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 통사론 연구의 경향 2001년을 중심으로

 1  국어 통사론 연구의 경향 2001년을 중심으로-1
 2  국어 통사론 연구의 경향 2001년을 중심으로-2
 3  국어 통사론 연구의 경향 2001년을 중심으로-3
 4  국어 통사론 연구의 경향 2001년을 중심으로-4
 5  국어 통사론 연구의 경향 2001년을 중심으로-5
 6  국어 통사론 연구의 경향 2001년을 중심으로-6
 7  국어 통사론 연구의 경향 2001년을 중심으로-7
 8  국어 통사론 연구의 경향 2001년을 중심으로-8
 9  국어 통사론 연구의 경향 2001년을 중심으로-9
 10  국어 통사론 연구의 경향 2001년을 중심으로-10
 11  국어 통사론 연구의 경향 2001년을 중심으로-11
 12  국어 통사론 연구의 경향 2001년을 중심으로-12
 13  국어 통사론 연구의 경향 2001년을 중심으로-13
 14  국어 통사론 연구의 경향 2001년을 중심으로-14
 15  국어 통사론 연구의 경향 2001년을 중심으로-15
 16  국어 통사론 연구의 경향 2001년을 중심으로-16
 17  국어 통사론 연구의 경향 2001년을 중심으로-17
 18  국어 통사론 연구의 경향 2001년을 중심으로-18
 19  국어 통사론 연구의 경향 2001년을 중심으로-19
 20  국어 통사론 연구의 경향 2001년을 중심으로-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국어 통사론 연구의 경향 2001년을 중심으로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필자가 파악한 바, 2001년도에 국내에서 발표된 통사론 관련 논저는 약 380여 개가 된다. 이 가운데 현대 국어 통사론 논저는 280여 개인데, 이는 통시론적 연구, 대조언어학적 연구, 고대중세근대 국어 연구, 일반 언어 이론 연구를 제외한 숫자이다. 통사론 개론서 성격의 것들을 제외한 논저 278개를 통사론 개별 분야별로 나누어 비율을 제시하면 개략적인 연구 흐름을 파악해 볼 수 있다.
분야별로 통사 범주(격조사, 어미, 품사), 문장 구성(문장 성분, 문형, 중출문, 특수 구문, 접속내포), 문법 범주(시제상양태, 피사동, 부정, 종결, 높임, 의문, 어순, 생략), 기타(문법화, 문법교육, 텍스트, 응용) 네 가지로 나누어 통사론 연구 경향을 살펴볼 수 있다. 양적인 측면만을 보면, 통사 범주 37.8%(105개), 문장 구성 18.0%(50개), 문법 범주 25.9%(72개), 기타 18.3%(51개)로 연구 경향을 나누어 살필 수 있다. 교착어로서의 국어의 조사와 어미 및 기본적인 품사 관련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시제, 피사동, 높임법 등 구체적인 문법 범주 문제가 많이 다루어지고 있다.
2001년도 통사론 연구는 몇 가지 특징을 띤다. 첫째, 소위 보편 이론에 기대기보다는 국어 나름대로의 특성을 자체 이론을 통해서 밝히려는 연구 경향이 있다. 둘째, 연구 자료에 있어서 만들어진 것이 아니라 실제 생활 속에서 사용되는 것들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특히, 말뭉치 관련 국어 자료를 이용하여 연구를 진행하는 경향을 살필 수 있는데, 이와 관련하여 전산국어학적 성격이 통사론에서 보이는 것도 특징적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문장에 국한된 기존 통사론뿐 아니라 문장 이상의 담화 차원에까지 접목되는 간분야적 통사론 연구도 많이 나타나고 있다.
이 글에서는 현대 국어를 대상으로 한 통사론 분야 논저들에 대해서 분야별로 나누어 연구 동향을 밝히도록 한다. 현대 이전의 국어를 대상으로 한 논의라고 하더라도 필요하다고 판단될 때는 제시하도록 하고, 더불어 문법화, 문법 교육, 텍스트 및 응용 분야에서 통사론 관련되는 것도 간단히 다루도록 한다.
2. 단행본
2001년도에 간행된 통사론 분야 단행본은 약 20여 권에 이른다. 개설서 2권, 특정 주제를 다룬 책 4권, 기념 논문집 2권, 기존 논문들을 보완해서 낸 책 4권, 박사학위논문을 보완한 책 7권, 문법 교육 분야 책 2권이다.
