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의학] 語澁을 호소하는 Cb-inf 환자 사례

 1  [한의학] 語澁을 호소하는 Cb-inf 환자 사례-1
 2  [한의학] 語澁을 호소하는 Cb-inf 환자 사례-2
 3  [한의학] 語澁을 호소하는 Cb-inf 환자 사례-3
 4  [한의학] 語澁을 호소하는 Cb-inf 환자 사례-4
 5  [한의학] 語澁을 호소하는 Cb-inf 환자 사례-5
 6  [한의학] 語澁을 호소하는 Cb-inf 환자 사례-6
 7  [한의학] 語澁을 호소하는 Cb-inf 환자 사례-7
 8  [한의학] 語澁을 호소하는 Cb-inf 환자 사례-8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한의학] 語澁을 호소하는 Cb-inf 환자 사례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語澁을 호소하는 Cb-inf 환자 1례

Ⅰ. 緖論

Ⅱ. 症例

1. Admission Notes
2. 망문문절
3. 검사소견
4. Medication

Ⅲ. 考察

1. 어삽의 양한방적 원인고찰
2. 구음장애의 평가
3. 혈관상태 검사
4. 중풍(뇌경색)의 치료와 수술 적응증
5. 환자에 대한 한의학적 고찰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1. 어삽의 양한방적 원인고찰
Dyasrthria란 중추 또는 말초신경계의 손상으로 말하는데 사용되는 근육의 마비, 약화나 협동운동장애(incoordination)에 의해 나타나는 말소리 장애(Speech disorder)를 말한다. 말을 하는 행위는 후두, 인두, 구개, 혀, 입술 근육들의 조화로운 움직임에 의해 가능하며, 이는 신경지배를 통한 근육들의 상호 협조적인 수축이나 이완을 통해 이루어진다. 이러한 근육들은 여러 뇌신경(미주신경, 안면신경, 설하신경)에 의해 지배되는데 이들의 신경핵은 피질 숨뇌로(corticobulbar tract)를 통해 양측 운동피질로부터 조절을 받고 있다. 또한 다른 운동과 마찬가지로 근협동의 조정을 통한 원활한 운동수행과 미세한 운동조절을 위하여 소뇌와 기저핵으로부터(추체 외로성) 영향도 받는다. 따라서 이러한 해부학적 경로 상의 모든 병변들은 구음장애를 유발할 수 있고 그 병변의 위치에 따라 특징적인 구음장애의 양상을 보인다. 가장 중요한 구음장애는 연수의 장애에 기인하는 것으로 진행성 구마비(球痲痺)나 연수출혈 때에 볼 수 있다. (연수는 배쪽은 척추동맥, 배외측은 뒤아래소뇌동맥으로부터 영향을 받고 있다.) 일반적으로 중추 및 말초 신경계의 손상은 호홉, 발성, 공명, 조음, 운율기관 등의 말하부 체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되며 호홉, 발성, 조음, 공명 및 운율을 포함한 말기능상의 속도, 강도, 범위, 타이밍 그리고 정확도가 비정상적이게 된다. 다종질환, 예를 들면 뇌혈관 이상, 뇌종양, 뇌이상, 뇌성마비, 근육위축성 측색경화증, 다발성 경화, 중증 근무력 및 다발성 근육염 등에서 많이 보여지며 일종의 운동성언어장애이다. 단독으로 발생할 수 잇고 또한 기타의 언어장애와 동시에 존재할 수 있다.
상기 환자는 09년 8월 10일 right BG and PVWM부위에 Cb-inf이 발생하였고 8월 12일 본격적 한방치료 원하여 입원한 환자로 입원 전부터 주관적으로 어삽이 심해짐을 호소하였다. 어삽은 뇌혈관 이상, 뇌종양, 뇌이상, 뇌성마비, 근육위축성 측색경화증, 다발성 경화, 중증 근무력 및 다발성 근육염, 부종양증후군 등 다양한 질환에서 발병할 수 있으므로 감별진단이 필요다. 상기 환자의 경우 8월 10일 Cb-inf으로 인한 가능성이 가장 높아보인다. 또한 환자는 Mild focal stenosis of right distal M1 of MCA이 있는 등 혈관상태가 매우 좋지 않은 점과 고혈압있고, 모친이 stroke가 있었고, 소주를 1주일에 1병 마시고, 담배를 매일 1갑씩 50년 피워온 점을 미루어 볼때 risk가 높으므로 재발 가능성이 높다고 사료된다. 결론적으로 현재로써는 8월 10일 Cb-inf에 의한 증상이 유력하다.

참고문헌
1. 新谷太. Pathology로 이해하는 내과학. 10. 신경질환. 정담 2005 pp173-180
2. 채병윤. 동의 안이비인후과학. 집문당. 1997. pp 419-420
3. Frank. H. Netter. CIBA 원색의학도해총서. Volume1. Ⅱ. Nervous system 정담 pp 56-58
4. 李勝利. 구음장애의 평가. 난청과 언어장애 연구. 20. 1 1997
5. 허준. 동의보감. 서울 남산당 1990, p.360
6. 강환호, 황치원. 중풍언어장애의 원인과 치법에 대한 문천적 소고. 대전대학교 한의학연구소 논문집. 1998; 70): 719-28
7. 김재수, 이재동, 최도영, 박영배, 고동균. 중풍 후 언어장애에 대한 침구치료의 문헌적 고찰. 대한침구학회지. 1998; 15(2): 537-50
8. 이광우. 신경과학. 범문사 2005 p 121
9.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언어, ,청능장애 여름연수회 한학문학. 2001 P 85
10. 곽융찬. 도해 뇌신경외과학. 제일의학 1992 pp234-248, 394-410, 384(출혈)
11. Anne G. Osborn 오스본 뇌혈관조영술. 가본의학서적 2007 pp 381-404
12. Kenneth W lindsay, Ian Bone.. 임상신경학.E PUBLIC 2006
13. 석창포(石菖蒲) 전탕액(煎湯液)이 Glucose Oxidase에 의해 손상(損傷)된 대뇌피질(大腦皮質) 신경세포(神經細胞)에 미치는 영향(影響), 동의생리학회지 , v.14, no.2, 1999년, pp.117-126
14. 김재수, 이재동, 최도영, 박영배, 고동균. 중풍 후 언어장애에 대한 침구치료의 문헌적 고찰. 대한침구학회지. 1998; 15(2): 537-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