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형태론] 굴절론(조사)

 1  [국어형태론] 굴절론(조사)-1
 2  [국어형태론] 굴절론(조사)-2
 3  [국어형태론] 굴절론(조사)-3
 4  [국어형태론] 굴절론(조사)-4
 5  [국어형태론] 굴절론(조사)-5
 6  [국어형태론] 굴절론(조사)-6
 7  [국어형태론] 굴절론(조사)-7
 8  [국어형태론] 굴절론(조사)-8
 9  [국어형태론] 굴절론(조사)-9
 10  [국어형태론] 굴절론(조사)-10
 11  [국어형태론] 굴절론(조사)-11
 12  [국어형태론] 굴절론(조사)-12
 13  [국어형태론] 굴절론(조사)-13
 14  [국어형태론] 굴절론(조사)-14
 15  [국어형태론] 굴절론(조사)-15
 16  [국어형태론] 굴절론(조사)-16
 17  [국어형태론] 굴절론(조사)-17
 18  [국어형태론] 굴절론(조사)-18
 19  [국어형태론] 굴절론(조사)-19
 20  [국어형태론] 굴절론(조사)-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국어형태론] 굴절론(조사)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국어 문법에서의 조사

Ⅱ. 계사 '-이-'에 대한 논의

Ⅲ. 이중주어문에 대한 논의

Ⅳ. 격의 무표지성, 조사 생략
본문내용
Ⅰ. 국어 문법에서의 조사
1. 조사(助詞)의 정의 및 종류
1.1 조사의 정의
일반적으로는 부속어 가운데 활용을 하지 않는 것을 말한다. 자립성이 없어 독립적으로 쓰이는 것은 거의 없고, 앞의 체언에 붙어서 그 문법적 기능을 나타내주는 역할을 한다. 그런 점에서 조사를 접미사의 일종으로 보는 경우도 있다. 부사나 부사격 조사, 용언의 연결 어미, 다른 조사와 결합할 수 있다.

(1) 부사나 부사격조사, 용언의 연결어미와 결합하는 경우
a. 오늘은 날씨가 몹시도 나쁘다. (부사+조사)
b. 서울에서는 별을 보기가 매우 힘들다. (부사격조사+조사)
c. 그것은 마음에 들지가 않는다. (연결어미+조사)

(2) 다른 조사와 결합하는 경우
a. 나에게는 쉽지 않다. (격조사 + 보조사)
b. 철수까지가 합격이다. (보조사 + 격조사)
c. 그 책만은 보지 말아라. (보조사 + 보조사)

1.2 조사의 종류
조사는 크게 격조사, 특수조사(보조사), 접속 조사로 나뉜다. 격조사는 체언 뒤에 붙어서 문장 안에서의 체언의 구실을 하면서 문장의 의미가 드러나도록 하는 말이다. 격조사는 다시 주격 조사, 목적격 조사, 보격 조사, 서술격 조사, 관형격 조사, 부사격 조사, 호격 조사로 나눌 수 있다. 보조사는 체언의 어느 격으로 한정하지 않고 여러 문장 성분에 두루 쓰여 그 단어에 특별한 뜻을 더해주는 조사이고, 접속 조사는 두 단어를 같은 자격으로 이어 주는 구실을 하는 조사이다. 각각의 조사에 대해 좀 더 자세히 살펴보도록 하자.

2. 격(格)조사
명사가 문장 중의 다른 단어와 가지는 관계를 나타내는 문법범주를 격(格 case)이라 하는데 국어의 조사, 정확히는 그 중에서 격조사가 바로 이 격 범주를 나타내는 것으로 해석된다. 그리하여 격조사는 어떤 격을 나타내느냐에 따라 주격조사(主格助詞), 처격조사(處格助詞) 등의 이름을 붙여 부르고 있다. 대표적인 격조사와 그 이름을 보이면 다음과 같다.

(3) a. 해가 벌써 중천에 떴구나. (주격조사)
b. 방학 동안 무슨 책을 읽겠니? (대격조사)
c. 오후 다섯 시에 과 사무실에서 만나자. (처격조사)
d. 산으로 갈까, 바다로 갈까? (향격조사)
e. 붓으로 쓴 글씨와 만년필로 쓴 글씨. (구격조사)

참고문헌
「국어 문법론 강의」, 이익섭 · 채완, 학연사, 2003
「국어 연구의 몇 국면」박정규, 보고사, 2003
「국어 문법연구 Ⅰ」 이광정, 역락, 2003
「학교 문법의 이해」, 이영택 편저, 형설출판사, 2003.
「국어학 개설」, 이익섭, 학연사, 2003.
「현대 한국어 문법 연구의 개관」, 서정수, 한국문화사, 1996
「국어학 개론」, 조문제·정우상 공저, 학문사, 1987.
「이중주어문의 고찰」, 정은선, 언어학논집 4집(183-195), 언어정보연구원, 1994
「이중주어문 통사구조」, 임동훈, 한국문화 19집(31-66), 서울대학교 한국문화연구소, 19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