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의 연극 탈춤과 꼭두각시놀음

 1  우리의 연극 탈춤과 꼭두각시놀음-1
 2  우리의 연극 탈춤과 꼭두각시놀음-2
 3  우리의 연극 탈춤과 꼭두각시놀음-3
 4  우리의 연극 탈춤과 꼭두각시놀음-4
 5  우리의 연극 탈춤과 꼭두각시놀음-5
 6  우리의 연극 탈춤과 꼭두각시놀음-6
 7  우리의 연극 탈춤과 꼭두각시놀음-7
 8  우리의 연극 탈춤과 꼭두각시놀음-8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우리의 연극 탈춤과 꼭두각시놀음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1. 들어가며

2. 탈춤(봉산탈춤)
1) 일반적으로 알려진 내용과 형식
2) 패러디와 신명을 통한 화해

3. 꼭두각시놀음
1) 일반적으로 알려진 내용과 형식
2) 정체성 찾기와 산받이를 통한 놀이의 변주

4. 나가며

봉산탈춤은 탈을 쓰고 벌이는 가면극이고 꼭두각시놀음은 인형을 무대에 내세워 공연하는 인형극이다. 또한 무대의 형태나 장치의 활용, 배우의 기능적 역할 역시 일반적인 서양 연극과는 많은 차이를 보인다. 하지만 탈춤과 꼭두각시놀음이 연극으로 당당히 자리매김할 수 있는 까닭은 우리의 삶의 형태가 고스란히 담겨 있기 때문이 아닌가 한다. 연극이 배우와 관객이 내밀한 교감을 목적으로 인생을 압축시켜 보여주는 것이라면 우리의 탈춤과 꼭두각시놀음 역시 그러한 기본적인 목적에 매우 충실하게 부합한다.
탈춤이 시연되는 마당의 기능이 관객뿐만 아니라 모든 시공간을 공연 속으로 포함하는 것이나, 꼭두각시놀음에서 산받이를 통해 관객과 인형과 조종자가 정서적으로 일치되는 동일한 시공간에 있는 효과를 얻는 것은 우리 연극이 가지고 있는 독특한 특징이라고 할 수 있겠다. 이러한 무대의 개방성과 인물의 동일성이 모두의 어우러짐을 위한 신명을 돋구는데 적절한 기능을 한다는 것은 우리 연극이 가지고 있는 특장점이다.
또한 탈춤과 꼭두각시놀음이 일면 기존의 지배적인 사회질서를 조롱하고 양반을 배척하는 내용인 것으로 알려졌으나 실제로는 궁극적인 화해와 공존을 도모했다는 사실을 발견할 수 있었다. 탈춤은 패러디의 성격을 빌어 양반을 비판하지만 결국 양반도 민중과 어울리고 민중 역시 양반을 이해하게 되어 한 판 놀이를 벌이게 된다. 탈춤의 내용상의 승자는 민중이 분명하지만 패자인 양반을 사회적으로 매장하는 것이 아니라 공동체의 일원으로 받아 들인다. 꼭두각시놀음에서의 박첨지가 민중성을 획득하고 동화되는 과정 역시 민중의 승리와 질서의 변화를 나타내지만 악을 벌하는 것이 철저하게 이분법적 도식에 의해서가 아니라 공존을 모색하는 과정일 뿐이다.
참고문헌
※참고문헌
․ 김흥규, ‘꼭두각시놀음의 연극적 공간과 산받이’, “한국고전문학의 비평과 성찰”, 고려대학교출판부, 2002
․ 민속학술자료총서-탈춤, 놀이마당 터, 2001
․ 민속학술자료총서-꼭두각시놀음, 놀이마당 터, 2001
․ 최낙용, ‘꼭두각시놀음의 산받이 연구’, 전북대학교, 2001
하고 싶은 말
우리의 연극 탈춤과 꼭두각시놀음에 관하여 조사 했습니다.

목차 및 미리보기 참조 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