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 품사 동사 정의, 국어 동사 특성, 국어 품사 동사 구조, 힌디어 품사 동사, 독일어 품사 동사, 중국어 품사 동사, 일본어 품사 동사

 1  국어 품사 동사 정의, 국어 동사 특성, 국어 품사 동사 구조, 힌디어 품사 동사, 독일어 품사 동사, 중국어 품사 동사, 일본어 품사 동사-1
 2  국어 품사 동사 정의, 국어 동사 특성, 국어 품사 동사 구조, 힌디어 품사 동사, 독일어 품사 동사, 중국어 품사 동사, 일본어 품사 동사-2
 3  국어 품사 동사 정의, 국어 동사 특성, 국어 품사 동사 구조, 힌디어 품사 동사, 독일어 품사 동사, 중국어 품사 동사, 일본어 품사 동사-3
 4  국어 품사 동사 정의, 국어 동사 특성, 국어 품사 동사 구조, 힌디어 품사 동사, 독일어 품사 동사, 중국어 품사 동사, 일본어 품사 동사-4
 5  국어 품사 동사 정의, 국어 동사 특성, 국어 품사 동사 구조, 힌디어 품사 동사, 독일어 품사 동사, 중국어 품사 동사, 일본어 품사 동사-5
 6  국어 품사 동사 정의, 국어 동사 특성, 국어 품사 동사 구조, 힌디어 품사 동사, 독일어 품사 동사, 중국어 품사 동사, 일본어 품사 동사-6
 7  국어 품사 동사 정의, 국어 동사 특성, 국어 품사 동사 구조, 힌디어 품사 동사, 독일어 품사 동사, 중국어 품사 동사, 일본어 품사 동사-7
 8  국어 품사 동사 정의, 국어 동사 특성, 국어 품사 동사 구조, 힌디어 품사 동사, 독일어 품사 동사, 중국어 품사 동사, 일본어 품사 동사-8
 9  국어 품사 동사 정의, 국어 동사 특성, 국어 품사 동사 구조, 힌디어 품사 동사, 독일어 품사 동사, 중국어 품사 동사, 일본어 품사 동사-9
 10  국어 품사 동사 정의, 국어 동사 특성, 국어 품사 동사 구조, 힌디어 품사 동사, 독일어 품사 동사, 중국어 품사 동사, 일본어 품사 동사-10
 11  국어 품사 동사 정의, 국어 동사 특성, 국어 품사 동사 구조, 힌디어 품사 동사, 독일어 품사 동사, 중국어 품사 동사, 일본어 품사 동사-11
 12  국어 품사 동사 정의, 국어 동사 특성, 국어 품사 동사 구조, 힌디어 품사 동사, 독일어 품사 동사, 중국어 품사 동사, 일본어 품사 동사-12
 13  국어 품사 동사 정의, 국어 동사 특성, 국어 품사 동사 구조, 힌디어 품사 동사, 독일어 품사 동사, 중국어 품사 동사, 일본어 품사 동사-13
 14  국어 품사 동사 정의, 국어 동사 특성, 국어 품사 동사 구조, 힌디어 품사 동사, 독일어 품사 동사, 중국어 품사 동사, 일본어 품사 동사-14
 15  국어 품사 동사 정의, 국어 동사 특성, 국어 품사 동사 구조, 힌디어 품사 동사, 독일어 품사 동사, 중국어 품사 동사, 일본어 품사 동사-15
 16  국어 품사 동사 정의, 국어 동사 특성, 국어 품사 동사 구조, 힌디어 품사 동사, 독일어 품사 동사, 중국어 품사 동사, 일본어 품사 동사-16
 17  국어 품사 동사 정의, 국어 동사 특성, 국어 품사 동사 구조, 힌디어 품사 동사, 독일어 품사 동사, 중국어 품사 동사, 일본어 품사 동사-17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국어 품사 동사 정의, 국어 동사 특성, 국어 품사 동사 구조, 힌디어 품사 동사, 독일어 품사 동사, 중국어 품사 동사, 일본어 품사 동사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국어 품사 동사의 정의

Ⅱ. 국어 품사 동사의 특성

Ⅲ. 국어 품사 동사의 구조

Ⅳ. 힌디어 품사 동사

Ⅴ. 독일어 품사 동사

Ⅵ. 중국어 품사 동사
1. 동사의 목적어 선택에 따른 분류
2. 동사의 주어 선택까지 고려한 분류
3. 기타 선택제약에 의한 분류
1) 제1부류: 결과보어나 추향보어를 선택할 수 있는 것
2) 제2부류: 결과보어나 방향보어를 선택할 수 없는 것
4. 종합:≪동사용법사전≫(1987)

