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Future of Labor Movement

 1  The Future of Labor Movement-1
 2  The Future of Labor Movement-2
 3  The Future of Labor Movement-3
 4  The Future of Labor Movement-4
 5  The Future of Labor Movement-5
 6  The Future of Labor Movement-6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The Future of Labor Movement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노동조합의 전투성이 최근 들어 유화적으로 변모했다는 사실은 여기 저기서 들려 오고 있다. 이러한 점에서 조직노동의 파업이 감소하고 있다는 점에 노동조합 운동이 수렴하고 있다고 얘기할 수 있다. 또 다른 한편으로는 일국내 정치, 경제내에 노동조합 운동이 위치하고 있는 편차에 따라 노사관계가 많이 좌우된다는 점에서, 이러한 일국내 정치, 경제적 제도가 경로의존적으로 지속성을 유지한다면, 파업을 포함한 노사관계의 이질성 또한 지속될 것이다. 이러한 점에 대해서는 이론적으로 많은 실증연구가 진행되지 못한 상태이며, 최근 들어 지속되고 있는 ‘노동의 침묵(labour quiescence)의 부활에 대해서도 그 본질과 정도에 대해서도 많은 연구가 진행되지 못한 상태이다. 노동자들의 집합적 동원과 행동이라는 파업에 대해 사례연구는 진행되어 왔지만, hard 데이터의 축적에 따른 이의 이용은 이에 대한 보완적, 대안적 측면에서도 도움이 될 것이다.
파업에 관한 공식 자료의 한계는 국가별 정의의 차이와 그 포괄 범위의 차이로 이용에 많은 한계가 존재해 왔다. 그러나 없는 것보다는 낳은 것이고, 이의 이용을 통해 ⅰ) 앞서 언급한 파업에 대한 수렴론 여부에 대한 검증, ⅱ) 현 단계의 노동의 침묵에 대한 함의를 도출할 것이다. 특히 두 번째 문제와 관련하여 이러한 침묵이 조직노동의 순화를 의미하는 것인지, 나아가 이것이 노-자간에 협력해야 할 상황과 필요에 따른 것인지, 아니면, 조직노동의 약화를 의미하는 것인지를 파악하고자 한다. 이에 대해서는 첫 번째는 ‘어려운(hard) 시기에는 후일을 대비해 조합원이 불만을 누적시키고 있다는 통상적인 해석이 가능한 바, 이 경우에는 파업이 경기변동과 동조적(procyclical) 양상을 보일 것으로 해석하는 견해도 존재하며, 두 번째는 자본과의 협력을 위해 전투성을 폐기하더라도 이는 일부에 그친 것이며, 여전히 또 다른 일부는 노동조합의 전투성을 지속하고 있다는 견 해 또한 존재한다. 세 번째 견해로는 노동자 응집력의 약화와 사용자 전략의 지속으로 인해 파업이 약화된 형태 - 사보타지 등의 - 로 지속될 것이라는 견해 또한 존재한다.
시기별 - 국가별 비교
파업과 관련해 가장 기초적인 사실은 비교제도적 관점에서의 국가별 비교와 함께, 역사적 관점에서의 시기별 비교이다. 이 장에서는 국가별 비교를 살펴본다. 이를 위해 파업에 대한 상대적 참여율(Relative Involvement, RI)이라는 지표를 활용한다. 이는 총 노동인구중 파업에 참여한 노동자의 숫자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전반적인 파업성향을 의미한다. 이는 ⅰ) 국가 통계기관에 의해 작성되는 파업 빈도가 조사 방법에 따라 큰 편차를 보인다는 점과, ⅱ) 상대적 크기(volume)라는 지표가 빈도와 규모, 그리고 지속 기간 등 3가지 차원을 종합한 지표라는 점에서 논리적으로는 가장 바람직한 지표이지만, 해석상의 난점이 존재한다. 이에 따라 RI 지표와 함께 평균 지속기간을 함께 사용한다. 자료는 OECD 국가들의 파업통계에 관한 자료이다.
1960-70년대
이 시기는 유례없는 낮은 실업율 속에서 고도 성장을 시현한 시기로서 `60년대말 인플레이션의 심화와 노동조합의 전투성 고조가 본격화하기 前 시기를 국가별 패턴을 비교해 보면 크게 4가지 그룹으로 나뉜다.
① 파업에 대한 미미한 참여 : 스위스나 스웨덴 등으로서 천명당 파업참여 인원이 1명을 밑도는 수준을 보인다.
② 짧은 파업에 대규모 참여 : 프랑스, 이탈리아, 그리고 오스트레일리아가 대표적. 1-2일 동안 지속된 파업에 전체 임노동 인구의 10 - 20%가 참여.
③ 장기적 파업에 제한된 참여 : 북미와 아일랜드. 3주 동안의 파업에 2 - 3%의 노동자가 참여.
④ 중간적 상황 : 나머지 그룹들로서 1 - 4%의 참여율과 평균 3일 동안의 파업 지속기간 양상을 보이고 있다.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