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보건행정 역사] 우리나라 보건행정의 변천 - 시대별 보건행정조직(조선시대, 한일합병시대, 미군정시대, 대한민국 정부수립 이후의 보건행정조직)

 1  [한국 보건행정 역사] 우리나라 보건행정의 변천 - 시대별 보건행정조직(조선시대, 한일합병시대, 미군정시대, 대한민국 정부수립 이후의 보건행정조직)-1
 2  [한국 보건행정 역사] 우리나라 보건행정의 변천 - 시대별 보건행정조직(조선시대, 한일합병시대, 미군정시대, 대한민국 정부수립 이후의 보건행정조직)-2
 3  [한국 보건행정 역사] 우리나라 보건행정의 변천 - 시대별 보건행정조직(조선시대, 한일합병시대, 미군정시대, 대한민국 정부수립 이후의 보건행정조직)-3
 4  [한국 보건행정 역사] 우리나라 보건행정의 변천 - 시대별 보건행정조직(조선시대, 한일합병시대, 미군정시대, 대한민국 정부수립 이후의 보건행정조직)-4
 5  [한국 보건행정 역사] 우리나라 보건행정의 변천 - 시대별 보건행정조직(조선시대, 한일합병시대, 미군정시대, 대한민국 정부수립 이후의 보건행정조직)-5
 6  [한국 보건행정 역사] 우리나라 보건행정의 변천 - 시대별 보건행정조직(조선시대, 한일합병시대, 미군정시대, 대한민국 정부수립 이후의 보건행정조직)-6
 7  [한국 보건행정 역사] 우리나라 보건행정의 변천 - 시대별 보건행정조직(조선시대, 한일합병시대, 미군정시대, 대한민국 정부수립 이후의 보건행정조직)-7
 8  [한국 보건행정 역사] 우리나라 보건행정의 변천 - 시대별 보건행정조직(조선시대, 한일합병시대, 미군정시대, 대한민국 정부수립 이후의 보건행정조직)-8
 9  [한국 보건행정 역사] 우리나라 보건행정의 변천 - 시대별 보건행정조직(조선시대, 한일합병시대, 미군정시대, 대한민국 정부수립 이후의 보건행정조직)-9
 10  [한국 보건행정 역사] 우리나라 보건행정의 변천 - 시대별 보건행정조직(조선시대, 한일합병시대, 미군정시대, 대한민국 정부수립 이후의 보건행정조직)-10
 11  [한국 보건행정 역사] 우리나라 보건행정의 변천 - 시대별 보건행정조직(조선시대, 한일합병시대, 미군정시대, 대한민국 정부수립 이후의 보건행정조직)-11
 12  [한국 보건행정 역사] 우리나라 보건행정의 변천 - 시대별 보건행정조직(조선시대, 한일합병시대, 미군정시대, 대한민국 정부수립 이후의 보건행정조직)-12
 13  [한국 보건행정 역사] 우리나라 보건행정의 변천 - 시대별 보건행정조직(조선시대, 한일합병시대, 미군정시대, 대한민국 정부수립 이후의 보건행정조직)-13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한국 보건행정 역사] 우리나라 보건행정의 변천 - 시대별 보건행정조직(조선시대, 한일합병시대, 미군정시대, 대한민국 정부수립 이후의 보건행정조직)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우리나라 보건행정의 변천

I. 조선시대

II. 한일합병시대

III. 해방 후 미군정 시대

IV. 대한민국 정부수립 이후
1. 중앙보건행정조직
2. 부서별 수행업무
1) 보건정책국
2) 건강증진국
3) 연금보험국
3. 지방보건행정조직
4. 보건복지부 소속기관
1) 국립의료원
2) 국립장기이식관리센터
3) 중앙응급의료센터
4) 국립보건원
5) 국립정신병원
6) 국립결핵병원
7) 국립소록도병원
8) 국립검역소
9) 식품의약품안전청
5. 환경부 및 보건소
1) 환경부
2) 보건소

* 참고문헌
본문내용
우리나라 보건행정의 변천

우리나라에 현대식 공중보건의 개념과 더불어 보건행정의 개념이 도입된 것은 8.15 광복 후의 일이다. 조선시대에는 봉건주의와 쇄국정책이 가로막아 커다란 발전을 이루지 못했고, 일제시대에는 소위 국치(國恥)년 9월에 조선총독부가 생겨 보건행정은 경찰행정으로 일원화되었고, 식민지 정책이 실시되었기 때문에 참다운 보건 분야의 발전은 가져 오지 못하였다.
편의상 (1) 조선시대 (2) 한일합방 시대 (3) 해방후 미군정 시대 (4) 대한민국 정부수립 이후 등으로 구분해서 살펴보기로 한다.

I. 조선시대

조선시대는 쇄국정책으로 한방을 주축으로 한의학이 발전되어 왔다. 삼국시대를 거쳐 한토의약을 토대로 약간의 의료행정기관도 생겨나게 되었다. 의약서적이 들어온 것은 문헌상으로 고구려 평강왕 3년에 중국 강남 오나라부터 이며, 근세 조선에 와서는 예조판서 산하에 (1) 전의감을 두고 일반의료행정을 담당케 하였고 (2) 내의원(內醫院)에서 왕실의료 (3) 혜민서(惠民署)에서 서민의 구료사업 (4) 활인서(活人署)에서는 도성내 전염병 환자의 구료, 그리고 (5) 전형사(典亨司)에서는 의약을 다루도록 하는 한편, 각 도에 심약을 배치하였고, 부 ․ 군 ․ 현에 의료요원을 적절히 두어 각 지방의 의료행정과 구료사업을 담당하도록 하였다.
1884년 최초의 관립병원이자 근대 병원인 광혜원(1885년 제중원으로 개명)이 설립되었으며, 1906년 병원신축과 함께 세브란스(severance)병원으로 개명하였다.
고종 31년(1894)에 갑오개혁과 더불어 서양 의학적 지식이 도입되었으며(미 선교사 Allen이 주축), 동년에 위생국을 신설하여 이듬해 1895년에 위생과와 의무과로 분과되었고, 중앙 내부소속으로 관립의원인 광제원과 대한의원, 각 도에는 자혜원과 종두사무소를 신설하였다. 1899년 3월에 경성의학교(초대교장 : 지석영)가 창설되었으며, 해방 후 경성제국대학 의학부와 함께 서울대학교 의과대학으로 되었다.
참고문헌

질병예방관리와 건강증진 / 남철현 저, 계축문화사, 2009
질병의 예방과 관리 / 이택구 저, 계축문화사, 2000
질병과 의료의 사회학 / 조병희 저, 집문당, 2015
학습목표에 맞춘 보건관리 / 박웅섭, 보문각, 2009
건강교육과 보건학의 이해 / 권봉안 저, 한미의학, 2015
하고 싶은 말
세심히 정리하여 작성한 레포트입니다. 참고하시어 도움이 되시길 바랍니다.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