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음보살도,관세음불화,관음불도,환음불화

 1  관음보살도,관세음불화,관음불도,환음불화-1
 2  관음보살도,관세음불화,관음불도,환음불화-2
 3  관음보살도,관세음불화,관음불도,환음불화-3
 4  관음보살도,관세음불화,관음불도,환음불화-4
 5  관음보살도,관세음불화,관음불도,환음불화-5
 6  관음보살도,관세음불화,관음불도,환음불화-6
 7  관음보살도,관세음불화,관음불도,환음불화-7
 8  관음보살도,관세음불화,관음불도,환음불화-8
 9  관음보살도,관세음불화,관음불도,환음불화-9
 10  관음보살도,관세음불화,관음불도,환음불화-1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관음보살도,관세음불화,관음불도,환음불화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관음신앙
ⅰ) 삼국시대의 관음보살도
ⅱ) 고려시대의 관음보살도
ⅲ) 조선시대의 관음보살도
Ⅱ. 관음보살도
ⅰ) 수월관음도
ⅱ) 백의관음도
ⅲ) 십일면관음보살도
ⅳ) 천수관음도
ⅴ) 관음삼십이응신도
ⅵ) 준제관음도
본문내용
ⅰ) 삼국의 관음보살도

고구려에는 일찍이 중국으로부터 불교가 전래된 이래 관음신앙이 크게 융성했을 것으로 보지만 실제 전해지고 있는 사료만으로는 전래 사정이나 신앙의 내용 등에 대해 알기가 어렵다. 다만 일본에 전해지고 있는 기록으로부터 고구려 관음신앙을 알 수 있게 해주는 사례가 남아있다. 사례로는「정법사 연기(頂法寺緣起)」과 일본 승려 행선(行善)의 기록이 있다.
위의 각주 8번의 기록을 통해 고구려에 관음보살의 도량인 광명사라는 절이 있었따는 사실을 알 수 있고 구역『화엄경』의 관음보살 주처가 광명산이므로『화엄경』출처의 관음신앙이었던 것을 알 수 있다.
각주 9번의 관음 응현은『법화경』「보문품(普門品)」에서 설하는 관음보살이다. 현존 자료를 통하여 고구려에서 볼 수 있는 것은『화엄경』과『법화경』에 출처하는 관음신앙임을 알 수 있다.

백제의 경우 불교는 주로 동진(東晋)으로부터 받아들여졌으므로 관음신앙도 동진을 비롯한 남조(南朝)의 여러 나라로부터 받아들여졌다. 여기에 따라 관음신앙의 수용 흔적을 볼 수 있다. 백제에도 위의 고구려처럼 여러 관음 응현과 관음상들을 조성했다는 기록들이 나타난다.

신라의 경우에는 고구려, 백제와는 달리 관음신앙에 관한 기록이 비교적 많이 전하고 있으며 대부분이『삼국유사』에 서술되어 있다. 그러나 신라의 관음신앙 관계 사료가 많다고는 하나 자장법사(磁藏法師)의 출생에 관한 이야기를 제외하고는 모두가 삼국정립 이후 통일신라의 내용들이다.

이와 같이 불교 초기 전래의 시기의 관음신앙은 상당히 창의적이고 현실 안에서 분주히 움직이는 모습으로 나타나고 있다. 또한 삼국 모두에서 공통적으로 여러 관음상들이 조성된 모습을 보이며『삼국유사』를 보면 여러 관음보살도가 조성되었다는 기록이 있지만 현존하는 것이 남아 있는 것이 없다.

ⅱ) 고려시대의 관음보살도

고려시대에 들어서면 초기의 창조적이고 생동감에 넘치는 관음신앙의 내용과는 다른 의존 일변도의 신앙으로 머물게 된다. 관음보살에는 여러 종류가 있으나 고려시대에 특히 유행한 도상인 수월관음(水月觀音)은 현세구복적(現世球福的)인 성격이 강해 인도는 물론 중국, 한국, 일본 등 동아시아의 모든 국가에서 시대를 막록하고 널리 신앙되었다. 특히 고려 불화 중 수월관음도가 약 30%를 차지하여 고려시대에 관음신앙이 매우 성행하였음을 알 수 있다. 고려시대 관음보살도는 왕의 복을 기원하고 수명을 연장하기 위한 축성법회(祝聖法會), 거란군을 물리치기 위한 점안법회(點眼法會) 등 여러 의식에 소용되는 불화로 제작되었다. 이외에도 관음보살도는 자식을 낳게 해주는 신앙의 대상으로 모셔지거나 왕의 하사품 또는 문사들의 문예 교류물로도 애용되었다.
참고문헌


- 단행본

김리나,『한국불교미술사』, 미진사, 2011.
김영주,『한국 불교 미술사』, 솔, 1996.
김정희,『불화, 찬란한 불교미술의 세계』, 돌베개, 2009.

- 논문

유경희,「道岬寺 觀世音菩薩三十二應幀의 圖像 硏究」, 美術史學硏究 240, 20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