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졸중 환자의 자조관리 프로그램 개발

 1  뇌졸중 환자의 자조관리 프로그램 개발-1
 2  뇌졸중 환자의 자조관리 프로그램 개발-2
 3  뇌졸중 환자의 자조관리 프로그램 개발-3
 4  뇌졸중 환자의 자조관리 프로그램 개발-4
 5  뇌졸중 환자의 자조관리 프로그램 개발-5
 6  뇌졸중 환자의 자조관리 프로그램 개발-6
 7  뇌졸중 환자의 자조관리 프로그램 개발-7
 8  뇌졸중 환자의 자조관리 프로그램 개발-8
 9  뇌졸중 환자의 자조관리 프로그램 개발-9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뇌졸중 환자의 자조관리 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인구의 노령화와 생활 양식의 변화로 발생율이 빠르게 증가하여 사망원인 1위를 차지하고 있는 뇌졸증은 실제로 인구 10만명당 뇌혈관 질환으로 인한 사망자 수가 81년 43.6명에서 95년 79.7명으로 약 1.8배나 증가한 대표적인 만성 퇴행성 질병이다(중앙일보 1997.9.23).
뇌혈관 질환은 국내 사망원인 중 1위를 차지하는 질환이며(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 2003).뇌졸중 환자의 대부분이 편마비라는 장애를 가지고 살아가고 있다. 특히 일상생활의 수행능력 및 작업능력을 위해 반드시 필요한 상지기능 회복이 하지기능에 비해 좋지 않기 때문에 퇴원 후에도 계속 치료와 간호가 필요하다. 또한, 편마비를 포함한 많은 후유증으로 신체적 기능제한이 초래되어 독립적인 생활에 치명적인 장애를 가져올 뿐 아니라 심한 우울과 사회적 활동의 제한마저 초래한다. 그 결과 환자 본인 뿐 아니라 돌보는 가족의 삶의 질까지도 저하 시키기 때문에 뇌졸증의 예방과 함께 조기 재활에 건강전문직의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인간은 목적 있는 활동 또는 다른 사람과의 활동을 통해 만족감을 느낀다. 만성 질환자에서도 사회적 활동 정도가 많을수록 삶의 만족도가 높다. (Brown. Rawlinson & Hilles. 1981)은 점을 고려할 때 사회적 활동의 회복과 활성화를 의미하는 사회적 재 적응(Labi, Phillips & Gresham, 1980)은 뇌졸증 환자의 재활에 있어 매우 중요하다. 그 동안 이루어진 사회적 재 적응에 관한 연구에서 제시된 사회적 재적응의 지표로는 직업 활동의 재개(Angeleri, Angeleri, Foschi, Giaquuinto & Nolfe, 1993)나 직업적 활동을 포함한 사회활동 수준(Rock, Fordyce & Brockway, 1984 : 황현숙 & 박경숙, 1996)이 사용되었다. 그러나 직업 활동의 재개는 뇌졸증의 발생연령이 중년 이후의 노년층에 많다는 점과 여성 환자를 고려할 때 모든 뇌졸증 환자에게 적합한 지표라 할 수 없으며, 특히 발병 전에 의미 있게 생각했던 활동은 나라마다 문화에 따른 차이를 보일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뇌졸증 환자의 사회적 재 적응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요인으로 우울이나 일상생활 수행능력(Saudin. Cifu & Noll, 1994: Fiebel & Springer, 1982: 황 현숙 & 박경숙 , 1996)등이 보고 되었다. 서문자 등 (1999)도 환자의 연령, 인지능력, 질병으로 인한 영향, 사회적 지지가 사회적 활동 횟수와 사회적 활동의 만족도로 본 사회적 재 적응과 관련이 있음을 보고하였다.
