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희곡사] 한국 희곡사의 이해

 1  [한국희곡사] 한국 희곡사의 이해-1
 2  [한국희곡사] 한국 희곡사의 이해-2
 3  [한국희곡사] 한국 희곡사의 이해-3
 4  [한국희곡사] 한국 희곡사의 이해-4
 5  [한국희곡사] 한국 희곡사의 이해-5
 6  [한국희곡사] 한국 희곡사의 이해-6
 7  [한국희곡사] 한국 희곡사의 이해-7
 8  [한국희곡사] 한국 희곡사의 이해-8
 9  [한국희곡사] 한국 희곡사의 이해-9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한국희곡사] 한국 희곡사의 이해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전통극의 이해
1) 마을굿
2) 무당굿
3) 풍물굿
4) 탈춤
5) 꼭두각시놀음
6) 판소리
7) 창극

Ⅱ. 1910~1920년대의 희곡
1) 윤백남
2) 김영보
3) 김정진
4) 조명희
5) 김우진

Ⅲ. 1930~1940년대의 희곡
1. 1930년대의 연극과 희곡
2. 일제말 암흑기의 연극과 희곡

Ⅳ. 광복 이후의 희곡
1. 1945~1950년
2. 1950년대의 희곡
3. 1960년대의 희곡
4. 1970년대의 희곡

Ⅴ. 한국 근대 연극론의 흐름
1. 연극성과 문학성
2. [신극]의 개념과 계몽주의적 연극관
3. 프롤레타리아 연극과 [극예술연구회] 그리고 대중극
4. 이데올로기의 연극화, 좌·우의 대립
5. 1960년대 이후, 창작극인가 번역극인가
본문내용
Ⅴ. 한국 근대 연극론의 흐름

1. 연극성과 문학성
희곡은 연극와 문학의 이중적인 존재이다. 희곡이 먼저냐, 공연이 먼저냐 하는 것은 각 시대의 문화적 · 사회적인 배경과 함께, 각 지역 민족의 고유한 전통과도 관련이 있다. 한국연극사를 거슬러 올러갈 때 가면극·인형극·창극에서 알 수 있듯이 우리의 연극은 희곡중심이기 보다는 공연, 특히 놀이 중심의 성격이 강하였다. 전통 속에서 희곡이 독립적인 문학 장르로 존재한 것이 아니라 구비문학 가운데의 하나인 연희문학으로 전승되어 온 현실이었다.
하지만 이른바 개화기의 시기를 맞아 [원각사]가 설립되기 시작하면서부터 열린 마당에서의 놀이에서 실내극장에서의 무대극으로의 전환이 이루어졌다. 하지만 이로부터 일본 제국주의의 산물이어서 소중한 유산인 우리의 전통극을 상실하는 지경에 이르게 되었다. 하지만 우리의 삶속에 면면히 흐르고 있는 놀이정신은 완전히 거세된 것이 아니어서 일제치하에서도 [대중극]의 이면에서 살아 숨쉬고 있었던 것이고, 오늘날의 마당극운동으로 그 정신이 계승된 것이라고 보아야 할 것이다.

2. [신극]의 개념과 계몽주의적 연극관

한국근대연극의 출발은 전통극의 계승 극복이기보다는, 서구 리얼리즘 무대의 수용에서 시작된다. 신파극이 성행하던 시기에 서양의 리얼리즘 연극을 접하게 된 일군의 선구적인 연극인들은 민중계몽의 수단으로서, 서양의 소극장운동을 개념을 주장하게 되었다. 그래서 서양의 리얼리즘 연극을 신파극과 구별하기 위해 [신극]이라 불렀던 신극론자들은 계몽성을 한국에 적용시키고자 했지만 무대연극의 전통을 가지고 있지 않고, 게다가 한국의 전통극을 완전히 무시한 이들은 관객의 외면을 받을 수밖에 없었다.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