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리조사법] 광주와 봉화로

 1  [지리조사법] 광주와 봉화로-1
 2  [지리조사법] 광주와 봉화로-2
 3  [지리조사법] 광주와 봉화로-3
 4  [지리조사법] 광주와 봉화로-4
 5  [지리조사법] 광주와 봉화로-5
 6  [지리조사법] 광주와 봉화로-6
 7  [지리조사법] 광주와 봉화로-7
 8  [지리조사법] 광주와 봉화로-8
 9  [지리조사법] 광주와 봉화로-9
 10  [지리조사법] 광주와 봉화로-10
 11  [지리조사법] 광주와 봉화로-11
 12  [지리조사법] 광주와 봉화로-12
 13  [지리조사법] 광주와 봉화로-13
 14  [지리조사법] 광주와 봉화로-14
 15  [지리조사법] 광주와 봉화로-15
 16  [지리조사법] 광주와 봉화로-16
 17  [지리조사법] 광주와 봉화로-17
 18  [지리조사법] 광주와 봉화로-18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지리조사법] 광주와 봉화로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서론
1. 연구 목적 및 의의
2. 연구 방법

Ⅱ. 광주와 봉화로
1. 광주와 봉화로의 역사
2. 광주의 지세와 봉화로의 노선의 변화

Ⅲ. 봉화로의 형태 변화
1. 노폭과 노면 포장시기 및 포장율의 변화
2. 노변시설의 변화
1) 도로표지판
2) 숙박시설의 형태의 변화

3. 봉화로 주변 문화유적

Ⅳ. 3번국도의 역사와 형태
1. 조선시대 이후 한국 도로의 역사
2. 3번 국도의 역사와 형태

Ⅴ. 결론

참고문헌

부록
- 답사 인터뷰 정리집
- 답사 사진 자료집
본문내용
Ⅰ.서론

1. 연구 목적 및 의의

독일 지리학자들은 지리학을 경관 연구라고 정의하며, 독일의 지리교과서 이름도 ‘경관학’, ‘지구학’이다. 형태학을 창시한 쉴리터의 경관 개념을 지리학의 연구대상으로 확고히 받아들인 것이다. 쉴리터는 구체적이고 가시적인 현상들, 즉 경관을 지리학의 연구대상으로 국한시킨다. 그는 일정 지역 내의 가시적 현상들로 그 범위를 국한시킨다면 그 지역의 지형적 특성과 더불어 촌락과 경지이용 형태 등이 긴밀하게 관련되어 있는 상태를 파악할 수 있으며 이것이 바로 지역을 전체적으로 인식하는 길이라고 주장한다. 권정화, 《지리사상사 강의노트》, 한울아카데미, 2005

본 연구는 이러한 쉴리터의 주장을 바탕으로 한다. 먼저, 연구범위는 경기도 광주내의 간선도로망으로서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3번국도와 그것의 모체인 봉화로이다. 쉴리터의 방법을 따라 3번국도의 현재의 경관과 과거의 경관을 연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로의 건설과정과 변화과정을 알아보는 것으로 즉, 역사와 형태를 파악하는 것을 주목적으로 하며 길의 기능, 구조와 관계, 계층과 같은 도로에 관한 다양한 주제는 본 연구에서 제외시킨다.
인간의 이동 그리고 정착과 상호교류를 가능하게 하는 것은 길이다. 인간의 역사는 길의 그것과 함께 한다고 하여도 과언은 아니다. 사람이 사는 곳에는 어디든지 길이 있다.
참고문헌
한국 건설교통부 도로정책과, 편. 《한국의 길》. 과천: 건설교통부 도로정책과, 2004.
최운식, 《한국의 육상교통》. 서울: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1995.
경기도 광주군 광주군지편찬위원회, 편. 《광주군지》.광주: 廣州郡誌編纂委員會 , 1990.
광주문화원, "광주문화원 홈페이지", 2007. 5. 19.
광주시 조선관요박물관, 《문화유적분포지도:광주시 1:10,000》,경인M&B, 2006
김종혁, 〈조선후기의 대로〉,《옛 길을 따라》, 2004
김종혁, 〈역사에서 ‘길’이란 무엇인가〉, 《옛 길을 따라》, 2004
김종혁, 《18세기 광주 실학의 지리환경》, 한국학학회, 2004.12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