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 12.12 쿠데타의 성공 주요배경인- 군부에서의 하나회 탐구

 1  [한국사] 12.12 쿠데타의 성공 주요배경인- 군부에서의 하나회 탐구-1
 2  [한국사] 12.12 쿠데타의 성공 주요배경인- 군부에서의 하나회 탐구-2
 3  [한국사] 12.12 쿠데타의 성공 주요배경인- 군부에서의 하나회 탐구-3
 4  [한국사] 12.12 쿠데타의 성공 주요배경인- 군부에서의 하나회 탐구-4
 5  [한국사] 12.12 쿠데타의 성공 주요배경인- 군부에서의 하나회 탐구-5
 6  [한국사] 12.12 쿠데타의 성공 주요배경인- 군부에서의 하나회 탐구-6
 7  [한국사] 12.12 쿠데타의 성공 주요배경인- 군부에서의 하나회 탐구-7
 8  [한국사] 12.12 쿠데타의 성공 주요배경인- 군부에서의 하나회 탐구-8
 9  [한국사] 12.12 쿠데타의 성공 주요배경인- 군부에서의 하나회 탐구-9
 10  [한국사] 12.12 쿠데타의 성공 주요배경인- 군부에서의 하나회 탐구-10
 11  [한국사] 12.12 쿠데타의 성공 주요배경인- 군부에서의 하나회 탐구-11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한국사] 12.12 쿠데타의 성공 주요배경인- 군부에서의 하나회 탐구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 론
가. 주제 선정 배경
나. 내용 구성

2. 하나회의 형성
가. 하나회의 뿌리
나. 하나회의 결성과 확대

3. 하나회의 발전
가. 신군부의 등장
나. 하나회의 각계 진출

4. 결 론
가. 하나회란?
나. 12.12 쿠데타의 성공배경
본문내용
1. 서 론
가. 주제 선정 배경
10.26 이후 계엄사령관이던 정승화 참모총장 등 고위층은 당시 보안사령관이자, 합동수사본부장인 전두환 장군 등 신군부와 10.26에 대한 수사문제와 권력문제로 잦은 마찰을 겪게 된다. 이러한 마찰에 대하여 전두환 장군 등 신군부는 12.12 쿠데타를 통해 정승화 참모총장 등 군 고위층을 연행하고 강제 퇴역시킨다. 또한 전두환 장군은 대통령에 취임하고 그 휘하 하나회를 주도로 한 신군부는 5공화국의 주체가 되어 1980년대 군사정권을 이룩한다. 12.12 쿠데타로 인하여 우리나라는 박정희 정권에 이은 두 번째의 군부 독재가 이루어지게 된다.
박정희 정권에 이은 두 번째 군사정부는 많은 폐단을 가져오고 그 정권은 쿠데타와 군부 내 사조직에 의해 수립되었다는 것에 문제가 크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군사정부 수립의 시작인 12.12 쿠데타에 대해 알아보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12.12 쿠데타에 대해 알아보는 것의 중심에서 생기는 의문점은 ‘확실한 상명하복의 군대조직에서 어떻게 하급자인 전두환 보안사령관을 중심으로 한 쿠데타군이 육군의 대표인 정승화 참모총장, 정병주 특전사령관, 장태완 수경사령관 등 고위층을 꺾고 12.12 쿠데타를 성공으로 이끌었는가?’ 하는 것이다.
위의 문제에 대한 대답은 쿠데타의 중심세력, 즉 군부 내 정규육사 출신으로 이루어진 사조직, 하나회에 있다. 따라서 이번 레포트를 통하여 ‘하나회란 어떤 조직이며, 어떻게 결성, 성장되었는가?’와 그 후 하나회 인원들의 사회 진출에 대해 알아보고 이러한 배경을 통하여 12.12 쿠데타를 성공으로 이끈 요인을 알아보고자 한다.
나. 내용 구성
서론 부분에서 주제 설정 배경에 대해 설명하고 본론에 들어가서 하나회의 형성, 발전, 쿠데타 후 사회 각계 진출에 대한 탐구를 하고 결론부분에서 12.12 쿠데타 성공에 있어 하나회의 역할에 대한 종합, 정리를 할 것이다.

2. 하나회의 형성
가. 하나회의 뿌리
(1) 오성회(五星會)
하나회의 뿌리는 전두환이 육사생도 시절 전두환, 노태우, 김복동, 최성택, 백운택의 육사 11기 동기생들과 함께 장군 되기를 꿈꾸며 만든 20세 청년들의 친목서클 오성회였다. 이러한 오성회는 1955년 오성회의 다섯 사람이 육사를 마치고 소위로 임관한 뒤 칠성회(七星會)로 확대되었고, 이후 육사 11기 텐 멤버(ten member)로 발전했다. 친목단체인 오성회로 출발했지만, 이들은 육사 10기 이전의 선배 장교들이 6개월의 짧은 기간의 군사교육만 받고 군의 요직을 두루 차지하고 있는 데 반해 자신들은 정규 4년제 육사를 졸업했다는 엘리트라는 의식이 강했으며 인사적체현상에 대한 불만도 매우 강하였다. 이러한 배경에 의해 1963년 전두환을 회장으로 하는 하나회가 탄생되었다.
(2) 박정희와 전두환의 호혜적 관계
상명하복의 위계질서가 강조되는 군대에서 선배 장교들에 대한 불만이 있더라도 하나회와 같은 사조직이 생겨나기는 어려웠다. 그러나, 1961년 박정
참고문헌
가. 『12.12 사건 정승화는 말한다.』
정승화 저, 까치, 1987
나. 『12.12 쿠데타와 나 』
장태완 저, 명성출판사, 1993
다. 『한국 정치의 후견인-수혜자 관계 : 제5공화국의 하나회 인맥에 관한 연구』
서창녕, 서울대 학위논문, 1993
라. 『신동아』 기사
“전두환과 하나회 군맥” 강창성 1991. 2
마. 『월간조선』 기사
“전두환 대위의 5.16” 이흥 1991. 5
“전두환의 인맥과 금맥” 조갑제 1988. 5
“인간 전두환 연구” 조갑제 1990. 2
“제5공화국: 전두환 소장의 10.26” 조갑제 1990. 6
“제5공화국: 합수본부의 권력모의” 조갑제 1990. 7
“제5공화국: 정권을 향한 진격” 조갑제 1990. 9
“허화평, 입을 열다” 조갑제 1991. 12
“비밀결사 하나회 인맥은 살아 있다.” 조성관 1992. 4
바. 『월간중앙』 기사
“하나회 이어 이번엔 알자회 육사 출신 배타적 사조직 파문” 권태동 1992. 12
“집중추적: 30년 군림, 하나회 인맥” 정순태 1993. 6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