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역사교육의 변천

 1  한국역사교육의 변천-1
 2  한국역사교육의 변천-2
 3  한국역사교육의 변천-3
 4  한국역사교육의 변천-4
 5  한국역사교육의 변천-5
 6  한국역사교육의 변천-6
 7  한국역사교육의 변천-7
 8  한국역사교육의 변천-8
 9  한국역사교육의 변천-9
 10  한국역사교육의 변천-10
 11  한국역사교육의 변천-11
 12  한국역사교육의 변천-12
 13  한국역사교육의 변천-13
 14  한국역사교육의 변천-14
 15  한국역사교육의 변천-15
 16  한국역사교육의 변천-16
 17  한국역사교육의 변천-17
 18  한국역사교육의 변천-18
 19  한국역사교육의 변천-19
 20  한국역사교육의 변천-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한국역사교육의 변천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Ⅰ. 전근대의 역사교육
   1) 삼국~조선전기의 역사교육
   2) 실학자의 역사교육관
  2. 근대의 역사교육
1) 개화기·한말의 역사교육
2) 일제 통치기 역사교육
(1) 제1차 조선교육령 시기
(2) 제2차 조선교육령 시기
(3) 제3차 조선교육령 시기
(4) 제4차 조선교육령 시기
3. 해방 이후 - 개정 7차 교육과정
< 해방 이후~ 교수요목기 >
< 제1차 교육과정 (1955) >
< 제2차 교육과정 (1963) >
< 제2차 교육과정 부분 개정 (1969) >
< 제3차 교육과정 (1974) >
< 제4차 교육과정 (1982) >
< 제5차 교육과정 (1989) >
< 제6차 교육과정 (1992) >
< 제7차 교육과정 (1997) >
< 개정 7차 교육과정 (2007, 2009) >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서 론

현재의 역사교육과정이 있기까지, 우리나라의 역사교육과정은 그 동안에 많은 변화 과정을 거쳤다. 제7차 교육과정이 나온 이후로 중국의 동북공정과 일본의 역사왜곡 문제를 겪으면서 국사교육을 강화하기 위해 2007년에 역사교육과정이 개정되었다. 그러나 2009년 12월, 정부는 학생들의 학습 부담을 줄인다는 목적으로 고등학교의 「역사」과목을 선택과목으로 하였으며, 「한국문화사」과목을 없앴다. 하지만 국가의 사회적 요구에 따라 ‘한국사’ 교육의 축소가 다시 한 번 비판을 받게 되면서, 「역사」를「한국사」로 이름을 바꾸는 대책을 통해 「한국사」과목을 필수로 할 것을 공고하였다. 하지만 이렇게 개정된 교육과정도 여러 가지 이유로 비판을 받고 있다.
이처럼 최근 약 10년 동안 여러 번 개정을 거친 것을 포함해, 제1차에서 제7차 개정 교육과정까지 역사교육과정은 많은 변화를 겪었다. 하지만 새로운 교육과정이 제시되고, 그에 따라 개정이 되어도 여전히 많은 논란을 가지고 비판을 받을 수밖에 없었다. 그리고 우리나라 역사교육과정은 중국과 일본과 같은 주변 국가들의 영향을 언제나 받아왔으며, 어느 정권이 집권하느냐 그리고 당시의 시대적 상황에 따라서도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었다. 또한 ‘역사 논란’은 우리나라에서 언제나 뜨거운 감자로 남아있기 때문에, 2008년에 있었던 ‘금성’ 출판사의 한국근현대사 교과서 논란과 같이 유난히 ‘역사’교과에 관련해서 민감한 반응들이 나올 수밖에 없다.
현재의 역사교육을 잘 이해하기 위해서는 과거에서 지금까지의 역사교육의 변천에 대해 알아 둘 필요가 있다. 과거에는 어떤 교육의 형태였으며, 어떠한 이유로 어떻게 변화됐는지 알아둬야 한다. 역사교육과정의 시작을 알고 지금까지의 변천과정을 이해하는 것은 역사교사로서 알아야할 필수적인 요소이며, 현재의 교육과정을 이해할 수 있는 출발점이기도 하다.
따라서 본고는 우리나라의 역사교육의 변천에 대해 다룰 것이다. 교육과정을 순차적으로 다룰 것이며, 시기는 전근대에서 2009년 개정 때까지를 한정지어 설명할 것이다. 그리고 시대별로 특징적인 내용만을 취사선택하여 살펴볼 것이다.
시기를 크게는 전근대, 근대, 해방 이후 3가지로 분류하였다. 세부적으로 전근대 시기에는 삼국~조선전기와 조선후기, 근대 시기에는 개화기·한말, 일제 통치기(제1차~제4차 조선교육령 시기), 해방 이후 시기에는 해방~교수요목기, 제1차~제7차 교육과정 그리고 2007년 및 2009년 개정 교육과정으로 나누었다. 삼국시기에는 백제를 제외한 고구려, 신라만을 다루며, 일제 통치기 시기에는 제1차에서 제4차 조선교육령까지를, 해방 이후 시기에는 제1차에서 제7차 개정 교육과정까지를 하나하나 살펴볼 것이다.
전근대와 근대 시기는 각 시기별로 전체적인 특징들을 하나로 묶어서 설명하며, 해방 이후 시기에는 각 시기별로 배경, 교과과정 편제, 교과서 구성 및 내용, 역사교육의 특징, 다음과 같이 세부적으로 나누어 설명할 것이다.
참고문헌
* 정선영 외, 2001, 󰡔역사교육의 이해󰡕, 三知院, 265-302쪽
* 차미희, 2011, 「3차 교육과정기(1974-1981) 중등 국사과의 독립 배경과 국사교육 내용 상의 특성」,『한국 중・고등학교의 국사교육-국사과 독립시기(1974~1994)를 중심으로 󰡕, 교육과학사
* 김흥수, 1992, 󰡔한국역사교육사󰡕, 대한교과서주식회사
* 김한종, 2006, 「역사교육의 변화와 과제」, 󰡔역사교육과정과 교과서연구󰡕, 선인
* 강선주, 2006, 「해방 이후 역사교육과정 개정을 둘러싼 쟁점」, 󰡔歷史敎育󰡕 97

* 차미희, 2010,「2007년 개정 교육과정 중학교『역사』단원 개발의 실제」, 『교과교육학연구』제 14호 3권
* 한철호, 2011, 「『한국사』교과서 편향성 논란과 교육과정 개정 일정의 문제점」,
『韓國史硏究』 153
* 陳在管, 2006, 「2005년 중등 역사과 공통 교육과정 개정의 방향과 내용 체계」, 󰡔歷史敎育󰡕 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