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사방법론] 졸업논문-대학생 자녀가 지각한 아버지-자녀관계 및 행복감 연구

 1  [조사방법론] 졸업논문-대학생 자녀가 지각한 아버지-자녀관계 및 행복감 연구-1
 2  [조사방법론] 졸업논문-대학생 자녀가 지각한 아버지-자녀관계 및 행복감 연구-2
 3  [조사방법론] 졸업논문-대학생 자녀가 지각한 아버지-자녀관계 및 행복감 연구-3
 4  [조사방법론] 졸업논문-대학생 자녀가 지각한 아버지-자녀관계 및 행복감 연구-4
 5  [조사방법론] 졸업논문-대학생 자녀가 지각한 아버지-자녀관계 및 행복감 연구-5
 6  [조사방법론] 졸업논문-대학생 자녀가 지각한 아버지-자녀관계 및 행복감 연구-6
 7  [조사방법론] 졸업논문-대학생 자녀가 지각한 아버지-자녀관계 및 행복감 연구-7
 8  [조사방법론] 졸업논문-대학생 자녀가 지각한 아버지-자녀관계 및 행복감 연구-8
 9  [조사방법론] 졸업논문-대학생 자녀가 지각한 아버지-자녀관계 및 행복감 연구-9
 10  [조사방법론] 졸업논문-대학생 자녀가 지각한 아버지-자녀관계 및 행복감 연구-10
 11  [조사방법론] 졸업논문-대학생 자녀가 지각한 아버지-자녀관계 및 행복감 연구-11
 12  [조사방법론] 졸업논문-대학생 자녀가 지각한 아버지-자녀관계 및 행복감 연구-12
 13  [조사방법론] 졸업논문-대학생 자녀가 지각한 아버지-자녀관계 및 행복감 연구-13
 14  [조사방법론] 졸업논문-대학생 자녀가 지각한 아버지-자녀관계 및 행복감 연구-14
 15  [조사방법론] 졸업논문-대학생 자녀가 지각한 아버지-자녀관계 및 행복감 연구-15
 16  [조사방법론] 졸업논문-대학생 자녀가 지각한 아버지-자녀관계 및 행복감 연구-16
 17  [조사방법론] 졸업논문-대학생 자녀가 지각한 아버지-자녀관계 및 행복감 연구-17
 18  [조사방법론] 졸업논문-대학생 자녀가 지각한 아버지-자녀관계 및 행복감 연구-18
 19  [조사방법론] 졸업논문-대학생 자녀가 지각한 아버지-자녀관계 및 행복감 연구-19
 20  [조사방법론] 졸업논문-대학생 자녀가 지각한 아버지-자녀관계 및 행복감 연구-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조사방법론] 졸업논문-대학생 자녀가 지각한 아버지-자녀관계 및 행복감 연구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연구문제
Ⅱ. 이론적 배경
1. 대학생 자녀
2. 아버지-자녀관계
3. 행복감

Ⅲ. 연구방법 및 절차
1. 연구대상
2. 측정도구
3. 자료 분석 방법

Ⅳ. 연구결과
1. 대학생 자녀가 지각한 아버지-자녀관계 및 행복감의 경향
2. 일반적 특성에 따른 대학생 자녀가 지각한 아버지-자녀관계 및 0 행복감의 차이

Ⅴ. 요약 및 논의
1. 요약 및 결론
2.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부록
나라별 행복지수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아버지-자녀관계 척도 문항구성 및 신뢰도
행복감 척도 문항구성 및 신뢰도
대학생 자녀가 지각한 아버지-자녀관계의 전반적인 경향
대학생 자녀가 지각한 행복감의 전반적인 경향
일반적 특성에 따른 대학생 자녀가 지각한 아버지-자녀관계의 0
차이
일반적 특성에 따른 대학생 자녀가 지각한 행복감의 차이


본문내용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현대사회는 다양한 변화와 함께 가족 내 구성원들의 역할 및 관계 역시 변화를 초래하고 있다. 특히, 개인이나 가족과 관련하여 볼 때, 이념적 역할과 실천적 역할의 차이가 나타남으로서 부모, 자녀의 역할에 대한 기대 역시 변화하고 있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실제 역할수행에 있어서는 이상적인 역할과 가족구성원들의 행동이 불일치하는 경우가 많으며 현대사회에서 요구되고 있는 새롭거나 재구조화가 필요한 역할들에 있어서 대부분의 가족구성원은 변화에 대하여 능동적이고 적극적이기보다는 여전히 수동적이고 소극적인 참여를 보이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동시에 이러한 가족 내 역할수행 어려움의 원인에 있어서 사회적 요인에 대한 사회적 지원 또한 미흡한 실정이다.
한편, 청년기자녀인 대학생은 학업, 취업 등으로 많은 스트레스에 노출되어 정서적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기도 하다. 다시 말해서 대학생은 학점관리 및 대외 활동 등 미래를 위한 다양한 스펙 쌓기나 비싼 등록금 등 대학생활을 둘러싼 여러 물리적 심리적 환경에서 비롯되는 보이지 않는 경쟁을 포함하여 더욱 심리적 압박을 지니고 있다. 확장된 경쟁 체제 및 정서적 문제해결능력의 부족은 이들의 정서적 문제와 직결되고 있어서 주의가 요구된다고 할 수 있다. 최근에는 대학생의 잇단 자살이 사회적으로 큰 문제가 되고 있기도 하므로 대학생의 건강한 성장 및 발달은 우리 사회에서 매우 중요한 관심사라고 할 수 있다.
참고문헌

