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운론] 모음 상승

 1  [음운론] 모음 상승-1
 2  [음운론] 모음 상승-2
 3  [음운론] 모음 상승-3
 4  [음운론] 모음 상승-4
 5  [음운론] 모음 상승-5
 6  [음운론] 모음 상승-6
 7  [음운론] 모음 상승-7
 8  [음운론] 모음 상승-8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음운론] 모음 상승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 목차 ▣
Ⅰ. 서론
Ⅱ. 본론
1. 모음상승의 정의와 고모음화
2. 모음상승의 유형
1) 에 → 이
2) 어 → 으
3) 오 → 우
Ⅲ. 결론
□ 참고문헌

본문내용
(2) 전남방언에서 나타나는 ‘에→이’의 실현
①. ‘에→이’가 상당히 생산적인 모습을 보이는데 이는 서울말에서와 대조적으로 어휘 형태소 내부와 문법 형태소에서 활발히 ‘에 → 이’가 적용된 것이다.
②. 음운론적으로 중요한 것은 비어두 위치에서도 ‘에 → 이’가 실현되는 사실인데 서울말이 이러한 환경에서 절대적인 제약을 보이는 것과 매우 대조적이다.
③. 장음이 아닌 환경에서도 서울말과 대조적으로 자주 발견된다.

(3) 천안방언에서 나타나는 ‘에→이’의 실현
①. 천안방언에서도 ‘에→이’의 실현은 음장이 큰 역할을 한다.
②. 한자어보다 순우리말에 적극적이다.
(4) ‘에→이’ 실현의 공통점
①. 음장이 가장 중요한 음운론적 동기를 가진다.
- 따라서 애초에 ‘에→이’는 음장이 음운론적 기능을 발휘하는 어두 위치에서 발생하여, 음장이 그러한 기능을 갖지 못하는 비어두 위치나 문법형태소에까지 확대 적용된 것으로 보인다.
②. ‘에→이’의 적용에 의한 어휘의 재구조화가 공통적으로 발견된다.
ㄱ. 3인칭 비존칭 대명사 ‘저’의 주격형 ‘제가’가 고모음화로 ‘지가’로 실현되는 것.
ㆍ지가 배우기 위해서 더 헌 거예요.
참고문헌
□ 참고문헌
강희숙, 「고모음화의 실현과 방언분화」, 우리말글학회, 2005.
김정태, 「천안방언의 모음상승에 대하여」, 어문연구학회, 2003.
김정태, 「천안방언 '어→으'의 모음상승에 대하여」, 한글학회, 2004.
류 준, 「충남 연기 지역어의 음운론적 연구」, 충남대학교 대학원, 2006.
이원직, 「忠南 方言 硏究」, 한국어학회, 1996.
정영호, 「현대국어의 모음상승과 원순모음화」, 한국어문학회, 2009.
김아름, 「국어 고모음화 현상 연구」, 아주대학교 대학원, 2008.
한영목, 「충남 방언 조사의 형태 변이와 통사 의미의 몇 양상」, 충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