입원이라는 것은 특히 노인이나 장애인들에게는 큰 부담이 될 수 있어 때로 입원 재활치료가 대상자의 우울이나 사회적 고립감, 학습된 의존성, 그리고 부등성을 조장할 수도 있다.(Anderson et al., 1995: Scholte et al.,1998; Mayo et al., 2000). 반면 가정에서의 재활은 환자의 선택을 존중할 수 있고, 재원기간을 단축시켜주고, 환자의 개인에 초점을 맞춘 재활 프로그렘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의료비도 절약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Lafferty, 1996).
가정에서의 뇌졸중 후 재활의 효과를 검증한 몇몇 연구들을 살펴보면 이들 대부분은 가정에서의 재활이 보다 손쉽고 환자와 간호자에게 수용적이라고 하였으며 병원에서의 재활만큼 효과적이라고 결론을 내리고 있다. 또한 가정에서 재활치료를 받을 경우 재원일수를 절반(평균 1-2주)으로 줄일 수 있었으며 안전이나 기능적 결과상의 차이도 없었다고 한다.(Young & Forster, 1992: Baskett et al., 1999: Rudd et al., 1997).최근 간호대상자의 범위가 넓어지면서 많은 간호사들이 환자를 돌보는 가족 간호자의 건강에도 관심을 갖게 되었다. 특히 가정에서 뇌졸중 환자를 간호하는 가족의 경우 과도한 스트레스와 부담감, 그리고 건강문제를 호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최은숙, 1993).
최근 국내에서도 뇌졸중 환자를 위한 재활간호 프로그램 및 자조관리모임이 시도되어 대상자의 일상생활활동, 삶의 만족도, 자기효능감, 삶의 질 등을 증진시킨 경험을 보고하고 있다(김금순 외, 2000: 서문자 외, 2000). 가정간호와 더불어 이러한 모임 자체가 가정에서 환자를 돌보아야하는 가족간호자들에게는 휴식의 기회가 될 수 있으며 나아가서 가족간호자를 위한 내용들이 재활프로그램 자체에 포함되어야 할 것이다.
그러므로 뇌졸중 환자의 지속적이며 효율적인 관리를 위하여 퇴원 후 재활을 위한 포괄적인 지역사회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현재 우리나라는 이들의 재활을 위한 제도적 뒷받침도 전혀 없을 뿐 아니라 이러한 프로그램을 지원할 만한 여건도 매우 미흡한 상황이다.
이러한 의미에서 같은 상황에 처해있는 사람들이 자발적으로 참여하여 상호간의 노력을 통해 공통의 문제를 해결하고 자신들의 삶을 효과적으로 조절하도록 돕는 과정인 자조관리 프로그램의 효율적 운영은 중요한 가치가 있다고 본다. 이 과정을 통하여 참여자들은 건강지식을 얻을 뿐 아니라, 서로에게 성공적인 역할 모델을 제공하며, 지지 망을 형성하여 스트레스를 감소하고, 자기 효능 감을 높히며, 남을 도와주는 이타심을 갖게 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자조집단은 서로 격려함으로써 건강행위를 지속적으로 이행하는데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이미 관절염 자조관리 프로그램의 성공적인 운영의 효과도 인정되 고 있으므로(Lee et al., 2002), 뇌졸증 후 대상자를 위한 자조관리 프로그램 개발의 필요성은 더욱 더 강조된다.
따라서 뇌졸증 후 대상자들이 일상적인 생활에서 자기 스스로를 관리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고 삶의 질을 증진하기 위해서는 자기 효능 감을 증진시키고 자기 관리를 할 수 있는 자조관리 프로그램 외에 지속적인 운동 수행의 유도와 자극을 주는 다양한 방법의 상승(synergy)효과를 초래할 수 있는 효율적인 자조관리프로그램 개발이 요구된다.
참고문헌
Ⅵ.참고 문헌
Ⅵ. 참고 문헌
[1] 강현숙. (1997). 뇌졸중 환자의 가정간호요구. 대한간호학회지, 27(3), 550-562.
[2] 김금순, 서현미, 강지연. (2000). 재가뇌졸중 환자를 위한 자조관리프로그램이 일상활동, 근육강도, 우울 및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재활간호학회지, 3(1), 108-117.