Ⅶ. 일본어 품사 동사
1. 동사
1) 동사 + 동사
2) 명사 + 동사
3) 형용사 + 동사
4) 접미어가 붙어서 된 전성동사
2. 가능 동사
3. 자동사 와 타동사
1) 자동사와 타동사의 구별
2) 같은 계열의 자동사와 타동사
4. 동작의 진행과 상태
5. 보조 동사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국어 품사 동사의 정의

다음 문장에서 밑줄 그은 ‘읽는다, 오시기, 기다렸다’는 각각 그 문장의 주어인 ‘나, 어머니, 우리’의 움직임을 나타내는 말로서 이러한 단어를 동사라 한다.
나는 아침에 늘 신문을 읽는다.
우리는 어머니께서 빨리 오시기를 기다렸다.
동사에는 움직임이나 작용이 그 주어에만 그쳐서 목적어가 필요 없는 자동사와 움직임이 다른 대상에 미쳐서 목적어가 필요한 타동사가 있다. 위에서 ‘오시’는 자동사이지만, ‘읽는다, 기다렸다’는 ‘신문’과 ‘어머니께서 빨리 오시기’를 각각 목적어로 취하는 타동사이다.

Ⅱ. 국어 품사 동사의 특성

한국어 동사 부류가 한국어 품사 체계 내에서 어떠한 위상을 지니고 있는지를, 범언어적 변이 속에서 한국어 품사 체계가 지닌 특성과 관련하여, 간략히 몇 가지 특징으로 요약하여 지적해 보자.

(1) 한국어는 명사/동사/형용사/부사가 여러 언어 속성으로써 구별되는 ―특히 동사가 명사/형용사와 구별되는― 개방적 대어휘부류의 지위를 갖는다.
(2) 한국어는 형용사가 동사와 형태론적/통사적/의미적 속성이 극히 유사한 동사적 형용사 언어이다.
(3) 한국어에는 관사, 접속사, 관계대명사가 존재하지 않고, 대단히 풍부한 상징어(ideophone, 전통적 지칭으로는 의성어․의태어), 분류사(classifier)가 존재한다.

(1)의 특성은 우리에게 친숙한 많은 언어가 공유하고 있는 것이어서, 자명하거나 보편적인 속성으로 오해될 수 있다. 명사/동사의 구분이 불분명해서 논란의 대상이 되는 언어가 있는가 하면, 동사가 10개에서 100개 정도로 제한된 범주를 이루는 언어, 또는 형용사가 부재하거나, 극히 소수의 어휘 요소만 포함하는 소범주를 이루는 언어, 또는 부사 부류를 설정하기 어려운 언어들이 있는 등, (1)의 특성은 언어 보편적인 품사 체계의 속성이 아닌 점으로 지적되어야 할 듯하다. 한국어 동사 부류는 관형사나 조사와 같은 폐쇄적 부류와는 대조적으로 비교적 짧은 기간 중에 새로운 동사 어휘들이 생성되거나 또는 쓰이던 동사 어휘들이 소멸될 가능성이 열려 있을 뿐 아니라 그 어휘 목록이 대규모이고(표준어를 사용하는 평균 성인 화자가 알 수 있는 동사 어휘 목록을 작성한다면 최소한 25,000항목 정도는 포함할 것이다), 엄격히 한정하기도 어려운 특징을 갖고 있다. 이와 같은 의미에서 한국어 동사는 개방적 대어휘범주를 이루는 것이다.
(3)의 특성 중, 특히 관사, 접속사, 관계대명사의 부재는 유럽 지역에서 사용되는 주요 인구어와 대조되는 알타이 제어의 공통된 특성으로 일찍부터 관찰되어 왔다. 한국어에서 문장의 접속 기능은 동사/형용사와 같은 서술어의 어말어미 중 이른바 연결 어미가 담당하며―이 점은 3절에서 다시 다루어질 것이다―, 명사구 접속에는 접속사 부재의 언어가 일반적으로 그렇듯이, 공동격 조사인 -와/-과가 사용된다.
참고문헌
◎ 유은성(1992), 일본어의 동사의 명사화에 관한 일 고찰,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이점출(1999) 독일어 동사 보충어 분류에 관한 비교 연구, 독어교육 제17집, 한국독어독문학교육학회
◎ 이준호(1997), 회화로 배우는 마법동사, 서울 : 넥서스
◎ 연재훈(1986), 한국어 동사성명사 합성어(Verbal Noun Compound)의 조어법과 의미 연구, 석사학위논문, 서울대
◎ 장영희, Best 전공 중국어
◎ 홍재성 외(1997), 현대 한국어 동사 구문 사전, 두산동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