곽금주(2010). 흔들리는 20대. 서울: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18-35.
곽윤영(2008). 부모의 양육태도 및 대학생의 경제적 자립도가 대학생의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구재선·서은국(2011). 한국인 누가 언제 행복한가?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25(2). 143-166.
국립국어연구원(1999). 표준국어대사전. 서울: 두산동아.
권석만(2004). 젊은이를 위한 인간관계의 심리학(개정판). 서울: 학지사.
김명소·김혜원·차경호·임지영·한영석(2003). 한국 성인의 행복한 삶의 구성요인 탐색 및 척도개발.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8(2). 415-442.
김명소·김혜원·한영석·임지영(2003). 한국인의 행복한 삶에 대한 인구통계학적 특성별 분석.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22(2). 1-33.
김명소·한영석(2006). 한국인의 행복지수 공식 개발. 한국조사연구학회. 7(2). 1-38.
김보금·송금(2002). 청소년이 지각한 아버지의 역할수행 정도와 기대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9(1). 179-191.
김지현(2006). 대학 서비스 만족도가 대학생활에서의 삶의 질과 대학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 대학생활 만족도와 대학생활 행복감 측정 통한 대학생 삶의 잘 측정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김상옥(2009). 대학생의 자아분화, 자아존중감과 정신건강간의 관계 : 우울, 불안을 중심으로. 인제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박영신·김의철(2009b). 심리적, 관계적, 경제적 자원 : 한국인의 행복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15(1). 95-132.
박영신·김의철(2009a). 한국 성인 남녀가 행복에 이르는 길 : 직업 성취, 자녀 성공, 정서적 지원과 자기효능감의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14(3). 467-495.
박민자(2006). 행복가족의 요소와 의미. 한국가족학회: 가족과 문화. 18(4). 138-205.
박은주(2007). 부모의 정서적 학대가 자녀의 수치심에 미치는 영향연구. 석사학위논문, 총신대학교 상담대학원.
서하진·김정옥(2009). 대학생이 지각한 가족건강성이 자아존중감과 행복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4(3). 141-178.
손희정(2005). 대학생이 지각한 부모-자녀 관계와 심리사회 성숙도와의 관계.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송순·박효인(2006). 대학생의 부모-자녀 관계와 심리적 독립에 대한 연구. 부모교육연구. 3(2). 5-25.
윤미선(2010). 남녀 대학생의 부·모와의 관계 및 성격특성이 친구관계에 미치는 영향 : 성격 특성의 중재역할.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이윤경(2008). 대학생의 주관적 안녕감 : 성격, 사회적 지원, 자기효능감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이주옥(1994). 청소년 자녀와 부모의 갈등에 관한 질적 연구. 연세대학교 박사학위청구논문.
이현주(2011). 대학생 자녀가 지각한 아버지-자녀관계에 따른 대학생의 사회적 문제해결능력 및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이현주·오윤자(2011). 대학생 자녀가 지각한 아버지-자녀관계에 따른 대학생의 사회적문제해결능력 및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복지학. 16(1). 157-173.
장순호(2002). 아버지가 지각한 부부갈등 및 아버지-자녀 관계가 유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우석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정은선(2008). 부모의 양육태도가 주관적 행복감과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 강인성과 완벽주의의 매개역할. 한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청구논문.
조형숙(2008). 영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가 추구하는 아버지상에 대한 연구. 유아교육학논집. 12(1). 239-264.
중앙일보 한국심리학회(2010). 2010 한국인 맞춤형 행복지수.
최명선·문은미(2009). 대학생의 부자유친성정이 정서표현에 미치는 영향. 한국상담학회지. 10(1). 43-55.
최인재(2007). 한국형 부모-자녀관계 척도개발 연구. 청소년상담연구. 15(2), 45-56.
한국경제(2008). 행복의 제1요소.
한영숙(2005). 청소년이 지각한 아버지의사소통유형과 학교적응의 관계.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17(3). 71-82.
함인희(1997). 현대사회 아버지상의 재발견. 한국가족학회. 2. 1-24.
허영림(2006). 아버지의 양육행동에 관한 연구. 교육논총. 26(1). 97-116.
홍길회·정미자(2008). 유아기 아버지의 양육태도 및 언어 형태와 자녀의 사회성발달과의 관계. 한국유아교육보육행정연구. 12(2). 237-260.
홍길회·황정해(2007). 아동기 자녀를 둔 아버지의 부성경험 특성에 관한 일 연구. 한국유아교육·보육행정연구. 11(4). 111-132.
황영미·문혁준(2006) 또래수용도와 아동의 기질, 어머니의 양육효능감, 아버지의 양육참여도. 대한가정학회지. 44(2). 83-91.
SBS 미래한국리포트(2006). 가족의 미래와 행복의 조건.
Arnett, J. J. (1994). Are college student adults? Their conceptions of the transition to adulthood. Journal of Adult Development. 1(4). 213-224.
Arnett, J. J. (2004). Emerging Adulthood: The Winding Road from the late Teems Through the Twenties. New York, NY: Oxford University Press.
Argyle, M. (2001). The psychology of happiness. NY: Taylor & Francis Inc.
Cambell, A. (1976). Subjective measures of well-being. American Psychologist. 2. 117-124.
Hall, J. (1976). Subjective measure of quality of life in Britain, 1971 to 1975: Some departments and trends. Social trends. 7. 47-60.
Lawton, M. (1975). The Philadelphia geriatric center morale scale: A revision. Journal of social and Clinical Psychology, 30, 86-89.
Myers, D. G. (2000). The funds, Friends and faith of happy people. American Psychologist. 55. 56-67.
Myers, D. G. & Diener, E. (1995). Who is happy. Psychological Science. 6. 10-19.
Seligman. E. P. (2006). Learned Optimism : How to Change Your Mind and Your Life. Publisher: Vintage Books.
Veenhoven, R. (1991). Is happiness relative? Social Indicators Research. 24. 1-34.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