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광수의 `민족개조론`과 신채호의 `조선혁명선언`

 1  이광수의 `민족개조론`과 신채호의 `조선혁명선언`-1
 2  이광수의 `민족개조론`과 신채호의 `조선혁명선언`-2
 3  이광수의 `민족개조론`과 신채호의 `조선혁명선언`-3
 4  이광수의 `민족개조론`과 신채호의 `조선혁명선언`-4
 5  이광수의 `민족개조론`과 신채호의 `조선혁명선언`-5
 6  이광수의 `민족개조론`과 신채호의 `조선혁명선언`-6
 7  이광수의 `민족개조론`과 신채호의 `조선혁명선언`-7
 8  이광수의 `민족개조론`과 신채호의 `조선혁명선언`-8
 9  이광수의 `민족개조론`과 신채호의 `조선혁명선언`-9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이광수의 `민족개조론`과 신채호의 `조선혁명선언`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1920년대 시대 상황
Ⅲ. 이광수 「민족개조론」
1. 「민족개조론」의 배경
2. 이광수의 민족관
3. 「민족개조론」
4. 1930년대 개량적 민족주의
Ⅳ. 신채호 「조선혁명선언」
1. 「조선혁명선언」의 배경
2. 신채호의 민족주의와 ‘민중의식’
3. 「조선혁명선언」의 의의
4. 「조선혁명선언」의 영향
∨. 결론
본문내용
Ⅰ. 서론
1918년 1차 세계대전의 종전을 전후한 세계는 침략주의, 군국주의에 대한 전 인류적 비판의 소리가 고조되고 있었다. 또 약소민족의 격렬한 민족운동이 세계 각처에서 일어나면서 제국주의 열강에 의한 세계지배체제에 대한 비판으로서 세계개조의 소리가 일어났다. 심지어 제국주의 열강의 일부 정치적 지도자들까지도 세계개조라는 용어를 사용하면서. 표면적으로나마 대전 후의 세계질서를 이상주의 입장에서 개편할 것을 표방하기도 하였다. 구대열, 『한국국제관계사연구- 일젝시기 한반도의 국제관계』, 역사비평사, 1995 참고
한 세계 사상계의 변화는 식민지 조선에도 영향력을 미쳤다. 당시 상당수의 한국 지식인들은 개조론에 경도되어 있었으며, 그 속에 새로운 희망이 있다고 선전하고 있었다. 개조론의 수용을 통해 민족 운동을 강화할 수 있다고 지식인들은 믿었고 조선도 정신적·물질적으로 개조되어야 한다고 지식인들은 주장하였다. 이렇게 볼 때 1920년대 민족운동은 신문화건설과 실력양성, 그리고 정신개조·민족개조를 주요한 모토로 하여 전개되었다. 이광수는 1922년 「민족개조론」을 발표하였고 1923년부터는 동아일보의 주필로서 개량주의 입장을 대변하였다. 그리고 1924년경부터는 자치론을 공개적으로 모색하기 시작하였다.
이와는 반대로 신채호의 「조선혁명선언」과 같은 무장투쟁론도 전개되었다. ‘의열단 선언’이라고도 불리는「조선혁명선언」은 의열단의 행동강령이고 의열단은 1920년 신채호의 조선 독립 선언을 바탕으로 김원봉이 주도하여. 3.1운동과 같은 온건한 투쟁이 아닌 테러를 통한 유혈 투쟁을 선언하며 무장투쟁론 노선에서 있던 단체였다. 1920년대 이광수의 「민족개조론」과 신채호의「조선혁명선언」을 통해 우리는 1920년대 전개된 민족운동 방향을 짐작할 수 있다. 이는 후에 1930년대 개량적 민족주의, 그리고 혁명적 민족주의로 전개되었다.「민족개조론」과「조선혁명선언」」을 통해 1920년대 이후 민족운동에 대해 알아보겠다.
