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근세문학사] 곤극과 경극의 연구 분석

 1  [중국근세문학사] 곤극과 경극의 연구 분석-1
 2  [중국근세문학사] 곤극과 경극의 연구 분석-2
 3  [중국근세문학사] 곤극과 경극의 연구 분석-3
 4  [중국근세문학사] 곤극과 경극의 연구 분석-4
 5  [중국근세문학사] 곤극과 경극의 연구 분석-5
 6  [중국근세문학사] 곤극과 경극의 연구 분석-6
 7  [중국근세문학사] 곤극과 경극의 연구 분석-7
 8  [중국근세문학사] 곤극과 경극의 연구 분석-8
 9  [중국근세문학사] 곤극과 경극의 연구 분석-9
 10  [중국근세문학사] 곤극과 경극의 연구 분석-10
 11  [중국근세문학사] 곤극과 경극의 연구 분석-11
 12  [중국근세문학사] 곤극과 경극의 연구 분석-12
 13  [중국근세문학사] 곤극과 경극의 연구 분석-13
 14  [중국근세문학사] 곤극과 경극의 연구 분석-14
 15  [중국근세문학사] 곤극과 경극의 연구 분석-15
 16  [중국근세문학사] 곤극과 경극의 연구 분석-16
 17  [중국근세문학사] 곤극과 경극의 연구 분석-17
 18  [중국근세문학사] 곤극과 경극의 연구 분석-18
 19  [중국근세문학사] 곤극과 경극의 연구 분석-19
 20  [중국근세문학사] 곤극과 경극의 연구 분석-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중국근세문학사] 곤극과 경극의 연구 분석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崑劇
1. 곤극의 정의와 시기구분
2. 형성기(嘉靖연간~萬曆연간, 梁辰魚)
3. 흥성기(萬曆연간 ~ 청초)
4. 항쟁기 및 쇠퇴기
(청대 중엽부터, 乾隆55년부터 ~)
5. 부활(중화인민공화국~현재까지)
6. 崑劇 의 전반적인 특징

Ⅲ. 京劇
1. 京劇의 정의와 형성과정
- 탄생
- 형성
- 발전
2. 지방희의 흥성
3. 경극의 구성
- 배역
- 연기
- 기타 소도구, 분장, 의상

Ⅳ. 崑劇 과 京劇 의 비교
1. 곤곡崑‘曲’과 경극京‘劇’ - 명칭의 차이
2. 곤극崑劇과 경극京劇의 문학적 차이
3. 곤극崑劇과 경극京劇의 음악적 차이
4. 곤극崑劇과 경극京劇의 공연상의 차이


Ⅴ. 결론


Ⅵ. 참고문헌

본문내용
1. 崑劇이란?
중국 희곡의 한 곡조(曲調)이자 전통극의 한 파. 곤곡(崑曲),곤강(崑腔)·곤산강(崑山腔)이라고도 한다. 명(明)나라 중기인 1531∼1541년 장쑤성[江蘇省(강소성)] 쿤산현[崑山縣(곤산현)]에서 위양보(魏良輔) 등이 북곡(北曲)과 남곡(南曲)인 해염강(海鹽腔)의 장점을 취하여 만든 곡조이자 그것에 의하여 만들어진 희곡 및 전통극이다.
崑劇을 시기별로? 형성기 (가정(嘉靖)연간~만력(萬曆)연간, 양신어(梁辰魚)), 흥성기 (만력(萬曆)연간 ~ 청초), 항쟁기 및 쇠퇴기 (청대 중엽부터, 건륭(乾隆)55년부터 ~), 부활 (현대 회복의 방향) 권응상 곤극(崑劇)의 역사에 나온 분류참조


2. 형성기
①崑劇의 출현, 발전배경
송대에 유행하였던 남희(南戱)가 원나라가 남송을 정복한 후 쇠퇴의 길을 걷다가 다시 명 말에 이르러 잡극(雜劇)이 본래의 풍격과 특성을 잃게 되면서부터 다시 부활하였다. 이때 남희(南戱)가 북방잡극(雜劇)의 영향을 받아 전기(傳奇)로 태어난다. 형차기(荊차記), 백토기(白兎記), 배월정(拜月亭), 살구기(殺狗記), 비파기(琵琶記) 이 오대전기(五大傳奇)가 희곡 무대에 상연되면서 남희(南戱)는 활기를 띈다. 전기(傳奇)들이 15여종에 이르는 남희(南戱)의 곡조, 성강(聲腔)에 붙여져 상연되었으며, 각각의 곡조는 그 지역의 언어 혹의 민족적 특색을 담고 있었다. 이들 곡조는 북곡(北曲)의 영향을 받은 남곡(南曲)이 대부분으로 익양강(弋陽腔), 여요강(餘姚腔), 해염강(海鹽腔)이 널리 유행하였고 , 소주(蘇州)일대에서는 곤산강(崑山腔)이 유행하였다. 이 중에서 익양강(弋陽腔)이 가장 널리 유행하였고, 곤산강(崑山腔)의 오(吳) 지방에서만 유행하였다.
참고문헌
논문
李金恂『昆山腔 탐색』 [1999]
강계철『곤산강(崑山腔) 고(考)』 [2004]
안상복『중국 전통극의 양식과 脚色體制』 [2002]
李曉『中國 南方崑劇의 공연예술과 창조법칙』 [1997]
권응상 ( Ueng Sang Kwon )『곤극(崑劇)의 부흥과 최근 공연 성과에 관한 일고(2006년도 하반기 전국학술대회 발표논문)』 [2006]
京劇 『玉堂春』硏究 (金慶國, 전남대학교 대학원 1987년)
단행본 및 도서
『中國學術叢書 . 63 , 中國戱曲槪論』오매 [1995]
『중국의 전통 연극과 희곡문물, 민간연예를 찾아서』김학주
『中国戏曲史』刘彦君
『도화선』을유문학사
『중국연극사』(콜린 맥커라스 지음, 김장환·하경심·김성동 옮김, 학고방)
『중국의 희곡과 민간연예』(김학주 저, 명문당)
『중국 전통극의 이해』(신지영 지음, 범우사)
『상징의 미학 경극』(차미경 지음, 신서원)
『중국문화산책』(이규갑·민재홍·오제중·윤창준·장재웅 공저, 학고방)
『중국문학사』(김학주 저, 신아사)
『중국공연예술』 김학주 外,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부, 2002.
『楊蔭瀏音樂論文選集』楊蔭瀏 ,上海文藝出版社, 1986.
인터넷자료
최민우기자 곤극부분. 중앙일보 2008.02.01
중고교학습자료실 세계문학(中國)
네이버백과사전
위키백과사전
곤극관람관련
네이버블로그 :http://blog.naver.com/zinniakh?Redirect=Log&logNo=40019157914
유원경몽: 씨네 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