공경한다는 응답은 39%, 공경하지 않는다는 약 52%에 달했다.
그러나 이제 막 노년층에 흡수된 60대의 경우, 자원봉사 등 사회참여를 통해 세상과 소통하려는 움직임도 나타나고 있다. 20~30년이나 남은 인생을 노인이라는 이유로 차별 받으며 살 수 없다는 인식 때문이다. 한국사회복지협의회에서 조사한 결과 자원봉사 활동에 참여하는 노인은 2004년 1만1064명에서 2007년 4만2624명으로 3년 동안 3.85배 늘었다. 서울 용산노인종합복지관 홍태임 사회복지사는 "예전엔 공짜 밥 한 끼 아쉬워 오는 분들이 많았는데 이제는 자원봉사 등 자기 역할을 찾아 오는 노인들이 부쩍 늘었다"고 했다. 초등학생 한자 강의, 법원 민원실 도우미, 주례 봉사단, 원로 보이스카우트…. 퇴직 교사인 전달구(71)씨가 5년째 하고 있는 자원봉사 목록이다. 고궁(古宮) 가이드 등 외국인 상대 자원봉사도 욕심 나, 독학으로 영어와 일어까지 공부하고 있다. 그는 "집에서 할 일 없이 죽을 날만 세고 있으면 어느 누가 와서 대접해주냐"며 "나를 기다리고 필요로 해주는 사람들을 보면서 사는 의미를 느낀다"고 했다. 해외로 자원봉사를 떠나는 노인들도 등장했다. 10년 전 은행에서 은퇴한 유돈규(65)씨는 한국국제협력단(KOICA) 일원으로 르완다행을 앞두고 있다. 가족들과 떨어져 2년간 타지 생활을 해야 하지만, 유씨는 다시 사회와 어울릴 수 있다면 어디든 상관없다는 생각이다. 국제협력단 관계자는 "고된 일임에도 2~3년 전부터 60대 이상 노인들 참여가 눈에 띄게 활발해졌다"며 "경험 많은 은퇴 노인들이 봉사 질을 한층 높여 젊은 친구들도 환영한다"고 했다. FC서울 팀 서포터인 장종수(61) 씨는 3년 전부터 빨간색 유니폼을 입고 아들·손자 또래의 축구팬들과 대~한민국을 외치는 골수 축구 팬이다. 장씨는 "먹고 살기 바빴던 지금 노인들은 젊었을 때 자신만의 취향이나 취미를 가지지 못해 젊은 층과의 틈새가 더 컸다"며 "앞으로 노인이 될 40~50대들은 지금과 많이 다를 것"이라고 말했다. 최근 노인들 사이에 불고 있는 IT 붐도 노인들의 사회참여를 반영하고 있다. SK텔레콤에 따르면 60대 이상 노인들이 보내는 문자메시지 개수는 2005년 12월 2422만 건에서 지난해 12월 4248만 건으로 2년간 75.4% 증가했다. 1인당 보낸 문자메시지도 평균 66건에서 71건으로 증가했다.
세 번째 근거
결론 및 나의 의견정리
첫 번째 사례를 보면 극심한 고통을 앓고 있는 사람에게 까지도 젊다라는 이유로 좌석을 요구하고 비키라고 주변 사람들에게도 비난을 받는 경우입니다. 앞서 말한 노약자석의 의미를 노인자리인 것으로 왜곡시켜 정말로 몸이 아픈사람들은 앉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