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왕조실록`에서의 제갈량

 1  `조선왕조실록`에서의 제갈량-1
 2  `조선왕조실록`에서의 제갈량-2
 3  `조선왕조실록`에서의 제갈량-3
 4  `조선왕조실록`에서의 제갈량-4
 5  `조선왕조실록`에서의 제갈량-5
 6  `조선왕조실록`에서의 제갈량-6
 7  `조선왕조실록`에서의 제갈량-7
 8  `조선왕조실록`에서의 제갈량-8
 9  `조선왕조실록`에서의 제갈량-9
 10  `조선왕조실록`에서의 제갈량-10
 11  `조선왕조실록`에서의 제갈량-11
 12  `조선왕조실록`에서의 제갈량-12
 13  `조선왕조실록`에서의 제갈량-13
 14  `조선왕조실록`에서의 제갈량-14
 15  `조선왕조실록`에서의 제갈량-15
 16  `조선왕조실록`에서의 제갈량-16
 17  `조선왕조실록`에서의 제갈량-17
 18  `조선왕조실록`에서의 제갈량-18
 19  `조선왕조실록`에서의 제갈량-19
 20  `조선왕조실록`에서의 제갈량-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조선왕조실록`에서의 제갈량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조선왕조실록』에서 제갈량 찾기

Ⅱ. 『조선왕조실록』에서의 『삼국지연의』와 『정사 삼국지』
-조선시대 문학관과 더불어-
1.『삼국지연의』
2.『정사 삼국지』

Ⅲ. 제갈량의 생애 및 업적

Ⅳ. 『조선왕조실록』에서 제갈량
1.인재등용.
2. 정책 내용.
3. 치정책.
4. 유비와 제갈량간의 관계.
5. 제갈량의 재주.
6. 선왕께 보답하려는 모습.
7. 정책 결정.
8. 자시의 과업을 성공 못함.

Ⅴ. 『조선왕조실록』에 나타난 제갈량을 보고
본문내용
Ⅰ. 『조선왕조실록』에서 제갈량 찾기

우리는 주체성을 가진 하나의 민족으로서 지금까지 역사를 이어오고 있다. 그러나 그러한 주체성을 갖기 위해 외세 문물을 무조건적으로 배척한다는 것 또한 어리석은 일이 아닐 수 없다. 우리는 그러한 역사적 과정 속에서 우리 옆 동네인 중국과의 관계를 빼놓고 설명하는 어려울 것이다. 중국과의 잦은 문화적, 경제적 교류를 통해 우리는 무의식적으로 중국의 문화를 받아들이고 지금 이 순간에도 나도 모르게 그러한 문화를 접하고 생활하는지도 모를 것이다. 하지만 그 전제에는 무비판적인 수용이 아닌, 우리 나름의 방식으로 받아들였다는 점을 간과해서는 안 될 것이다.(한자 수용의 경우가 좋은 예가 될 수 있을 것이다.) 그 과정의 하나로 조선의 사신들은 가능한 많은 중국의 책을 사서 돌아왔다는 것이다. 곧, 중국의 사서에 직 · 간접적으로 영향을 받은 조선의 역사서에서 주목하지 않을 수 없다. 하나의 역사서 속에는 수많은 인물, 사건, 문화, 정치, 사상 등 사회 전반에 걸쳐 많은 내용들을 내포하고 있다. 그 대표적인 역사서 중에 조선왕조실록을 여기서 주목해 보자.
나는 삼국지의 수많은 인물들 가운데 제갈량을 조선왕조시대 사람들은 어떻게 인식하고 있었으며, 그것을 토대로 조선왕조실록에는 어떠한 모습으로 그려지고 인용되고 있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수많은 삼국지의 인물들 가운데 제갈량을 택한 이유는 난세 속에서 자신의 신념을 굽히지 않고 자신만이 가진 묘한 전략과 변법으로서 손권과 유비의 동맹을 성사시키고 적벽대전에서 조조를 대파해 천하삼분의 기초를 닦았다. 그러한 인물을 조선왕조실록에서 어떠한 모습으로 그려지고 있는지 알아가는 작업은 의미 있다고 생각한다.
참고문헌
『조선왕조실록』- 도서관 홈페이지 참고
진수 저 / 김원중 역, 「촉서」, 『삼국지』권 5, 서울 :신원문화사, 1994.
야마구치 히사카즈 저 / 전종훈 역, 『사상으로 읽는 삼국지』, 서울 :이학사, 2000.
나관중 저/ 황석영 옮김, 『三國志 9』, 서울 : 창작과비평사, 2003.
김택영 저/『김택영의 조선시대사 韓史 』, 서울 : 태학사, 2001.
박영규 저/『한권으로 읽는 조선왕조실록』, 서울 : 들녘, 1997.
상종열 저/『도해 조선왕조실록』, 서울 : 이다미디어, 2002.
김인호, 박훤 저/『우리가 정말 몰랐던 조선 이야기1』, 서울 : 자작나무, 1999.
김원중 역/『당시』, 서울 :을유문화사, 2004.
조동일 · 서종문 『국문학사』, 서울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부, 19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