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기 별로 알아본 중국의 전통의상

 1  시기 별로 알아본 중국의 전통의상-1
 2  시기 별로 알아본 중국의 전통의상-2
 3  시기 별로 알아본 중국의 전통의상-3
 4  시기 별로 알아본 중국의 전통의상-4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시기 별로 알아본 중국의 전통의상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3천 7백여년전의 殷(은), 商(상)시대에 중국에는 갑골문자가 있어 역사 이전시대에서 역사시대로 진입하게 된다. 은, 상 시대에는 麻(마), 葛(갈), 毛(모), 실의 직조 기술이 대단히 발달하여 당시의 사람들은 상하의를 따로 입었다. 이 옷은 은, 상시대의 남자 귀족들이 입던 예복으로 상하의 형식을 갖추었다. 깃과 소매부분에는 매우 정교한 자수를 놓고 허리에는 넓은 허리띠를 매었다. 또 이러한 신나라 부녀자들의 예복형식에서도 상나라 때의 남성복장과는 달라도 교묘한 솜씨는 똑같다. 허리에 허리띠를 두르고 깃, 소매 모두 같은 모양으로 자수를 놓아 당시의 방직 기술과 자수 기술은 이미 상당한 수준에 이르렀음을 알 수 있다. 옥 조각의 인물상은 상, 하의를 입고 허리에는 허리에서 무릎까지 내려오는 띠를 매고 사각형의 옷깃이 가슴 앞에서 오른쪽으로 열려져 있는데 이것은 주나라시대의 전통적인 복장이다.
중국의 복식제도는 주나라때 차츰 완벽해져 제왕이나 귀족 모두 상황과 신분에 따라 복장을 갖추었다. 주나라 왕비가 황제를 따라 하늘에 제사를 지낼 때 입은 제복은 왕비가 가지는 가장 큰 예복이다. 검은색은 당시의 하늘을 의미하는데 우주에서 가장 귀한 색이다. 상.하의가 이어져 있는 것은 부녀자들의 정조를 의미한다. 옷에는 천연의 꿩 자수를 놓고 허리띠와 무릎 덮개, 검은 신발은 왕비의 가장 귀한 예복이다. 왕비가 제사를 지낼 때 입는 예복은 푸른색의 상하의가 붙어있는 모양으로 긴 꿩 꼬리로 장식하고, 허리띠, 무릎 덮개, 푸른색의 양말을 신는다. 주나라 왕비의 무릎 가리개는 왕비가 입는 두 번째 중요한 예복이다. 주나라 왕비의 闕翟(궐적)은 왕비가 신씨에게 제사를 지낼 때 입는 예복으로 일반 귀부인도 제사나 연회에 참석할 때 입을 수 있다. 붉은 색으로 이루어진 디자인으로 허리띠, 무릎 덮개, 양말은 당시 예복의 기본이다.
2. 진한시기
동주 말기에 제후들이 할거하는 중국의 분열기는 최후에 진시황에 의해 기원전 221년에 천하가 통일되었으며 각지방의 서로 다른 문자, 화폐, 도량형, 복식의 규격도 이때 진시황에 의해 통일하였다. 황제의 정복은 관을 썼는데 그 관의 모습은 앞은 원형이고 뒤는 사각형으로 하늘의 둥근 곳을 가리키는데 황제가 반드시 천지의 덕을 세움을 상징한다. 관의 앞에는 12개의 옥구슬로 장식을 하였는데 1년이 12개월임을 의미한다. 관 하단, 귀 있는 부분에는 두 개의 둥근 옥석을 박았는데 헛소문은 곧이 듣지 않게 황제를 일깨우기 위함이다. 복식제도가 만들어진 것은 사회풍토를 바로잡아 덕을 표방하고 선을 장려하는 뜻을 포함하고 있다. 방직기술이 개선되었기 때문에 춘추전국이후의 복장은 상하의의 방식에서 벗어나 하나로 이어진 긴 옷으로 변했다. 왼쪽 옷깃이 조금 더 길어 오른쪽으로 등뒤까지 감아 다시 앞으로 돌려 허리띠로 묶는다. 아울러 종종 섞인 색으로 바느질을 하여 장식과 미적 감각의 효과를 증대시켰다.