[3] 김모임, 김의숙, 유호신, 추수경, 이규식, 이종길. (1993). 입원환자의 가정간호 의뢰일 추정과 진료비 분석에 관한 연구. 간호학 탐구. 2(1), 151-177.
[4] 박정영, 고수경. (2000). 지역사회중심 가정간호사업의 비용=편익 분석. 보건경제연구, 6(2), 203-245.
[5] 변영순. (2000). 뇌졸중 환자의 의료이용 경로에 관한 연구. 기본간호학회지, 7(2), 149-163.
[6] 서문자, 강현숙, 이명화. (2000). 뇌졸중 환자의 낮병동 재활간호프로그램의 적용평가를 위한 예비연구. 재활간호학회지, 3(1), 98-107
[7] 정현주, 조복희. (2000). 뇌졸중 환자의 추후 관리가 주간호제공자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재활간호학회지, 169-180.
[8] 서문자 (1988). 편마비 환자의 퇴원후 적응상태와 관련요인에 대한 분석적 연구. 서울 대학교 간호학 박사 학위 논문.
[9] 장인순 (1995). 일부 농촌지역 노인 만성질환자 가족의 부담감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0] 전겸구, 이민규 (1992). 한국판 CES-D개발연구1. 한국심리학회지.11(1). 65-76.
[11] 홍여신, 서문자, 김금순, 김인자, 조남옥, 최희정, 정성희, 김은만(1998), 뇌졸증 환자의 삶의 질의 관련요인. 재활간호학회지.1(1). 111-123.
[12] 황현숙, 박경숙(1996). 뇌졸증 환자의 신체적, 심리적, 사회적 재적응에 관한 연구. 기본간호학회지.3(2). 213-233.
[13] 이해진(1995). 구조화된 환자교육이 뇌졸중환자의 조기재활에 관한 지식과 활동수행에 미치는 영향.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4] 강현숙(1984). 재활강화교육이 편마비 환자의 자가간호 수행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연구.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15] 서연옥(1997). 뇌졸중 환자의 기능상태 회복을 위한 재활운동의 효과.순천향 의대 논문집,3(2),661-667
[16] 이은숙(1995). 뇌졸중 환자의 조기재활에 대한 가족의 지식, 태도, 실천에 관한 조사연구.성인간호학회지,7(1).17-34
[17] 배기택(2000). 노인의 신체적 수행능력 향상을 위한 건강증진 프로그램 주요요인.인제 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8]안령미, 김덕성, 윤종희(2002). 거동불편 노인을 위한 교육 및 재활프로그램 제안.생활과학연구.7.3-12
[19] 이숙자(2000).노인의 건강증진을 위한 율동적 운동 프로그램의 적용효과.경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 정영미(2002). 건강증진프로그램이 노인의 건강에 미치는 효과.한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Gho, K. S.(2000). The New Millenium Basic Meridian Point Pressure. Seoul : Eewha Munwha Publishing Co.
Kang, J. Y.(2002). Effects of Constraint Induced Movement Using Self-Efficacy on the Upper Extremity Function of Hemiplegic Patient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Korea, Seoul.
Kim, B. E. (2003). Effect of Korea-West Bladder training Program on the Recovery of Bladder dysfunction in Stroke Patient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Kyung Hee University of Korea, Seoul.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2001). Statistics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of Seoul Korea.
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2003). Korea National Statistical Year Book.
Lee, B. G.(2002), The Lastest Ear Acupuncture Diagram-Prescription Seoul: Ear Acupuncture Korea Co.
Lee, H. Y., Kim, B. E. (2001). The Effect of Meridian Points Massage Nursing Intervention on the Recovery of Facial Paralysis, J Korean Acad Nurs, 31(6), 1044-1054.
Levy, C., Nicholas, D., Schmalbrock, P., Keller, P., & Chakeres, D.(2001). Functional evidence of cortical reorganization in upper-limb stroke hemiplegia treated. Am Jical and Medical Rehabil, 80(1), 4-12.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