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물학] 면역세포 관찰

 1  [생물학] 면역세포 관찰-1
 2  [생물학] 면역세포 관찰-2
 3  [생물학] 면역세포 관찰-3
 4  [생물학] 면역세포 관찰-4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생물학] 면역세포 관찰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Objective

2. Introduction

(1) 면역계 (The immune systerm)

(2) 항원 (Antigen)

(3) 면역담당세포

(1) 대식세포(macrophage)

(2) 과립구(granulocyte)

(3) 림프구(lymphocyte)

3. Materials and Methods

4. Further Study

본문내용
(3) 면역담당세포
골수(bone marrow)에서 만들어진 간세포(stem cell)에서 과립구(호염기구, 호중구, 호산구), 단구
(대식세포), 림프구(T-림프구, B-림프구) 등 면역적격세포가 형성되며 다양한 분화를 거쳐서 면역
담당세포(immunocompetent cell)로 된다.

(1) 대식세포(macrophage)
대식세포는 조직에서 볼 수 있는 단핵식세포로 골수의 조혈성 간세포에서 형성된다. 단핵구아세포
및 전단구기를 거쳐서 단구기를 지난 후, 혈액내로 들어가서 약 40시간 순환한다. 그 후에 조직에
들어가서 크기, 식세포활성 및 lysosome 효소량이 증가하여 대식세포가 된다. 대식세포는 세포표면에
Ig 항원을 가지고 있어 이물 배제기능이 있으며, 또 항원을 포착하고 이것을 처리한 후 T-림프구에
넘기는 작용이 있어 항원제공세포(antigen presenting cell; APC)라고도 한다.
대부분의 대식세포는 원형 또는 들쭉날쭉한 핵, 잘 발달된 골기체, 풍부한 세포내 공포, lysosome
및 phagolysosome, 주름살 또는 미소융모로 덮인 원형질막을 가진 큰 세포이다.
대식세포의 기능에는 비특이적 식작용 및 세포흡수작용, Fc 수용체 및 보체수용체에 의해서 중개
되는 opsonin작용을 받은 미생물에 대한 특이적 식작용, 섭취된 미생물의 살해, T 및 B 림프구에
대한 항원의 출현, lysozyme, collagenase, elastase, acid hydrolase 등의 많은 효소, 몇 개의 보체
성분 및 응고인자, prostaglandin, leukotriene 및 몇 개의 조절분자(interferon, interleukin-1)를 포함한
여러 가지 산물의 분비 등이 있다. 또 대식세포는 lymphokine의 일종인 interferon γ(대식세포 활성화
인자)에 의해 활성화된다. 유리 대식세포에는 폐포 대식세포, 복막 대식세포, 과립 대식세포, 림프 등의
조직 대식세포가 있으며 결합 대식세포에는 간의 성세포(星細胞; Kupffer's cell), 림프조직 결합성
대식세포, 기타의 조직결합성 대식세포가 있다.

(2) 과립구(granulocyte)
골수에서 만들어진 골수아구가 전골수구, 골수구, 후골수구를 거쳐서 약 2주만에 간상백혈구 및 분엽핵
백혈구로 된다. 혈중에는 간상핵과 분엽핵이 출현하여 감염 방어를 담당한다. 과립구계 세포가 종양화
하면 골수성 백혈구가 된다.
- 호염기구(basophil) : 호염기구는 백혈구 중의 0.5%를 차지하며 비탐식성으로 과립내에 serotonin,
histamine, heparin 등을 함유하여 혈액응고를 방지하는 기능을 갖고 있으며 특히 염증부위의
치유를 촉진한다.
- 호중구(neutrophil; 다형핵 백혈구) : 호중구는 백혈구 중의 55~65%를 차지하며 화학주성
(chemotaxis), 면역복합체에 대한 부착성, 식작용이 있다. 호중구는 급성염증의 주역으로
세균이나 이물질이 호중구막에 접촉하면 opsonin, agglutinin과 같은 물질이 작용하여 막의
표면장력이 약화되고 음세포작용(pinocytosis)이 일어나서 세균 또는 이물질을 세포내부로
이동시키고 myeloperoxidase라는 효소로 분해하여 소화하는 식균작용(phagocytosis)을 한다.
- 호산구(eosinophil) : 호산구는 말초혈 백혈구의 1~3%를 차지하며 기생충병이나 알러지반응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