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소설] 오유란전, 옥단춘전, 비룡전

 1  [고전소설] 오유란전, 옥단춘전, 비룡전-1
 2  [고전소설] 오유란전, 옥단춘전, 비룡전-2
 3  [고전소설] 오유란전, 옥단춘전, 비룡전-3
 4  [고전소설] 오유란전, 옥단춘전, 비룡전-4
 5  [고전소설] 오유란전, 옥단춘전, 비룡전-5
 6  [고전소설] 오유란전, 옥단춘전, 비룡전-6
 7  [고전소설] 오유란전, 옥단춘전, 비룡전-7
 8  [고전소설] 오유란전, 옥단춘전, 비룡전-8
 9  [고전소설] 오유란전, 옥단춘전, 비룡전-9
 10  [고전소설] 오유란전, 옥단춘전, 비룡전-1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고전소설] 오유란전, 옥단춘전, 비룡전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오유란전(烏有蘭傳) - 한문 필사본
1. 출처
2. 줄거리 및 요약정리
3. 이해와 감상(분석) - ‘남성훼절소설’로서의 오유란전
Ⅱ. 옥단춘전(玉丹春傳) - 국문 활자본
1. 출처
2. 줄거리 및 요약정리
3. 이해와 감상(분석)
Ⅲ. 비룡전(飛龍傳), 낙성비룡(洛城飛龍)
1. 출처
2. 줄거리 및 요약정리
3. 이해와 감상(분석)


본문내용
서울 한양에서 살던 동갑(同甲) · 동학(同學)의 선비 이생(李生)과 김생(金生)은 아주 가까운 친구였다. 그런데 김생이 먼저 과거에 급제하여 평안감사가 되자 이생을 청하여 후원 별당에 거처토록 했다. 이생이 별당에 파묻혀 독서에만 골몰하자 김생은 이생을 위하여 선화당(宣化堂)에서 잔치를 베푼다. 그렇지만 그 자리에서 이생은 김생을 업신여기고 그러한 처사 때문에 이생은 중인의 빈축을 산다. 그래서 김생은 이생을 골려 주려고 관기(官妓) 오유란을 시켜 유혹하도록 설득한다.

오유란은 소복으로 갈아입고 이생이 거처하는 후원 앞 연못에서 빨래를 하는 것이다. 오유란의 교묘한 계책에 넘어가 오유란에게 빠져 버린 이생은 별당에서 오유란과 인연을 맺었다. 그런데 이튿날 서울 본가에서 편지가 왔다. 부친의 병이 위독하다는 내용이었다. 그러나 이생은 서울로 올라가는 도중에 부친의 병이 회복되었으니 상경치 말고 되돌아가라는 소식을 받는다. 다시 평양을 향해 가는데 대동강 변에 전에 없던 새 무덤이 하나 있었다. 열녀 오유란이 한양 선비 이생에게 속고 자살한 무덤이라는 것이었다. 크게 놀란 이생은 병석에 눕고 만다. 거기에 유령으로 가장한 오유란이 찾아와 이생을 회롱한다.

이생은 오유란의 함정에 빠져 이승과 저승을 혼돈하고 온갖 추태를 자행한다. 결국 이생은 선화당 잔치자리에서 벌거벗은 몸으로 오유란과 마주 서서 춤을 추다가 중인 앞에서 망신하고 만다. 그러나 어이없는 봉변을 당한 끝에 결국 속은 것을 깨달은 이생은 부리나케 행장을 차리고 서울에 와 그날부터 새로이 결심을 굳혀 열심히 공부하여 장원급제하고 평안도 암행어사가 되었다. 이생은 김생에 대해 복수할 때가 왔음을 기뻐하며 평양에 내려가 기생 계월과 동침 중인 김생 앞에 나타나 ‘어사출두’ 봉고(封庫)하고 형구를 갖추어 김생에게 모욕을 줌으로써 통쾌하게 분풀이했다. 그러나 그 모든 것이 자신을 급제시키려는 친구의 일이란 것을 알게 되고 김생이 옛일을 사과함으로써 그들은 우정을 되찾고 웃음으로 화해한다는 줄거리이다. 이 복수의 수법 역시 풍자적인 해학으로 일관되어 있다.

참고문헌
․ 김기동 ․ 전규태 편, --『한국고전문학 100』V 12, 서문당, 1984
․ 김종철, 『한국고전소설작품론』「옥단춘전」, 집문당, 1990.
․ 박일용, 『영웅소설의 소설사적 변주』, 월인, 2003.
․ 박일용, 『조선시대의 애정소설』, 집문당, 2000.
․ 백미애, 「남성훼절담 연구」『한국언어문학』Vol 37, 한국언어문학회, 1996.
․ 서대석, 「영웅소설론」, 『한국고전소설론』, 새문사
․ 서대석 ‘영웅소설의 전개와 변모’ 『고소설사의 제문제』, 집문당
․ 서대석, 『군담소설의 구조와 배경』,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 신해진, 『(역주)조선후기 세태소설선』, 월인, 1999.12
․ 여세주, 『남성훼절소설의 실상』, 국학자료원, 1995.
․ 여세주,「과 에 문제된 性 모랄과 웃음」,『대동한문학』10집, 대동한문학회, 1998.
․ 이경재. 「오유란전의 골계성」, 동아대학교 석사 논문, 1987.
․ 이복규, 『우리 고소설 연구』, 역락, 2004.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