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우리의 위치는 어디인가

 1  지금 우리의 위치는 어디인가-1
 2  지금 우리의 위치는 어디인가-2
 3  지금 우리의 위치는 어디인가-3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지금 우리의 위치는 어디인가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지금 우리의 위치는 어디인가?
『이것은 왜 청춘이 아니란 말인가』
1부 어쨌거나 고군분투 中 대학1 - 우리를 위한 자리는 없다
1. ‘대학서열화’의 개념
대학서열화란, 입학생들의 성적이나, 취업률 등의 기준에 따라 대학들을 평가하고, 이를 객관적인 수치로 환산해 순위를 매기는 것을 말합니다.
2. 대학서열화의 원인
대학서열을 유발하는 원인을 크게 세 가지로 생각해 볼 수 있습니다. 첫째, 우리나라의 학벌에 대한 고정관념을 들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의 기업과, 사회는 고학력자인지 아닌지로 우수 인재를 판단하여 가려내고 있습니다. 그로 인해 출신대학은 개인의 생에 커다란 영향을 미치게 되고, 국민 대다수는 일류대학 진학에 집착하지 않을 수 없는 것입니다. 이렇듯 우리의 학벌에 대한 잘못된 인식이 대학 입시를 과열하는 원인이 되고 있습니다.
두 번째 원인으로는 입시경쟁을 부추기는 국가의 교육 정책이 있습니다. 대학의 서열의 체계는 입시경쟁을 통해 형성되어 왔습니다. 대학서열화는 입시경쟁을 치열하게 만드는 원인이지만, 반대로 입시경쟁을 통해서 더욱 확고해져 왔다는 점도 지적할 필요가 있습니다. 입시경쟁을 자세히 들여다보면, 그것이 자연적으로 발생한 것이 아니라 제도적인 원인, 특히 국가의 개입과 규제에 의해서 야기된 것이라는 점을 찾을 수 있습니다. 다시 말해서 대학의 교육력이나 취업률 등과 같은 대학 내부적인 요인이 현격하게 차이를 보이기 때문에 이러한 대학들을 지원하는 사람들이 지나치게 많아서 그에 들어가기 위한 경쟁이 치열해진 것이 아니라, 대학 외부에서 국가가 획일적으로 대학입학 정원을 통제함으로써 왜곡된 입시경쟁구조를 창출했다는 사실과 관련이 깊습니다.
세 번째 원인으로는 수도권을 선호하는 사회적 통념을 들 수 있습니다.
대학입학지원자들 뿐 아니라 한국의 모든 사람들이 수도권으로 몰려드는 이유는 수도권이 사회적으로 가치 있다고 여겨지는 것들의 의 대부분을 독점하고 있기 때문이라는 사실과 관련이 깊습니다. 따라서 대학의 서열체제는 이러한 사실들과 관련지어 분석하지 않을 수 없게 됩니다.
균형적인 국토발전이 이루어지지 못한 채 수도권 위주의 개발 정책으로 인해 한국 사회의 중심은 서울, 경기 지역에 놓이게 되었습니다. 즉, 수도권이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등 거의 모든 영역에서 중핵적인 위치를 차지하게 된 것이다. 국토 면적상으로는 12%에 불과하지만 인구의 46.2%가 살고 있는 수도권에는 인구의 집중과 더불어 부와 경제적 기회, 국가의 주요 시설, 문화적 혜택 등 대부분의 사회적 재화들이 집중되어 있습니다. 비단 대학 지원자들 뿐 아니라 한국의 모든 사람들이 수도권으로 몰려드는 이유가 여기에 있습니다. 수도권이 사회적으로 가치 있다고 여겨지는 것들을 대부분 독점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대학 서열도 자연스레 수도권 중심으로 형성되고 심화되는 것입니다.
3. 대학서열화로 인해 일어나고 있는 부정적인 현상
① 사교육비 지출 증대
우리나라의 가장 고질적인 문제 중 하나인 사교육비 문제는, 정부 차원에서 다뤄질 정도로 그 폐해가 심각합니다. 학생들이 어려서부터 사교육을 받는 가장 큰 이유는 상위권 대학 진학과 연결되어 있으므로, 아이가 고학년에 진학할수록 사교육의 비용과 규모는 더욱 커지게 됩니다.
② 병들어가는 청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