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의 관계

 1  인간의 관계 -1
 2  인간의 관계 -2
 3  인간의 관계 -3
 4  인간의 관계 -4
 5  인간의 관계 -5
 6  인간의 관계 -6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추천자료
  • [인간관계]학교인간관계(학교대인관계)의 중요성, 구성원, 교사의 인간관계(대인관계), 교사와 학생간의 인간관계(대인관계), 학교행정가의 인간관계(대인관계), 향후 학교인간관계(학교대인관계)의 개선 과제 분석
  • [인간관계]인간관계(대인관계)의 의미, 인간관계(대인관계)의 기본요소, 인간관계(대인관계)의 유능감, 인간관계(대인관계)의 사회성, 인간관계(대인관계)의 변화척도, 향후 인간관계(대인관계)의 내실화 과제
  • [사회복지행정론] 인간관계모형(이론)에 대하여 설명하고 인간관계이론이 영향을 미친 X, Y이론의 관점
  • 인간관계의이해 PPT(인간관계의본질, 인간관계기술, 인간관계론역사, 현대사회의인간간계) 프레젠테이션
  • 인간관계의 어려움은 무엇이며, 극복하기 위한 방안
  • 인간관계의 유형(일차적 인간관계와 이차적 인간관계, 수직적 인간관계와 수평적 인간관계, 우호적 인간관계와 적대적 인간관계, 애정중심적 인간관계와 업무중심적 인간관계, 공유적 인간관계와 교환적 인간관계)
  • [인간관계론] 직장에서의 성공적인 인간관계에 대해 본인의 의견을 기술해 보시오
  • 인간관계 유형(긍정적 인간관계와 부정적 인간관계, 표출적 인간관계와 수단적 인간관계, 인간관계 상호작용의 기본 형태)
  • [사회심리] 인간관계론의 역사적 발전 과정
  • 인간관계의 개념과 중요성을 파악하고 조직 생활을 위해서 자신의 인간관계가 어떻게 이루어져야 하는지를 논리적으로 제시하시오.
  • 소개글
    인간의 관계 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인간의 관계
    Ⅰ. 서론
    현대사회에 가진 자와 가지지 못한 자, 아이와 어른 그리고 부부 사이에서 수평적인 관계를 맺고 사는 사람을 찾기가 어렵다. 이러한 평등하지 못한 관계는 서구화 되면서 신장된 여성과 아이들의 권익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우리 사회에 남아있다. "여자는 집에 가서 밥하고 빨래나 해!" "애들은 가라", "애들이 뭘 알아?"등의 무시하는 발언은 이런 사회적인 상황을 아주 잘 보여주는 말이라 할 수 있겠다. 이러한 문화가 형성된 배경을 찾아보면 다음과 같다.
    I-(1) 부부사이의 부인의 불평등
    공자 이전시대에는 모자관계의 덕목이 중시되었다. 이것은 어머니와 아버지가 각각의 독자적인 권력 기반을 가지고 있었기 때문이다. 공자의 시대가 되면 ‘母慈’의 덕목이 없어지고 대신 君臣과 朋友간의 덕목이 추가된다. 이숙인, 「유교의 부부윤리와 그 현대적 전망- 『중용』의 부부조단설을 중심으로-」, 『유교사상연구』제9집, 1997 p456 9~10줄
    이에 대해서는 두 가지 방법의 유추가 가능하다.
    첫째, 고대 사회에서 도덕에 관한 입론과 시행의 대상이 지배계층임을 고려할 때 부자와 모자, 형제로 대표되는 가족윤리는 곧 정치윤리이다. 당시 사회에서 효나 우애와 같은 덕목은 시공을 초월하여 혈육에게 요구되는 보편 타당한 의미로서의 의무와는 구별하여 이해할 필요가 있다. 도덕 덕목이 정치 실현의 기초로 인식되고 또 그것이 현실적인 의미를 가지려면 구체적인 물적 토대를 필요로 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둘째, 춘추이전의 사회에서는 혼인관계를 통한 정치권력의 확대와 유지가 가능했던 점은 외가를 업고 있는 어머니의 권력이 아버지쪽의 친가만큼이나 그 영향력이 컸을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어머니의 사회적 역할이 줄어들고, 모자관계의 덕목이 정치적인 의미를 가질 수 없다는 것은 어머니가 아버지에 부속되어가는 가족 관계의 변화와 가족과 정치의 관계 변화에서 그 원인을 찾을 수 있다. 이숙인, 「유교의 부부윤리와 그 현대적 전망- 『중용』의 부부조단설을 중심으로-」, 『유교사상연구』제9집, 1997 p456~457