개설서 성격을 띠고 있는 것은 『현대국어 통사론』(남기심)과 『조선어문법편람』(정순기리금일)이다. 『현대국어 통사론』(남기심)은 학교 문법의 용어를 사용하여 문장 관련 이론을 치밀하게 다루고 있다. ‘1부 국어와 국어 문법’에 이어, ‘2부 문장의 짜임새(1)’에서는 ‘문장의 성립과 문장 성분, 국어의 특수 구문, 국어 구문의 특징’을 다루고 있으며, ‘3부 문장의 짜임새(2)’에서는 ‘문장 속의 문장, 이어진 문장’을 다루고 있고, 마지막 ‘4부 문법 요소의 기능과 의미’에서는 ‘사동과 피동, 부정법, 시상(時相), 법(法), 높임법, 문장의 종결’에 대해서 다루고 있다. 주성분으로 보어라는 용어를 사용하지 않으면서 필수적수의적 보충어라는 용어를 사용하고 있는 게 눈에 띤다. 또한 기존의 통사론 개설서에서 별로 비중있게 다루지 않았던 ‘이다’ 구문, 서술성 명사 구문, 소절 구문 등 국어의 특수 구문을 다루고 있는 게 특징적이다. 『조선어문법편람』(정순기리금일)은 형태론과 통사론 내용을 담은 개론서인데, 북한의 사회과학원 언어학연구소에서 집필한 것을 남한에서 출판한 것이다. 그 내용은 ‘문법일반편, 품사편, 형태편, 문장편, 토편, 활용편, 섞갈리기 쉬운 문법적현상, 도해’로 구성되어 있다. 그 가운데 문장편은 ‘문장, 단어들의 결합관계, 부, 구, 문장성분, 문장의 성분화, 어순, 문장론적단위’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부’라고 하는 문법 단위가 눈에 띠는데, 단어 결합을 이루는 결합 통일체의 마지막 단어가 대상어나 수식어로 된 확대 구조를 지칭하고 있다. ‘부’의 마지막 단어가 체언으로 된 체언부(예: 혁명과 건설의, 참으로 훌륭한 건물로)와 마지막 단어가 부사로 된 부사부(예: 제 마음처럼 깨끗이, 조그마한 드팀도 없이)로 나뉘어 있다. 이 글에서 사용하는 문법 용어는 가능한 한 개별 논저의 것을 그대로 사용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특정 주제를 담은 단행본은 『한국어의 목적어』(류구상 외 9명), 『한국어 분류사의 범주화 기능 연구』(우형식), 『국어 종결어미의 문법』(김태엽), 『한국어 연어 관계 연구』(홍종선강범모최호철)이다.
『한국어의 목적어』(류구상김양진성광수고광주유형선이관규이윤표시정곤김원경한정한)은 류구상 교수의 정년을 맞이하여 기획된 저서이다. 목적어 및 목적격 조사의 연구 흐름을 살핀 “전통구조문법과 조사 {를}”(류구상), “생성문법에서의 목적격 연구”(김양진)을 비롯하여, “목적어 구성: 목적격과 조사 ‘-를’의 관계”(성광수), “목적어 있는 피동문”(고광주), “이중 목적격에 관한 일고”(유형선), “목적어와 보어의 어순”(이관규), “목적어의 표지 문제”(이윤표), “{를}의 정체는 무엇인가?”(시정곤) 등과, 응용적 연구 논문인 “한국어 목적어의 정보 처리”(김원경), “중간언어 기계번역 시스템을 위한 ‘-를’의 처리”(한정한)이 들어가 있다. 『한국어 분류사의 범주화 기능 연구』(우형식)은 분류사의 성격, 문법 범주, 범위, 기능 등을 실제 자료를 대상으로 하여 살핀 연구이다. 국어 분류사가 수 분류사에 해당하는 특징이 있음을 밝히면서, 수 분류사에 도량성과 부류성 두 가지 속성이 공존한다는 점에서, 분류사의 기능을 수량화와 부류화로 구분하였다. 그리고 분류사의 도량성을 바탕으로 하는 전통적인 기술 방식에서 벗어나 부류화 기능을 중심으로 범주를 설정하여 국어 분류사를 체계화하고 있다. 이에 따라 국어 분류사의 부류화 기능을 인간성, 동물성, 식물성, 형상성, 비형상성(기능), 비개체 범주로 구분하고 각 범주에 해당하는 분류사의 용법을 분석하고 있다. 목차는 ‘서론, 일반적 접근, 분류사의 성격, 분류사의 체계, 분류사의 범주화 분석, 분류사 구성의 형식과 의미, 결론’으로 되어 있다.
『국어 종결어미의 문법』(김태엽)은 종결 어미에 대한 형태론적 층위의 분석적 방법을 적용하여 형태 구조를 제시하고 구체적인 형태 분석을 시도하고 있으며, 그러한 분석의 결과를 토대로 종결 어미의 문법적 기능을 밝히고 있다. ‘제1장 종결어미의 지위와 연구사, 제2장 종결어미의 형태, 제3장 종결어미의 기능’으로 구성되어 있다. 종결 어미의 형태 구조에 따라 설정되는 마침법의 하위 범주를 살피고, 종결 어미의 형태를 이루는 핵심 요소인 문장 종결소를 기준으로 하여 어미 구조체의 구조 유형을 분류하고 있다. 아울러 종결 어미의 형태를 이루고 있는 구성 요소 중에서 문장 종결소에 대한 지위와 유형을 살피고, 본디 다른 기능을 수행하던 문법 형태가 그 문법 기능이 전용되어 종결 어미로 기능하는 형태에 대해서 살펴보고 있다. 더불어 비종결 어미가 종결 어미로 바뀌는 현상이나 종결 어미가 문법화되는 현상에 대해서도 밀도 있게 검토하고 있으며, 더불어 종결 어미에 의해 실현되는 마침법 기능과 청자 높임법 기능을 논하고 있다. 형태론적 분석 방법으로 마침법의 분류 기준을 세우고, 그 기준에 따라 마침법을 체계화하고 있다. 또한 마침법과 동일한 분석 방법으로 청자 높임법의 체계를 세우고 그 실현 방법에 대해서도 살펴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