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색과 문화

 1  한국의 색과 문화-1
 2  한국의 색과 문화-2
 3  한국의 색과 문화-3
 4  한국의 색과 문화-4
 5  한국의 색과 문화-5
 6  한국의 색과 문화-6
 7  한국의 색과 문화-7
 8  한국의 색과 문화-8
 9  한국의 색과 문화-9
 10  한국의 색과 문화-10
 11  한국의 색과 문화-11
 12  한국의 색과 문화-12
 13  한국의 색과 문화-13
 14  한국의 색과 문화-14
 15  한국의 색과 문화-15
 16  한국의 색과 문화-16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한국의 색과 문화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 론 - 한국의 색에 대하여
2.본론
1)오방색의 사상적 배경(음양오행설)
2) 오방색의 속성
3) 생활 속에서 찾아본 오방색
3. 결 론
본문내용
고등학교 국어책에서 색에 대한 형용사에 관한 내용을 살펴보면 그 다양한 변화에 놀라게 된다. “붉다”라는 단어를 그 예로 살펴볼 때 “붉디붉다. 붉으스럼하다, 불그레레하다. 불그뎅뎅하다. 불그름하다. 불그레하다. 불그부레하다. 불그숙숙하다. 불그스름하다. 불그죽죽하다. 불긋불긋하다. 불긋하다......등등”으로 수없이 많은 형태로 나누어짐을 알 수가 있다. 더 놀라운 것은 그들이 의미하는 채도, 명도, 농도도 모두 다르다는 것이다. 이러한 예로도 우리 민족이 이전부터 “색채”라는 것에 남다른 관심을 보이고 그것을 연구해 왔음을 알 수 있다.

또한 그러한 관심은 알게 모르게 우리의 생활문화 곳곳에 이미 존재하여 왔다. 생활을 구성하는 가장 기본적인 요소 衣,食,住를 살펴보자. 衣는 등에서, 食은 등에서, 住등에서 한국인만의 색의 세계가 그 의미를 가진 채 화려하게 펼쳐졌음을 알 수 있고 그 외에 솟대, 화각장(소품장농), 반짓고리, 색보자기, 옥녀경 거울, 아리랑 부채, 병풍, 토속민예품, 전통악기.궁중악기(편종,날라리...), 사물악기(장고,징,꽹과리,)의 끈, 금줄(노란새끼줄) 득남(빨간고추,소나무잎) 득녀(검정숯) 등의 소품 등에서 상징적 체계를 가지고 쓰여 왔음을 알 수 있다.

참고문헌
구미래. . 교보문고. 2000
이재만. . 인진사. 2005
최성자. . 지식산업사. 1993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