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대 선의지 역주의 투표행태 분석과 개선방안

 1  대대 선의지 역주의 투표행태 분석과 개선방안-1
 2  대대 선의지 역주의 투표행태 분석과 개선방안-2
 3  대대 선의지 역주의 투표행태 분석과 개선방안-3
 4  대대 선의지 역주의 투표행태 분석과 개선방안-4
 5  대대 선의지 역주의 투표행태 분석과 개선방안-5
 6  대대 선의지 역주의 투표행태 분석과 개선방안-6
 7  대대 선의지 역주의 투표행태 분석과 개선방안-7
 8  대대 선의지 역주의 투표행태 분석과 개선방안-8
 9  대대 선의지 역주의 투표행태 분석과 개선방안-9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대대 선의지 역주의 투표행태 분석과 개선방안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2017년 5월 9일 제 19대 대선이 이뤄졌다. 우리 사회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지역감정, 지역주의 문제는 수 십 년간 학자들에 의해서 논의 되어져 왔다. 지역주의는 크게 충남 경계로 나뉜 것과, 영남권과 호남권이 나뉘는 지역주의가 있었고, 아직까지 그런 지역주의가 존재 하고 있다. 그 중에 지역주의는 선거와 관련하여 나타날 때가 많은데, 그 지역을 대표하는 후보자에 대해서 일방적으로 지지를 하는 경우가 많다. 이렇게 지역주의가 나타나게 된 원인과 지역주의에 기반한 투표로 인하여 발생하는 문제점을 제 19대 대통령 선거의 데이터를 통해 분석하고, 한국형 지역주의 투표행태를 개선하는 방안까지 논의해 보고자한다.
2) 연구 범위 및 방법
이 발표의 연구 범위는 19대 대통령 투표 데이터를 분석하여, 지역주의의 투표행태를 분석하고, 역대 대선에서 나타난 지역주의와 비교하여, 지역주의 투표완화가 형성 되었는지에 대해 분석한다. 이 발표의 연구방법은 데이터를 통한 비교조사방법을 주로 사용할 것이며, 여러 가지 논문을 이론으로 쓰는 문헌조사방법을 사용할 것이다.
2. 지역주의와 지역주의 투표행태
1) 지역주의 개념과 특성
지역주의란 특정 지역의 이해를 보호하거나 강화하기 위하여 그 영역적 속성과 범주를 정치화하는 사회정치적 또는 문화적 운동이다.(한국민족문화대백과 참조)
먼저 지역주의가 생기는 원인에 대해서 알아보면, 우리나라 뿐 아니라 지역주의는 역사적, 경제적, 정치적 등의 원인으로 어디에서나 발생한다. 먼저 역사적 측면에 대해 알아보겠다. 여러 가지 예를 들어 보면, 삼국시대에 신라는 통일한 뒤에도 경주 출신의 일부 귀족에 의한 정치가 이어졌으며, 같은 경상도라도 취급해 주지 않았다. 그리고 조선시대 초에는 함경도 쪽에서 이징옥·이시애가 중앙정부에 반기를 들었다. 이를 계기로 함경도를 비롯하여 평안도·황해도에 이르는 서북 인사들은 중용을 제한받았다. 그리고 중기에는 정여립사건(호남지방의 인사 중심으로 모반을 꾀했다는 사건)으로 인해 호남지방이 등용에 제한을 받았으며, 후기에는 노론 중심의 기호지방과의 정권투쟁에서 밀려난 탓에 경상도 지역이 제한을 받았다.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561660&cid=46634&categoryId=46634)
그 다음으로 경제적 측면에서 알아보겠다. 예를 들어 중국은 강남과 화북이 대립 했었다. 하지만 경제개발이 이뤄짐에 따라 두 지역의 대립구조는 거의 사라지고 동쪽과 서쪽의 대립구조 형식으로 바뀌게 되었다. 우리나라도 마찬가지로 극 초반에는 경기, 충청 지역과 평안 황해도 지역이 대립하는 구조를 이뤘으나, 분단 후 남북 분단 후에 영남지방과 호남지방의 대립구조가 형성되었다. 영남지방과 호남지방의 대립구조가 이뤄진 결정적 계기가 무엇이었을까? 박정희 전 대통령은 공업화 정책을 내세워 영남지방에 상당수의 공장 건설에 앞장섰다. 그로 인해 호남과 영남지역의 인구 수 차이가 많이 나기 시작했으며, 영남지역 출신이 월등히 고용되었다. 이런 지역격차가 지역감정을 유발시키게 되었다.
마지막으로 정치적 측면에서 알아보겠다. 5,16 쿠데타 직후부터 박정희 전 대통령은 영남 군벌을 키워줬으며, 재벌들에 대한 특혜 역시 영남 출신 위주로 베풀었다. ‘영남 우대론’과 ‘호남 푸대접론’이 60년대 중반 이후로 불거졌다. 그리고 1967년 대선 공약으로 경부 고속도로 건설을 발표했다. 1967년 가뭄현상에서도 양수기 배정 (영남 6 : 호남 1)등 영남위주의 개발이 이어졌다. 이에 자연스레 호남과 영남의 지역주의가 심화되었다.
참고문헌

선거에 나타난 지역주의의 형성요인과 특징에 대한 연구 - 김민찬, 연세대학교 대학원,[2002]
중앙선거관리위원회 페이지 - www.nec.go.kr
통계청 페이지 - www.nso.go.kr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