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과 교육과정] 평가 도구 개발 `듣기` 영역

 1  [국어과 교육과정] 평가 도구 개발 `듣기` 영역-1
 2  [국어과 교육과정] 평가 도구 개발 `듣기` 영역-2
 3  [국어과 교육과정] 평가 도구 개발 `듣기` 영역-3
 4  [국어과 교육과정] 평가 도구 개발 `듣기` 영역-4
 5  [국어과 교육과정] 평가 도구 개발 `듣기` 영역-5
 6  [국어과 교육과정] 평가 도구 개발 `듣기` 영역-6
 7  [국어과 교육과정] 평가 도구 개발 `듣기` 영역-7
 8  [국어과 교육과정] 평가 도구 개발 `듣기` 영역-8
 9  [국어과 교육과정] 평가 도구 개발 `듣기` 영역-9
 10  [국어과 교육과정] 평가 도구 개발 `듣기` 영역-10
 11  [국어과 교육과정] 평가 도구 개발 `듣기` 영역-11
 12  [국어과 교육과정] 평가 도구 개발 `듣기` 영역-12
 13  [국어과 교육과정] 평가 도구 개발 `듣기` 영역-13
 14  [국어과 교육과정] 평가 도구 개발 `듣기` 영역-14
 15  [국어과 교육과정] 평가 도구 개발 `듣기` 영역-15
 16  [국어과 교육과정] 평가 도구 개발 `듣기` 영역-16
 17  [국어과 교육과정] 평가 도구 개발 `듣기` 영역-17
 18  [국어과 교육과정] 평가 도구 개발 `듣기` 영역-18
 19  [국어과 교육과정] 평가 도구 개발 `듣기` 영역-19
 20  [국어과 교육과정] 평가 도구 개발 `듣기` 영역-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국어과 교육과정] 평가 도구 개발 `듣기` 영역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차 례


Ⅰ. 영역 설정의 이유
1. 듣기 개념 설정
2. 듣기 평가 목표

Ⅱ. 학년 및 담화 설정의 이유
1. 학년 및 담화 유형 선정
1.1 7학년과 연계한 수업 담화 선정 이유
1.2 7학년과 연계한 광고 담화 선정의 이유

Ⅲ. 평가 문항 개발
1. 평가의 성격 및 목표
2. 학습자의 교육과정에 미치는 영향
3. 인원 책정 및 평가 개발 비용
3.1. 인원 책정
3.2. 평가 개발 비용

Ⅳ. 평가 틀
1. 교육과정 상의 성취기준
2. 평가 요소 및 추출 이유
2.1 수업담화
2.2 광고담화
3. 핵심개념

Ⅴ. 검사지(별첨)

Ⅵ. 문항 카드(별첨)
참고문헌
본문내용
2. 학습자의 교육과정에 미치는 영향

우리 조는 앞서 7학년에서 접하게 되는 담화 유형 중 주요한 두 가지를 선정한 바 있다. 그리고 수업담화와 관련하여 우리는 먼저, 수업 담화에서 사용되는 담화표지를 종류별로 구별할 줄 알도록 문항을 제작하였다. 이를 통해 학생들은 다양한 내용의 교과 수업들에서 그 뼈대가 되는 구조를 포착해낼 수 있다. 성공적으로 도달했을 경우 학습자는 이와 더불어 수업담화를 메타적으로 조망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본 문항의 평가 결과를 교수·학습 과정에 송환하려 할 때에는 지식 습득 및 사고의 자극을 위한 다른 교과, 다양한 매체의 담화에 적용하는 것이 적절하다. 학생들은 살아가면서 많은 분야의 내용을 듣고 요악하거나 중요 내용을 파악해야하는 과제에 직면하기 때문이다.
이와 더불어 우리 조는 수업 내용의 구조를 파악하여 메모할 수 있는가를 측정하였다. 이는 듣기와 쓰기의 협응까지 요하기 때문에 보다 실생활에서 자주 활용된다. 때문에 이전 단계에서 단순히 머릿속으로 들은 내용의 구조와 중요 내용을 파악했다면, 이제는 이를 바탕으로 능동적·효율적으로 문자화하는 경험이 제공될 필요가 있는 것이다. 속기사를 길러낼 필요는 없다. 그러나 이러한 교수학습과정을 통해 학생들로 하여금 장차 접하게 될 수많은 지식·정보 속의 핵심을 정확히 구조화할 수 있도록 할 필요는 있다.
메모에 대한 평가는 우리 조처럼 간단한 단답형 문항으로써 평가되고 송환할 수도 있지만 포트폴리오 형식으로의 접근도 가능하다. 교과 별, 학년 별, 주제 별 등의 메모(필기) 포트폴리오는 학생의 생애 전 과정에 있어 지식·정보 도식의 탄탄한 기반이 되어 줄 수 있다.
광고를 보거나 듣고 설득의 전략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제일 먼저 광고 내용의 사실과 의견을 구분할 수 있어야 한다. 우리조의 평가에서는 이를 광고 담화에만 국한시켜 평가하였지만 (교육과정의 단서를 활용한다면) 이러한 능력은 보고, 듣고, 느끼는 모든 것에 적용될 수 있다. 비교적 객관적인 사실과, 어떤 이의 의도가 담겨 있는 의견을 분류해 내는 것은 매체 환경 속에서 살아가는 현대인들에게, 그리고 7학년에게 필수적인 능력인 것이다. 따라서 이 평가요소에 따라 평가가 이루어질 경우 그 학생은 담화 및 매체를 파악해내는 기본적 능력을 지니게 된다.
이 과정이 적절히 이루어지지 않았을 경우 학급 차원에서 교사는 사실과 의견의 기본적인 언어 형태의 차이부터 지도할 수 있다. 이 과정을 우수하게 성취한 학생의 경우에는 더 나아가 사실에 담긴 의도를 읽어내도록 하거나, 의견이 담지하고 있는 사실을 읽어내는 학습까지 시도해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