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치론 - 일제시대에 한국의 자치운동

 1  자치론 - 일제시대에 한국의 자치운동-1
 2  자치론 - 일제시대에 한국의 자치운동-2
 3  자치론 - 일제시대에 한국의 자치운동-3
 4  자치론 - 일제시대에 한국의 자치운동-4
 5  자치론 - 일제시대에 한국의 자치운동-5
 6  자치론 - 일제시대에 한국의 자치운동-6
 7  자치론 - 일제시대에 한국의 자치운동-7
 8  자치론 - 일제시대에 한국의 자치운동-8
 9  자치론 - 일제시대에 한국의 자치운동-9
 10  자치론 - 일제시대에 한국의 자치운동-10
 11  자치론 - 일제시대에 한국의 자치운동-11
 12  자치론 - 일제시대에 한국의 자치운동-12
 13  자치론 - 일제시대에 한국의 자치운동-13
 14  자치론 - 일제시대에 한국의 자치운동-14
 15  자치론 - 일제시대에 한국의 자치운동-15
 16  자치론 - 일제시대에 한국의 자치운동-16
 17  자치론 - 일제시대에 한국의 자치운동-17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자치론 - 일제시대에 한국의 자치운동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머리말

2. 자치운동의 배경

1) 자력독립불능론(自力獨立不能論)
2) 민족자본가 상층과 민족주의 우파의 동요심화
3) 총독부의 민족운동 분열정책
4) 세계 약소민족운동의 영향
3. 자치운동의 전개과정

1) 제 1차 자치운동 (1923~24년)
2) 제 2차 자치운동 (1925~27년)
3) 제 3차 자치운동 (1929~32년)

4. 지방자치

5. 자치운동의 성격

6. 맺음말

※참고문헌
본문내용
1. 머리말

민족해방운동의 분수령이었던 3.1운동이 실패로 돌아가고 일제의 통치방식이 ‘무단통치’에서 ‘문화통치’로 바뀌게 되면서 우리의 민족운동은 새로운 변화를 맞이하게 되었다. 즉, 이념상에서는 사회주의, 아나키즘이 새로이 수용되었고, 노선 상에서는 무장투쟁론, 외교운동론, 문화운동론, 자치운동론, 정치투쟁론이 나타났다. 이 가운데 주로 국내에서 전개된 ‘문화운동론’ 과 ‘자치운동론’을 흔히 ‘민족개량주의’ 라고 부른다.
부르주아 민족주의자들은 1920~21년에는 새로운 지식과 교육을 중심으로 하는 신문화건설운동을 전개하였고, 1922~23년에는 경제적 실력양성운동과 민족성개조운동을 전개해나갔는데 이 세 가지 운동을 흔히 ‘문화운동’ 이라고 하였다. 이 문화운동과 자치운동은 3.1운동과 외교운동이 좌절되면서 직접적인 독립운동은 당분간 유보하자는 일부 부르주아 민족주의자들의 생각에서 비롯된 것으로 당장의 독립이 불가능한 이 상황에 우선 경제적, 문화적인 방면에서 실력을 기르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하였던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실력양성운동이 한계에 부딪히자, 23~24년경에 그 일부가 정치적 권리의 획득을 내걸고 ‘자치운동’을 주장하였던 것이다.
본 발표문에서는 그동안 주로 일제 총독부당국의 민족운동 분열정책이라는 측면에서만 주목을 받아오던 자치운동의 등장배경에 대해 주체세력인 민족개량주의자들이 자치운동을 들고 나오게 된 주체적 배경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다. 또 자치운동의 전개과정을 1~3차로 나누어 살펴보고, 지방자치와 더불어 자치운동의 성격이 어떠하였는가 하는 것도 함께 알아볼 것이다.

참고문헌
․ 강만길,『한국사 15:민족해방운동의 전개 1』, 한길사, 1995.
․ 노융희,『한국의 지방자치 : 회고와 전망』, 녹원출판사, 1987.
․ 박찬승,『한국근대정치사상사연구』, 역사비평사, 1992.
․ 서중석,『한국현대민족운동연구』1, 역사비평사, 1991.

․ 김동명,「일제하 동화형협력 운동의 논리와 전개-최린의 자치운동의 모색과 좌절」,
『한일관계사연구』21, 2004.
․ 박찬승,「일제하 자치운동과 그 성격」,『역사와 현실』2, 1989.
․ -----,「일제하 타협주의자들의 자치운동」,『순국 16』,1991.
․ 유효종,「일제하 자치운동에 관한 사회학적 고찰」,『연세사회학』3, 197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