한나라때 유행하던 복장은 두루마기형 위주였고 어깨로부터 발목까지 길게 늘어뜨린 긴 두루마기는 한나라 사람들의 전형적인 복장이었다. 일반 백성들이 입을 수 있었던 옷은 비교적 짧은 두루마기형으로 길이가 대략 무릎아래까지 오는 것으로 편리하게 일할 수 있었다. 한나라때의 사회는 안정되었고 국력은 강성하였으며 경제도 번성하여 백성들이 풍요롭게 살았다. 그래서 옷입는 형식이 화려하게 바뀌어갔다. 우리는 한사람의 옷 색깔에서 그 사람의 신분을 알 수 있다. 신분이 아주 높은 사람은 옷의 색상을 화려하게 만들어 귀부인과 공주의 예복은 대략 20 가지색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깃 밑단 부분은 이단으로 바이어스 처리되어 있어 아주 화려하다. 한 대의 귀부인들은 긴 두루마기의 뒤편 옷자락을 매우 길도록 만들어 걸을 때 땅을 끌거나 허리에 감는 것이 중세 유럽의 귀족 여성의 옷 입는 법과 비슷하다. 한대 귀족의 예복은 깃, 소매와 옷자락 끝부분에 대단히 우아한 선을 둘렀으며 많은 장식을 하였는데 예를 들어보면 왕비가 제사를 지낼 때 입는 예복은 깃, 소매, 옷자락의 끝을 모두 화려한 선을 두르고 크고 작은 보석으로 장식을 했다.
주, 한 시대에도 바지가 있었는데 원래 북방 유목민들이 말을 타고 사냥할 때 입는 것으로 오늘날의 승마복과 비슷하며 한족들은 밭 갈 때나 고기를 잡을 때에도 이런 바지를 입었다. 주, 한 남자들의 머리 장식은 두건이 있는데 일반적으로 남자가 두건을 쓰는 것은 한나라때 시작되었다. 부녀자들의 머리 모양은 줄곧 얹은머리 위주였다. 한나라 귀족의 부녀자들은 예복을 입을 때 검은색 비단으로 금속테를 두르고 가발을 만들었는데 이러한 특수한 머리모양을 건괵이라 하였다. 아울러 머리 언저리에는 오색 옥구슬로 머리장식을 하여 다리를 움직일 때마다 늘어뜨린 옥구슬이 반짝거려 사람을 유혹하였다. 이러한 아름다운 복장은 정밀한 직조기술이 이루어 낸 것이며 한 대의 방직기술의 수준은 상당히 높았다. 한 무제는 일찍이 두 번에 걸쳐 張騫(장건)을 서역으로 보내어 지금의 중앙아시아와 아프가니스탄 등지를 탐사시키고 아울러 중국과 서방 각 나라의 교류를 열고 중국의 직조기술을 비단길을 통해 세계에 그 이름을 떨쳤다.
