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제하의 농민 노동자 청년학생운동

 1  일제하의 농민 노동자 청년학생운동-1
 2  일제하의 농민 노동자 청년학생운동-2
 3  일제하의 농민 노동자 청년학생운동-3
 4  일제하의 농민 노동자 청년학생운동-4
 5  일제하의 농민 노동자 청년학생운동-5
 6  일제하의 농민 노동자 청년학생운동-6
 7  일제하의 농민 노동자 청년학생운동-7
 8  일제하의 농민 노동자 청년학생운동-8
 9  일제하의 농민 노동자 청년학생운동-9
 10  일제하의 농민 노동자 청년학생운동-10
 11  일제하의 농민 노동자 청년학생운동-11
 12  일제하의 농민 노동자 청년학생운동-12
 13  일제하의 농민 노동자 청년학생운동-13
 14  일제하의 농민 노동자 청년학생운동-14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일제하의 농민 노동자 청년학생운동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3ㆍ1운동이 대중적으로 전개된 이후 독립운동의 참여 주체의 범위는 크게 확대되어갔다. 3ㆍ1운동은 종교계와 학생, 노동자ㆍ농민외에 걸인과 기생까지 만세시위에 참여함으로써 독립운동의 참여계층을 사회ㆍ경제적 신분 등의 조건을 초월하여 대중적으로 확대하였다. 거족적인 민족의 통합을 이끌어냈던 3ㆍ1운동이지만 3ㆍ1운동에 참여했던 각계각층의 참여동기와 일제에 대한 인식들은 각기 처한 상황과 입장만큼 서로 달랐을 것이다. 여기서는 3ㆍ1운동 이후 점차 조직화되어갔던 1920~1940년대의 농민ㆍ노동자ㆍ청년학생운동의 전개와 성격, 그리고 역사적 의의에 대하여 알아보기로 한다.
- 농민ㆍ노동자들은 일제식민지를 어떻게 받아들였으며, 그들의 운동이 일제에 항거한 독립운동적 성격을 지닌다고 말할 수 있는 근거는 무엇인가.
- 당시 지식층에 속하며 민족의 양심을 대표하던 학생들은 어떠한 의식을 가지고 시대현실에 맞섰는가.
1. 농민운동
한국은 봉건사회와 지주-소작관계를 청산하지 못한채 일제의 식민지로 전락하고 말았다. 때문에 한국농민은 일제의 식민지지배와 수탈체제를 타도하여 민족독립을 달성해야 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구래의 봉건적 지주-소작관계를 청산하여 농민적 토지소유를 실현해야 하는 두 가지 과제를 떠안게 되었다.
일제시기 이 과제는 별개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서로 중첩되어 있었다. 그것은 일제가 1910년대 조선토지조사사업을 통하여 봉건지주의 기득권을 인정하고, 이들을 식민지 지주로 개편하여 식민지통치와 수탈의 주구로 삼았기 때문이다. 또한 식민지 지주제는 이후 일제의 식민지 농정의 본격적 전개에 따라 더욱 확대되었기 때문이다.
1) 농민의 존재형태
일제하 농민의 생활은 식민지 농업정책에 의해 영향을 받았다. 일제는 1910년대에 토지조사사업(1912~18), 1920년대와 1930년대 초반에 걸친 산미증식계획(1920~34), 1930년대 중반의 농촌진흥운동, 이후의 조선증미계획 등의 식민지 농업정책을 실시하였다. 이같은 농업정책의 핵심은 식민지 지주제의 형성과 그를 통한 농업수탈의 전개였다. 그리하여 토지조사사업으로 식민지 지주제를 확립한 일제는 그 토대 위에서 산미증식계획을 실시하여 본격적인 농업수탈을 감행함으로써 농민층의 영락화 현상을 가속화시켜 갔다.
특히 산미증식계획의 일환으로 시행된 토지개량사업은 대지주에게 실질적인 혜택이 돌아가는 수리조합 설치비용을 자작농, 자작 겸 소작농, 심지어 소작농민들에게까지 전가하여 이들 농민대중의 경제적 몰락을 촉진시켰다. 농민대중은 그 설치비용을 금융조합ㆍ조선식산은행 등의 대부와 지주의 고리대에 의존함으로써 토지를 이들에게 빼앗기는 결과를 낳았다. 따라서 아래 과 같이 한국의 농민대중은 일제시기 자작농에서 자작 겸 소작농으로, 또 소작농으로 하층분해되어 갔음에 비하여, 20정보 이상 대지주의 비율은 증가하여 한국 농촌에서의 계급구조는 지주 대 소작농으로 양극화되었다. 특히 일본인이 다수를 차지하는 대지주는 농촌경제를 장악했을 뿐만 아니라 농촌인구의 배출까지 유도하였다. 때문에 소작농으로 극빈상태를 유지하기도 어려웠던 농민층의 일부는 가족이 유리ㆍ이산하거나 남부여대하여 도시나 해외로 유랑의 길을 떠났다.
계층별 농민 구성
참고문헌
참고문헌
한국근현대사연구회, 1988, 한국독립운동사강의, 도서출판 한울
윤병이, 1977, 한국근대사론 Ⅲ, 지식산업사
조동걸, 1979, 일제하한국농민운동, 한길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