Ⅱ. 1920년대 시대상황
3·1운동에 직면하여 무단통치의 한계를 체험한 일제는 한국인들의 저항을 무마하고 식민지통치를 안정화해야 할 필요를 실감하게 되었다. 이는 일제 식민지통치의 전면적인 개편과 전환을 의미하는 것으로, 사실 이미 1910년대 말 일본 내에 정당세력이 전면에 대두하면서 식민지통치에 대한 정책 수정의 움직임이 나타나고 있었다. 결국 3·1운동은 일제가 느끼고 있었던 식민지통치의 문제점을 정책의 변화에 반영시키게 한 가장 큰 계기였다.
일제는 3․1 운동의 책임을 물어 제 2대 총독인 하세가와 요시미치長谷川好道를 사임을 시키고 그 후임으로 해군대장 사이토 마코토齋藤實를 3대 총독으로 임명했다. 사이토 마코토는 하세가와 요시미치가 하던 무단정치에서 문화정치로 그 통치방법을 바꿨다. 3·1운동에서 표출된 한국인들의 민족운동을 잠재우고자 이들의 관심을 문화운동으로 유도한 것이었다. 즉 절대독립론·독립전쟁론의 분위기에서 독립준비론·실력양성론을 부각시킴으로써 문화운동으로 연결시키고 있었다. 그리고 여기에 동조하는 일단의 한국 지식인들이 등장함으로써 민족운동의 분화가 촉진되었다. 다른 한편으로 일제는 노동운동·농민운동 등에 대해 탄압을 더욱 강화하여 갔다. 1925년 치안유지법의 제정·공포가 그 대표적인 예로 식민지 지배체제에 대항하는 한국인들의 모든 운동을 탄압하였다.
1920년대 일제의 식민통치는 결국 계층분화를 촉진하고 민족적 갈등을 증폭시켰다. 또한 3·1운동 이후 1920년대 들어서면서 빠른 속도로 유입되고 있었던 사회주의사상은 식민통치로 야기된 한국 내부의 갈등구조에 커다란 영향을 미쳤다. 즉 농민·노동자의 계급의식을 각성시키는 한편, 식민통치로 인한 민족적 모순의 해결을 위한 항일독립운동에 대한 관심을 고조시키는 계기를 가져왔다. 이는 농민운동과 노동운동의 급속한 확산으로 나타났으며, 이들이 민족독립운동의 주체로 등장하기 시작하였다.
1920년대 독립운동은 매우 다양하게 분화하고 있었다. 우선 3·1운동과 더불어 본격적으로 논의되기 시작하였던 임시정부 수립운동이 결실을 맺는 한편, 독립군기지 건설 또한 활발하게 이루어져 방법론을 달리한 국외에서의 독립운동이 여러 방면에서 추진되기에 이르렀다. 국내에서는 일제의 식민통치 방침과 맞물리면서 문화운동과 자치운동으로 대표되는 민족개량주의적인 타협적 성격을 띤 부르주아운동이 나타나고 있었다.

Ⅲ. 이광수의 「민족개조론」
참고문헌
조철호, 『단재 신채호의 대외인식 연구 : 무력론적 항일독립운동노선과의 관계를 중심으로(1905~1928)』,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988
구대열, 『한국국제관계사연구- 일젝시기 한반도의 국제관계』, 역사비평사, 1995
김윤식, 『이광수와 그의 시대』, 솔출판사, 1999
장석주, 『1900~1934: 20세기 한국 문학의 탐험』, 시공사, 2000
김명구, 『한말 일제강점기 민족운동과 민족주의 사상』, 부산대학교 대학원 사학과, 2002
문정필, 『단재 신채호의 민족주의 사상에 관한 연구』,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3
김상웅, 『단재 신채호 평전』, 시대의 창, 2005
山邊健太郞, 『日本治下의 朝鮮』, 岩波新書, 1971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