3. 우진시기
한나라 이후 다시 천하가 혼란해지고 북방의 유목민들이 중원으로 들어와 이 유목민들의 복식이 황하에까지 이르러 한족의 복장에 영향을 미쳤고 동시에 한족의 복장은 유목민들에게 영향을 끼쳐 복장교류의 정서가 보편화되기 시작했다. 위촵진 시대에는 사회가 불안정하여 노장사상과 불교사상이 대단히 성행을 하였는데 복식에도 이러한 문화가 받아들어져 당시의 문인들은 넉넉하고 점잖은 색의 옷을 즐겨 입었으며 흰색 위주의 적삼을 입었다. 남자의 머리장식도 쉽고 편한 것을 선호하여 왕이나 유명인사들은 사각천을 사용하여 이마 앞이나 머리 뒤에서 묶어 상투를 틀었다.흰색은 그들이 가장 좋아하는 색으로 품위 있고 정갈함을 의미한다. 이 시기의 여자의 복장도 비슷한 추세로 넉넉한 옷과 띠가 있는 치마를 입고 앞자락은 층층이 자른 삼각형 모양으로 치마 끝까지 내려가서 주위에는 다시 댕기 등을 달아서 장식을 했다. 남촵부조 시대의 부녀자들은 북방민족의 영향을 받아 상의는 짧게 자르고 하의는 넉넉하고 큰 모양의 옷을 입었다. 이런 모습은 한 대의 상의는 길고 하의가 짧은 중후한 느낌보다 훨씬 간편해졌다.
4. 수당시기
위진남북조시기에 장기간에 걸친 각 민족간의 교류로 인해 당태종은 호족의 복장을 채택하고 개방하는 태도를 보임으로서 당대의 복식은 많은 북방민족의 특색을 가지게 되었다. 당의 여성은 아름다움을 추구하여 허리띠로 긴치마를 가슴까지 높게 매어 겨드랑이에 끼고 요염한 자태를 드러내었으며 치마 위에 짧은 소매의 상의를 등에 걸치고 긴치마를 땅에 끌리게 하여 더욱 우아한 자태를 만들어 냈다. 당의 여성들의 치마는 그 종류가 대단히 많았으며 넉넉하고 긴치마가 유행을 하였고 치마 위에 자수, 그림, 염색 등으로 각종 장식을 하였는데 옥구슬을 박고 보석을 달고 깃털을 붙이는 등 다양한 방법으로 장식을 하였다. 단색의 치마 외에도 두 가지 이상을 섞은 치마도 있었다.
5. 송나라
오대시기의 복장은 당대의 모양을 그대로 따랐고 부인들도 긴치마와 짧은 상의를 입고 겉옷을 걸치고 우아하게 머리를 올렸다. 다만, 긴치마를 가슴까지 끌어올리지 않고 허리에 묶었다. 송대의 남자들은 위로는 제왕에서 아래로는 백성까지 각종 행사에 모두 두건을 썼다. 이때의 두건은 모자와 비슷하였고 관리들도 반드시 머리장식을 하여 문인들은 우아한 장식을 하지 못하였고 다시 복고 양식의 두건을 쓰기 시작했다. 두건이 문인들만의 전리품이 아니라 각 분야의 남자들도 평소에 두건을 쓰게 되었다. 송대 귀부인의 예복은 주나라 제도를 모방하여 제사 등의 중요한 행사에는 크고 화려한 예복을 입게 하였다. 일반 여성들은 평상시에 오대의 좁은 소매의 상의와 치마를 어깨에 걸치는 복장을 하거나 밖으로 긴 외투를 덧입기도 하였다. 송대 여인들의 머리는 당과 오대의 전례를 따라 머리를 높게 올렸으며 송의 귀부인들은 중요한 행사장에서 칠보, 금은 등으로 장식한 예관을 썼다. 일반적으로 여인이 화관을 쓰는 풍습이 있었는데 꽃이나 금옥을 실 등으로 조화를 만들어 화관에 꽂았다. 남자들도 영향을 받아 관이나 두건에 꽃잎을 새겼다. 오대 이후 부녀자들에게 전족이 유행을 하여 당시의 미의 기준은 발이 작을수록 아름답다고 여겼다. 이로인해 부녀자들의 신발은 매우 작아 "弓鞋(궁혜)"라고 했으며 전족은 부녀자들의 건강을 해롭게 했지만 이런 분위기가 장기간 성행을 하다가 신해혁명 이후에 비로소 폐지가 되었다.
6. 원나라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