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30년대와 암흑기의 시

 1  1930년대와 암흑기의 시 -1
 2  1930년대와 암흑기의 시 -2
 3  1930년대와 암흑기의 시 -3
 4  1930년대와 암흑기의 시 -4
 5  1930년대와 암흑기의 시 -5
 6  1930년대와 암흑기의 시 -6
 7  1930년대와 암흑기의 시 -7
 8  1930년대와 암흑기의 시 -8
 9  1930년대와 암흑기의 시 -9
 10  1930년대와 암흑기의 시 -10
 11  1930년대와 암흑기의 시 -11
 12  1930년대와 암흑기의 시 -12
 13  1930년대와 암흑기의 시 -13
 14  1930년대와 암흑기의 시 -14
 15  1930년대와 암흑기의 시 -15
 16  1930년대와 암흑기의 시 -16
 17  1930년대와 암흑기의 시 -17
 18  1930년대와 암흑기의 시 -18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1930년대와 암흑기의 시 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1930년대와 암흑기의 시
* 1930년대의 시문학
1. 1930년대의 시대적 상황
2. 1930년대 시의 특징과 의의
3. 주제와 시적 표현
4. 1930년대의 중요 동인지 및 잡지
5. 1930년대의 중요 경향
(1) 계급주의 문학의 퇴조와 순수시의 대두
(2) 다양한 현대시 유파(流派)의 형성과 실험 정신
㉠ 시문학파 ◎ 주요 작가와 작품◎ 김영랑
㉡ 모더니즘파 ◎ 주요 작가와 작품 ◎ 김기림◎ 이상◎ 김광균
㉢ 생명파(生命派) ◎ 주요 작가와 작품 ◎ 서정주 ◎ 유치환
㉣ 그 외
6. 1930년대 시의 문학사적 의의
*1940년대의 시문학
1. 시대적 배경
2. 암흑기 문학의 특징
3. 이 시대의 주요 잡지와 문예지
4. 작가와 작품
5. 1940년대의 시의 문학사적 의의
* 1930년대의 시문학
1930년대에는 어떤 시대보다도 많은 시인들과 시가 창작된 시기이다. 각종 동인지를 중심으로 시의 경향이 다양해지고, 표현 수법 역시 다양해진다. 시 그 자체 목적을 두고 시의 아름다움을 추구한 시문학파로 대변되는 김영랑, 박용철, 정지용과 회화적 이미지의 구축을 추구한 정지용, 김광균, 장만영, 초현실주의 기법을 동원한 이상의 시, 강렬한 원색적 시어를 사용하여 생의 본원적 충동을 노래한 서정주, 유치환 등의 생명파의 시 등이 그것이다. 30년대의 시를 순수시를 추구한 시문학파, 이미지의 회화적 수법과 근대시를 지향한 모더니즘계열의 시, 생명의 근원에 대해 탐구한 시문학파 등으로 나누어 살펴봄으로써 그 시대의 특징을 살펴보겠다.
1. 1930년대의 시대적 상황
만주 사변(1931), 중일 전쟁(1937) 등으로 일제가 전시 체제를 구축하면서 민족 문화를 탄압, 말살하기 위한 억압 정책을 가속화해 가던 시기로서, 세계적으로도 경제 공황(1929)과 전체주의 파시즘(fascism)이 대두하던 위기의 시대가 1930년대였다. 우리 문학에서 1930년대는 일제의 사상 탄압으로 말미암아 카프의 활동이 더 이상 불가능해진 시기로부터 시작된다. 일제는 중국 대륙을 침략하는 등 새로운 전쟁을 해 나가기 위해 한반도 안의 위험 요소를 미리 없애 두려 하였고 이에 따라 일체의 이념적 경향을 띤 움직임이 제약받으면서 시에도 그 영향이 미쳤던 것이다. 이러한 속에서 우리 시단은 사회 현상보다는 개인의 문제, 도시 문명의 모습, 자연과 생명의 문제 등을 중요하게 여기는 조류들이 확대되어 갔다. 시문학파가 형성되었고, 모더니즘이 수입되었으며, 생명파나 청록파 등이 활동을 시작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1930년대 말로 접어들자 일제는 중국이나 동남아 등지에 대한 제국주의적 침략을 본격화하면서 전국을 전시 상황으로 몰고 감으로써 우리말로 된 각종 신문이나 잡지를 폐간시켰다. 이러한 상황에서 일부 문인들은 아예 글쓰기를 포기하거나 만주나 중국 등지를 유랑하기도 하였지만, 일부 문인들은 일제 정책에 동조하면서 친일 작품을 발표하는 등 반민족적 행위에 가담하기도 하는 왜곡된 역사의식을 보여 주었다.
⑴ 일제의 탄압 정책
1928년에 발효된 치안 유지법에 기초하여 조선인들에 대한 사상 탄압이 가중되었다. 특히 만주 사변(1931), 중일 전쟁(1937)으로 인해 일제가 조선을 대륙 침략을 위한 병참 기지로 삼으려 함에 따라 식민지 조선에 대한 경제적 수탈 역시 가중되었다. 이처럼 일제의 만주 침략 노골화로 인한 동아시아 정세의 악화는 조선 사회를 더욱더 불안하게 만들었으며, 그 심한 위기감으로 하여 한국 문학 역시 앞을 내다볼 수 없게 되었다.
⑵ 일제의 사상 탄압
1938년 3월 중등 학교 교과목에서 ‘조선어’ 과목을 폐지시킴으로써 일제의 식민지 사상 탄압 정책은 더욱 가혹하게 진해되었다. 문학에서는 신간회 해체(1932), 카프 소속 문인들의 대대적인 검거(1931, 1934)와 뒤따른 카프 해산(1935)으로 문학 문동의 조직적인 구심점이 사라지게 되었다.
⑶ 문학의 탈정치화 경향
현실 비판적인 작품은 일체 발을 붙이지 못하게 되고 문학의 탈정치화 경향이 강화되었다. 1930년대 초의 시문학파를 중심으로 한 순수시 운동, 1930년대 후반의 모더니즘적인 경향, 그리고 생명파 등은 모두 일제의 식민지 지배에 대한 비판과 저항이 허용되지 않았던 시대 상황과 깊은 관련을 맺고 있는 시적 경향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문학적 움직임은 결국 뚜렷한 방향을 잃고 여러 갈래로 분산되었다.
2. 1930년대 시의 특징과 의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