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록관리] 중국 기록관리의 특징

 1  [기록관리] 중국 기록관리의 특징-1
 2  [기록관리] 중국 기록관리의 특징-2
 3  [기록관리] 중국 기록관리의 특징-3
 4  [기록관리] 중국 기록관리의 특징-4
 5  [기록관리] 중국 기록관리의 특징-5
 6  [기록관리] 중국 기록관리의 특징-6
 7  [기록관리] 중국 기록관리의 특징-7
 8  [기록관리] 중국 기록관리의 특징-8
 9  [기록관리] 중국 기록관리의 특징-9
 10  [기록관리] 중국 기록관리의 특징-10
 11  [기록관리] 중국 기록관리의 특징-11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기록관리] 중국 기록관리의 특징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목차-

Ⅰ. 서언

Ⅱ. 문건 ․ 당안 일체화
1. 문건 ․ 당안 일체화 개념의 등장
2. 문건 ․ 당안 일체화 관리 유형

Ⅲ. 아키비스트 양성제도
1. 아키비스트의 규정과 선발
2. 아키비스트 양성을 위한 교육제도

Ⅳ. 역사기록물의 목록기술과 검색
1. 역사기록물의 목록기술
2. 역사기록물의 검색

Ⅴ. 결어
본문내용

Ⅰ. 서언

중국의 기록관리업무는 그 유구한 역사만큼이나 오랜 전통을 가지고 있다. 상나라 때의 갑골문의 예에서 보듯 4~5천 년 전부터 기록을 보존하는 일을 중시해 왔고, 역대 각 왕조마다 기록물을 관리하고 보존하기 위한 제도와 법령을 만들고 시행해 왔으며, 현재에도 국가당안국으로부터 현급 당안국까지 행정구역별로 약 2,300여 개의 기록관리행정기관이 설치되어 있고, 기록물을 관리하는 각급 당안관은 약 3,800여 개에 설치되어 있다.
중국은 기록관리 업무의 역사가 길뿐만 아니라 형식상 가장 체계적으로 제도가 정비되어 있는 나라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그동안 중국 기록관리의 기관과 제도, 법률에 대한 연구가 많이 이루어져왔다. 정책제도와 표준은 국가에서 통일적으로 지휘 ․ 관리하고 기록물의 수집 ․ 보존 ․ 활용 등은 지방별로 자체 수행하는 분산관리 체계이며, 1954년 11월 전국인민대표회의 상무위원회에서 국무원 직속의 국가당안국 설립을 결정하여 1985년 2월, 중공중앙과 국무원이 국가당안국의 영도관계(상급관계)를 국무원으로 결정하게 된다. 중국 기록관리제도의 가장 큰 특징은 행정과 관리가 국가당안국과 중앙당안관으로 이원화되어 있다는 점인데, 이는 국가당안국장이 중앙당안관장을 겸하는 구조를 취하고 있기 때문에 일원화되어 있다고 볼 수도 있다. 또한 중국의 중앙 기록물 관리기관은 여러 부처의 업무를 조율할 수 있는 국무원 산하인 반면, 우리나라는 특정 정부 부처에 소속되어 있고, 중국은 기관장의 위상이 차관급인 반면 우리나라는 국장급이다. 중국의 국가기록관리기관에 대한 연구는 국가기록원에서도 이미 많이 연구되어온 주제이다.
이 글에서는 기존에 연구되어 온 중국 기록관리의 특징 이외에 새롭게 주목받고 있는 문건 ․ 당안 일체화 개념, 아키비스트 양성제도, 역사기록물의 목록기술과 검색에 대해서 살펴볼 것이다. 우리는 중국 기록관리 제도와 체제의 주요 내용과 특징을 살펴봄으로써 우리의 기록관리를 더욱 견고히 해나갈 수 있는 방안을 발견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우리나라에서는 매우 취약한 부분인 3장의 아키비스트 양성제도와 4장의 역사기록물 목록기술과 검색에 대해 자세히 다루어보고자 한다.
참고문헌
참고문헌

〔참고서적〕
T. R. Schellenburg, 이원영 옮김, 『현대기록학개론』, 진리탐구, 2002.
국가기록원, 『중국의 기록관리』, 2002.
국가기록원, 『주요 외국의 기록관리 현황』, 국가기록원 제도 혁신팀, 2005.

〔참고논문〕
이승휘 「중국 당안제도와 당안관」, 『역사비평』36, 한국역사연구회, 1997.
, 「중국의 아키비스트 양성제도-중국인민대학 당안학원을 중심으로-」, 『기록학연 구』1, 한국기록학회, 2000.
, 「중국의 혁명역사기록물의 목록기술과 검색분류(1)」, 『기록학연구』4, 2001.
, 「중국의 혁명역사기록물의 목록기술과 검색분류(2)」, 『기록학연구』5, 2002.
이승억, 「한국 공공분야 기록보유체제 전망-기록물분류기준표의 제도적 의의와 특성」, 『기록학연구』제4호, 한국기록학회, 2001.
서석제, 「중국의 문건 ․ 당안 일체화 개념 분석」, 『기록학연구』제10호, 한국기록학회, 2004.
강대신 ․ 박지영, 「중국일본의 기록관리 제도에 관한 연구」, 『한국기록관리학회지』제4권 제2호, 한국기록관리학회, 2004.

〔참고사이트〕
국가기록원(www.archives.go.kr)
중화인민공화국국가당안국(www.saac.gov.cn)


기타서지사항
〔참고서적〕
1. 中國 第二歷史檔案館, 『民國檔案』, 南京 民國檔案編輯部, 1985-2006.
2. 歷史檔案編輯部, 『歷史檔案』, 北京 歷史檔案雜誌社, 1981-2006.
3. 鄧紹興 ․ 陳智僞, 『檔案管理學』, 中國人民大學出版社, 1998.
4. 國家檔案局 ․ 中央檔案館 編, 『中國檔案年鑒 2000-2001』, 中國檔案出版社, 2002.
5. 沈正樂 等 編, 『最新檔案工作實務』, 中國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