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사] 당왕조의 지방행정제도

 1  [동양사] 당왕조의 지방행정제도-1
 2  [동양사] 당왕조의 지방행정제도-2
 3  [동양사] 당왕조의 지방행정제도-3
 4  [동양사] 당왕조의 지방행정제도-4
 5  [동양사] 당왕조의 지방행정제도-5
 6  [동양사] 당왕조의 지방행정제도-6
 7  [동양사] 당왕조의 지방행정제도-7
 8  [동양사] 당왕조의 지방행정제도-8
 9  [동양사] 당왕조의 지방행정제도-9
 10  [동양사] 당왕조의 지방행정제도-10
 11  [동양사] 당왕조의 지방행정제도-11
 12  [동양사] 당왕조의 지방행정제도-12
 13  [동양사] 당왕조의 지방행정제도-13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동양사] 당왕조의 지방행정제도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I. 머리말

II. 전기 지방행정제도 - 도독부와 주
1) 도독부와 주의 관계에 대한 두 견해
2) 도독과 자사의 관계
1. 도독과 자사의 상하관계
2. 도독부 관서와 주 관서의 설치
3. 도독의 자사 겸임 여부
4. 도독과 자사의 혼용
3) 도독부와 주의 통속내용
1. 감찰
2. 군정
3. 행정절차
4) 천보의 주․부 개혁

III. 후기 지방행정제도 - 내지번진
1) 내지번진의 성립과 발달
2) 하북삼진과 번진간의 대립항쟁
1. 하북삼진의 성립과 지배체제
2. 하북삼진의 기능
3. 번진간의 대립항쟁
3) 번진과 주의 관계
1. 절도사와 자사의 관계
2. 번진과 주의 재정관계
4) 번진의 해체

IV. 맺음말
본문내용
I. 머리말
12 -



唐의 관료조직은 매우 복잡하여 중앙관제와 같이 지방관제도 그 조직과 기구가 방대하며 관원수도 막대한 숫자에 이르고 있다. 《通典》에 의하면 天寶年間의 내외관원 18,805명 가운데 外官은 16,180명으로, 이는 流內官에 국한된 것이고 流外 기타 下級吏員이 5萬 수천명이며 이들 官․吏의 저변을 이루는 잡임 등 職掌人이 30만이 넘는데, 대부분은 300여 州․府 1,500여 縣의 지방관서에 배치되어 있다. 그러나 관원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방대한 지방행정기구에 비하여 《大唐六典》은 30卷 가운데 29권을 중앙관서의 서술에 할애하고 州․縣의 서술은 단 1권에 지나지 않는다.
당대 초기에는 전국을 10개 道로 나누고 이따금 중앙에서 사자를 파견하여 도내의 행정을 감찰하였으며 또 현종 시기에는 15개의 도로 나누어 여기에 채방처치사(採訪處置使)를 상주시켰다. 하지만 그것은 모두 감독상의 구분에 불과했으며 지방행정의 최고 단위는 어디까지나 州였다. 그리고 주와 같이 본문에서 언급하게 될 都督府는 아직 그 개념이나 성격․기능 등이 명확이 밝혀지지는 않았으나 특정한 주에 설치된 지방통치기구였다.
주제에 있어 당의 전기와 후기의 분기점은 안․사의 난으로 설정하였다. 안․사의 난은 종래 중국사에 흔히 있던 오합지졸의 농민반란이 아니라 이민족이 주체가 되고 군벌이 가세한 조직적인 군사행동이다. 그러므로 이 난은 당왕조의 사회체제 뿐만 아니라 남북조시대 이래 성장해온 귀족계층을 송두리째 붕괴시키고 唐末五代의 사회적 변혁을 거쳐 宋代庶民社會를 여는 계기가 되었다. 즉, 당제국의 붕괴와 함께 정복왕조 출현을 가능케 하여 동아시아의 국제질서에 큰 변화를 가져온 역사적 사건이었던 것이다.
안․사의 난으로 당왕조의 지방통치제제에도 변화가 생겼으니, 이는 다름 아닌 內地藩鎭의 등장이었다. 종래 변경 지역에만 설치되었던 번진이 안․사의 난을 진압하는 과정에서 내지에서도 생기게 되었고, 이것이 난 이후에도 계속 존재하여 지방세력화 하였던 것이다. 이리하여 당왕조의 지방통치에 있어 내지번진이 중요한 위치를 점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문에서는 도독부와 주의 관계를 통해 당 전기의 지방행정제도를, 그리고 후기의 그것은 내지번진을 통해서 알아보고자 한다.

II. 전기 지방행정제도 - 都督府와 州
1) 도독부와 주의 관계에 대한 두 견해
당왕조의 도독부와 주의 관계에 대해서는 여러 견해가 있으나 크게 두 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첫 번째 입장은 도독부를 주의 상급기관으로 설정하여 이 둘을 별개로 보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도독부는 수 개의 주를 감독하는 기능을 가지며, 그것이 있는 주에서는 주의 官衙와 더불어 이중으로 도독부의 관아도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 보고 있다.
두 번째 입장은 도독부를 두었던 주에는 따로 주의 관리를 두지 않고 도독부가 주의 일을 행하였기 때문에 일반 주와 하등 다를 것이 없다고 보는 것이다.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