    I-(2) 장유유서에 따른 불평등
    가정 윤리는 특수한 가정을 제외하고 대부분 전통의 농경 사회와 현대의 산업 사회를 막론하고 혈연을 중심으로 하여 성립한다. 혈연을 중심으로 하는 가정에서는 대부분 나이의 높고 낮음에 따라 위계질서가 정해진다. 왜냐하면 건강한 공동체 문화를 건설하고자 하는 사람들은 나이를 인생의 경험과 경륜에 의해 형성된 지혜와 밀접하게 관련되는 것으로 생각하기 때문이다. 특히 전통의 농경 사회에서 생활했던 사람들은 대부분 풍부한 경험에서 축적된 지혜의 발휘가 구성원들의 삶을 윤택하게 하는 데 도움이 되는 것으로 생각하기 때문에 나이 많은 사람들의 견해를 존중하였다. 그들은 인생의 경륜을 바람직한 삶의 근거로 여겨진 도덕적인 인격의 문제와 결합하며 가정 윤리의 골격을 세워나갔다. 이와 같은 나이를 중심으로 하여 설정되는 전통 사회의 질서 의식은 오늘날에도 여전히 어른과 어린이 사이의 관계를 설정하는 윤리 가운데 하나로 작용하고 있다. 이철승, 「초기 유가 사상에 나타난 ‘장유유서(長幼有序)’관의 현실적 의미」, 『유교문화연구』제13집, 성균관대 유교문화연구소, 2008 p9
    II. 본론
    II-(1) 부부 윤리의 정립
    『孟子』에서 부부윤리가 사회윤리의 하나로 제출되기까지 부부윤리의 중요성은 거론되지 않았다고 볼 수 있다. 이것은 맹자이후에서부터 부부윤리가 정치적으로 의미를 가지게 되었음을 말해주는 것이다. 부부윤리 확립의 필요성은 『孟子』외에 다당시의 다른 문헌에서도 제기되었다. 『商君書』 등에는 “어머니는 알지만 아버지가 누군지 알지 못하는”사회상황이 그려져있다. 이러한 상고사회는 금수세계와도 같은 무법의 세상으로 평가되어 문화적 지향은 혼인상의 새로운 질서를 요청하게 되었다. 금수와 구별되는 성윤리 요청이라는 차원에서 부부윤리가 정립되어야 한다면 상고시대 뿐 아니라 춘추시기에서도 마찬가지였다. 흔히 춘추시기는 制와 같은 집단혼의 형태나 ‘下淫’과 ‘上烝’이 보여주는 남녀세계가 금수의 행위에 비유되기도 하는데 이에 대한 이해는 다른 접근이 필요하다. 남녀관계를 규율하는 덕목의 요청은 맹자의 五倫說로 나타나는데 父子, 君臣, 夫婦, 長幼, 朋友관계의 도덕론이 그것이다. 맹자는 부부윤리의 기초를 ‘別’에서 찾았다. 그 역시 “夫婦를 도덕실천의 가장 중요한 근거”라고 하였다. 맹자에서 시작된 부부윤리의 강조는 荀子에서 더 발전된 형태로 나타난다. 이숙인, 「유교의 부부윤리와 그 현대적 전망- 『중용』의 부부조단설을 중심으로-」, 『유교사상연구』제9집, 1997 p458~459
    『中庸』은 공자의 四倫에 夫婦一倫을 첨가하여 君臣, 父子, 夫婦, 昆弟, 朋友를 도덕실천의 대상으로 삼았다. 이것을 ‘五達道’라 하고, 知仁勇 三者를 행동의 원리로 삼아 ‘三達德’이라 하였다. 夫婦를 시작으로 父子, 君臣, 昆弟, 朋友의 순으로 배열하였다. 左右上下의 四行이 모두 夫婦之道에서 만나게 하여 부부가 五行의 중심이 되게 하였다. 그것은 “夫婦一行이 아주 깊은 인식과 심대한 의의를 가지는 것으로 여겼기 때문이다.” 이숙인, 「유교의 부부윤리와 그 현대적 전망- 『중용』의 부부조단설을 중심으로-」, 『유교사상연구』제9집, 1997 p459~460
    참고문헌

    이철승, 「초기 유가 사상에 나타난 ‘장유유서(長幼有序)’관의 현실적 의미」, 『유교문화연구』제13집, 성균관대 유교문화연구소, 2008
    이숙인, 「유교의 부부윤리와 그 현대적 전망-『中庸』의 夫婦造端說을 중심으로-」, 『유교사상연구』제9집, 1997
    김학주 역, 『중용』서울대학교 출판부, 1995
    토론 주제
    1. 최근에 있었던 지하철에서 할머니와 여중생 사이의 난투극 사건에서 보았을 때, 할머니의 잘못(초기의 유학자 입장)인가? 아니면 여중생의 잘못(삼강의 입장)인가?
    2. 선배와 후배 혹은 상사와 부하직원 사이에 수평적인 관계와 수직적인 관계 중 어느 쪽이 더 바람직한가?
    3. 진학문제로 갈등이 심했던 가정에서 학생이 분을 참지 못하고 집에 방화를 저질렀다. 이러한 상황에서 부모가 잘못한 것인가? 아니면 그러한 상황에서도 참고 효를 다 하지못하고 방화한 학생의 잘못인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