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정치 사회] 북한의 예술 공연

 1  [북한 정치 사회] 북한의 예술 공연-1
 2  [북한 정치 사회] 북한의 예술 공연-2
 3  [북한 정치 사회] 북한의 예술 공연-3
 4  [북한 정치 사회] 북한의 예술 공연-4
 5  [북한 정치 사회] 북한의 예술 공연-5
 6  [북한 정치 사회] 북한의 예술 공연-6
 7  [북한 정치 사회] 북한의 예술 공연-7
 8  [북한 정치 사회] 북한의 예술 공연-8
 9  [북한 정치 사회] 북한의 예술 공연-9
 10  [북한 정치 사회] 북한의 예술 공연-10
 11  [북한 정치 사회] 북한의 예술 공연-11
 12  [북한 정치 사회] 북한의 예술 공연-12
 13  [북한 정치 사회] 북한의 예술 공연-13
 14  [북한 정치 사회] 북한의 예술 공연-14
 15  [북한 정치 사회] 북한의 예술 공연-15
 16  [북한 정치 사회] 북한의 예술 공연-16
 17  [북한 정치 사회] 북한의 예술 공연-17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북한 정치 사회] 북한의 예술 공연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2. 본론
1) 북한 예술 공연의 정책 추진 배경
2) 시기별 예술 공연 특징
3) 예술 공연 분석 : 피바다, 아리랑 중심으로
4) 북한 예술 공연의 기능
5) 북한 주민의 삶 속에 나타난 공연예술의 모습
6) 북한 공연 예술의 문제점

3. 결론

4. 참고문헌
본문내용
� 5대혁명가극
‘피바다’는 원래 1936년 무송현 만강마을에서 김일성의 창작에 의해 공연되었던 ‘항일혁명연극’의 대표작이다. 원작의 이름은 ‘혈해(血海)’로, 그 내용은 1930년대 북간도 지방을 배경으로 순박한 농촌여성 순녀가 지주와 일제에 항거하다가 일본군에게 잔혹하게 학살당한 남편의 뒤를 이어 항일투쟁에 나서면서 역사적 현실에 눈뜨고 혁명의 진리를 깨달아 이른바 ‘주제척인 여성혁명가’로 일어서는 과정 이현주 “북한 피바다식 혁명가극의 역사성” 『동북아 연구』제21권 제1호 통권 제22호(2006) p 90
이라고 할 수 있다. 혁명에 대해서 아무것도 모르던 어머니가 생활의 모진 시련 속에서 점차 혁명을 인식하고 투쟁에 나서는 과정을 그려낸 작품이다. 『김정일 선집』2권 p 20
이 작품은 1969년 ‘혁명영화’로도 창작되었고, 1971년 피바다가극단에 의해 공연되었다. 전체 7장 4경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방창과 절가에 의거한 새로운 음악극작술 체계를 확립하여 이른바 ‘피바다식 혁명가극’의 본보기 작품이 되었다.
‘당의 참된 딸’은 1971년 조선인민군협주단에 의해 창조된 혁명가극으로 전6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전쟁중에 부상병을 치료하기 위해 자신의 임무를 다한 한 여성 강호병사를 주인공으로 하였으며, 김정일의 직접 지도 아래 제작되었다. 다른 혁명가극과는 달리 비극적인 엔딩이 특징이지만, 주인공이 죽는 순간에도 당증과 당비를 당에 전해달라는 유언을 남기면서 조선로농당에 대한 무한한 충성심을 보여준다는 점은 여타의 혁명가극과 비슷하다고 할 수 있다.
‘꽃파는 처녀’는 북한 ‘혁명가극’ 중에서도 ‘피바다식 혁명가극’의 극작술원칙을 가장 잘 구현한 작품으로 평가받고 있는 것으로 1972년 김정일의 지도하에 만수대 예술단이 재창작하였다. 가난한 머슴 가정의 순박한 처녀인 ‘꽃분이’가 가난 때문에 겪는 고통과 슬픔, 지주와의 갈등을 묘사하고 있다. 또한 조선인민혁명군에 입대한 오빠의 영향으로 꽃분이의 세계관이 변화하는 과정을 섬세하게 그려 투쟁을 통해서 계급 모순으로 비롯된 불행에서 벗어날 수 있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는 작품이다. 혁명가극이 발표되던 같은 해에는 영화 《꽃파는 처녀》가 발표되었고, 1977년에는 동명 소설로 각색이 되었으며 북조선 1원 지폐 도안의 소재로 쓰였을 만큼, 사상성과 예술성, 대중성이 완벽하게 조화된 주체예술의 걸작으로 인정을 받고 있다. 서연호『북한의 공연예술 Ⅰ』서울 : 고려원 (1990) p 237 ~ 244

‘밀림아 이야기하라’는 1972년 국립민족예술단(당시의 평양예술단)에 의해 공연된 혁명가극으로 서장, 전 5장, 종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일제강점기하 1930년대를 배경으로 국경 부근 마을의 구장(區長)이 합법적인 직위를 이용하여 항일유격대의 활동을 도와 일본군 토벌대를 무찌르는데 공을 세운다는 내용으로, 주인공은 조선인민혁명군의 지하공작원으로 설정
참고문헌
< 참고문헌 >

『북한의 문화 예술』kbs 한국방송 남북교류협력단 (2008)

『김정일 선집』2권

『북한의 공연예술 Ⅰ』서연호‧이강렬 공저 (서울 : 고려원)

『북한의 공연예술/혁명가극 』이영미

『식 혁명가극』김경희, 임상호

『2002년 봄에 막을 올리게 될 대집단체조와 예술공연 ‘아리랑’』 조선중앙통신

『북한의 ‘대집단체조와 예술공연’에 관한 연구』 주현우 (2007)

『북한 대집단체조와 예술공연 아리랑 분석』장관영 (공안문제 연구소 2002) 제 75집

『북한의 “대집단체조와 예술공연 ‘아리랑’의 정치사회적‧’문화예술적 의미”』 중소연구(2002)

『북한 초점 : 2000년 이후 남북 사회문화교류에 대한 평가와 전망』안영선 2006 한양대 아태지역연구센타

『북한공연예술의 특징과 "아리랑"의 사회문화적 기능에 관한 고찰』 김규정, 김봉화2008 한국기초조형학회

『수해복구가 우선임에도 불구하고 아리랑공연을 해야만 하는 북한 주민들』임상철, 2007. 북한연구소

『북한의 보유외화 1/3날린 「한마당」 - 명 재촉하는 북한 아리랑 축제』다마키 모도이, 사토 가쓰미2002, 한국논단

『북한 문화예술정책의 변천과 그 지향성』 김정식, 오양열 2001 한국행정사학회

『김정일 정권 10년: 북한의 문화와 예술』 통일연구원 임순희 ,P.253, 2004

『정세현, 『김정일 문예정책의 지속과 변화』 민족통일연구원, 1998

『북한 문화예술의 대외교류,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정병덕, 1989,

『북한의 대외문화교류 정책과 북․중 교류, 한양대학교 아태지역연구센터』 김영선, 김지니, 2008

『북한문화, 둘이면서 하나인 문화』 경남대학교 북한대학원 2006

오양열 『북한 문화예술정책의 최근 동향과 향후 전망』 2001

『북한공연예술의 특징과 '아리랑'의 사회문화적 기능에 관한 고찰』 김규정, 김봉화 2007

한겨레

통일뉴스

동아일보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