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복식사] 조선시대 복식

 1  [한국복식사] 조선시대 복식-1
 2  [한국복식사] 조선시대 복식-2
 3  [한국복식사] 조선시대 복식-3
 4  [한국복식사] 조선시대 복식-4
 5  [한국복식사] 조선시대 복식-5
 6  [한국복식사] 조선시대 복식-6
 7  [한국복식사] 조선시대 복식-7
 8  [한국복식사] 조선시대 복식-8
 9  [한국복식사] 조선시대 복식-9
 10  [한국복식사] 조선시대 복식-10
 11  [한국복식사] 조선시대 복식-11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한국복식사] 조선시대 복식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조선의 예복제도

1) 왕복

2) 왕비복

3) 백관복

본문내용
조선의 예복제도
태조 때에는 고려의 예복제도를 그대로 고수하였고, 태종 때부터 제정하였다. 왕의 예복은 태종 이후에는 선조때 까지 면복이 사여되는 등 명의 제도를 답습한다.
조선 초의 예복제도는 󰡔경국대전󰡕에서 완성을 보게 되고 이것이 영조대의 󰡔속대전󰡕이 완성되기까지 조선의 예복제도의 지침이 된다.

1) 왕복
(1) 祭服( 大禮服, 法服): 冕服
면류관(冕旒冠)과 곤복. 9류면 9장복, 국장에 사용된 면복만 국내에서 제작하였다. 조선후기에는 청의 예제를 따르기를 거부하였기 때문에 국내에서 면복을 제작하였다.
곤복(袞服)
중국황제는 十二章服(6章紋의 衣 + 6章紋의 裳), 조선의 왕은 九章服(5章紋의 衣 + 4章紋의 裳)착용
곤복의 구성
․中單 / 衣 / 裳 / 蔽膝 / 革帶 / 佩玉- (형(珩), 거(琚), 우(瑀), 황(璜), 충아(衝牙), 옥적(玉滴), 옥화(玉花)와 小綬) / 大帶 / 綬- 九章服의 綬는 纁色바탕에 四采綬(적․백․표․록)로 3采의 小綬가 달리고 龍紋을 한2개의 玉環 또는 金環이 중간에 장식. 十二章服의 綬 纁色바탕에 六采綬/ 襪 / 舃 / 圭
※ 方心曲領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